$\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4 no.4, 2012년, pp.272 - 277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박주면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정재묵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예상진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안영수 (경상대학교 실습선 운영관리 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172개체의 식성을 분석하였다. 말쥐치의 표준체장 (SL)은 16~39 cm 범위였다. 말쥐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곤봉바다맨드라미류 (Neptheidae), 해조류 (Algae), 만각류 (Thoracica), 복족류 (Gastropoda)와 같은 저서생물 (benthos)을 주로 섭식하는 잡식성(Omnivore)어류였으며, 그 외에 해면류 (Desm ospongi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말쥐치는 섭식형태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먹이생물을 섭식하는 섭식일반종 (generalist)이었다. 체장 33 cm 이상의 체장군을 제외한 전 체장군에서는 곤봉바다맨드라미류와 해조류의 섭식율이 높았다. 체장 33 cm 이상의 체장군에서는 만각류의 섭식율은 증가 하였으나, 곤봉바다맨드라미류의 섭식율은 감소하였다. 체장 33 cm 이상의 개체군에서는 0.34의 값을 보여 낮은 중복도를 나타냈으며, 그 외의 체장군에서는 0.6 이상의 값을 보여, 비교적 높은 중복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were studied using 172 specimen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The size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6.2 to 39.1 cm in standard length (SL). T. modestus was a omnivore that consumes mainly benthos. Of the benthos spec...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국립수산과학원. 1994. 연근해 주요어종의 생태와 어장, 80-98pp. 

  2. 곽우석?이소광. 2009.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자치어의 성장에 따른 소화기관 및 소화효소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21: 149-157. 

  3.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3pp. 

  4. 이승종?고유봉?최영찬. 2000.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의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2: 208-214. 

  5. 이승종?고유봉?이영돈?정지현?한창희. 2000. 제주 남부 연안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의 생식년주기. 한국어류학회지, 12: 71-84. 

  6. 백근욱?허성회. 2004. 가덕도 주변 해역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7: 505-510. 

  7. 백근욱?박찬일?정재묵?김무찬?허성회?박주면. 2010.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2: 41-48. 

  8. 송혜진?백근욱?김수암?허성회. 2006. 부산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 c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9: 42-48. 

  9. 허성회?곽석남. 1997. 베도라치(Pholis nebulos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22-29. 

  10. 허성회?곽석남. 1998.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복섬 (Takifugu niphobles) 유어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1: 806-812. 

  11. 허성회?박주면?백근욱. 2006. 남해에 출현하는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9: 35-41. 

  12. 홍성윤?박경양?박철원?한창희?서해립?윤성규?송춘복?조수근?임현식?강영실?김덕재?마채우?손민호?차형기?김광봉?최상덕?박기열?오철웅?김두남?손호선 ?김정년?최정화?김미향?최인영. 2006.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아카데미서적, 479 pp. 

  13. An, H.S., J.W. Lee, C.M. Dong, J.K. Noh and J.I. Myeong. 2011.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genetic analysis of the Korean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Genes & Genomics, 33: 499-504. 

  14. Amundsen, P.A., H.M. Gable and F.J. Staldvik. 1996. A new approach to graphical analysis of feeding strategy from stomach contents data modification of Costello (1990) method. J. Fish. Biol., 48: 607-614. 

  15. Ferry, L.A. and G.M. Cailliet.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 Kinlay, D. and K. Sheare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merican Fisheries Society, San Francisco, CA, pp. 71-80. 

  16.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416 pp. 

  17. Kwak, S.N., G.W. Baeck and S.H. Huh. 2003. Feeding Habits of Stephanolepis cirrhifer in a Zostera marina Bed. J. Ichthyol., 15: 219-223. 

  18. Kwak, S.N., G.W. Baeck and S.H. Huh. 2004. Feeding ecology of Sillago japonicus in an eelgrass (Zostrea marine) bed. J. Fish. Sci. Technol., 7: 84-89. 

  19. Langton, R.W. 1982. Diet overlap between Atlantic cod, Gadus morhua, silver hake Merluccius bilinearis and fifteen other northwest Atlantic finfish. Fish. Bull., 80: 745-759. 

  20. Nakai, T., M. Sano and H. Kurokura. 2001. Feeding habits of the darkfin hind Cephalipholis urodeta (Serranidae) at Iriomote Island, Southern Japan. Fish. Sci., 67: 640-643. 

  21. Pianka, E.R. 1988. Evolutionary Ecology, 4th ed. Harper Collins, New York, 468pp. 

  22. Schoener, T.W. 1970. Non-synchronous spatial overlapof lizards in patchy habitats. Ecol., 51: 408-418. 

  23. Tripp-Valdez, A., F. Galvan-Magana and S. Ortega-Garcia. 2010.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southeatern Gulf of California, Mexico. J. Appl. Ichthyol., 26: 578-582. 

  24. Wallace, R.K. 1981. An assesment of diet-overlap indexes. Trans. Am. Fish. Soc., 110: 72-76. 

  25. Wainwright, P.C. and B.A. Richard. 1995. Scal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Motor pattern. J. Exp. Biol., 5: 1161-11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