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의 역사 (이승일, 혜안, 2011)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32, 2012년, pp.243 - 247  

주순덕 (명지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체제개혁의 구체적인 방법을 구상함에 있어 이러한 역사적 변천과정을 참고하고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기록관리체제가 더욱 정비되길 바란다. 아울러 이 시대의 기록관리의 사명을 띤 이 땅의 아키비스트들이 지나온 우리의 기록관리체계의 역사를 자각하고 현실에 더욱 매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책이 참고가 되어주리라 생각해 본다.
  • 저자는 서문에 해당하는 ‘한국적 기록관리학을 위하여’라는 글에서 1990년대까지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의 전반적 부실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고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 저자는 기록관리법의 제정이 과거 한국 국가기록관리 제도와 관행에 대한 반성이었음에도 학문적으로는 이러한 연구가 불충분하다고 느껴 집필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여 기록학에 뛰어든 저자의 역량이 잘 드러난 의문과 저술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승일이 출간한 기록의 역사: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에서는 어떤 식으로 책이 구성되어 있는가? 그리하여 한국의 독자적인 기록관리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조사를 수행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1948년 한국정부 수립직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체제가 어떻게 수립되었고, 한국의 독자적인 기록관리기법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역사적으로 분석한 1부와, 한국의 주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역사와 그 활동을 분석한 2부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국내의 기록과학 내지 기록학의 역사는 언제를 기점으로 시작하는가? 우리나라 학계에서 기록과학 내지 기록학이라는 영역이 정립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시기를 전후하여 그 태동이 있었다고 본다면 현재까지 그 역사는 10년을 조금 넘겼을 뿐이다. 물론 우리의 유구한 역사전통과 이를 가능하게 했던 기록의 보존을 생각한다면 앞선 발언이 성급하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근대적 기록관리체계라는 면에서 보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1950년대의 기록관리 부분에서는 무엇이 있었다고 서술되는가? 그러나 국가기록관리라는 측면에서 그 범주를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아 의문의 여지는 있다. 예건대, 제1부 제1장에서는 1950년대의 기록관리 부분에 있어 식민지적 사무관리제도가 정부에 존속하고 있었음에 반해 육군에서는 미국식 사무관리제도의 도입으로 미국식 기록관리제도가 도입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물론 당시 제정된 공문서규정 이나 정부처무규정 등이 조선총독부의 사무관리제도를 활용한 것이긴 하나 이 외의 규정에 관한 고찰이 없어 자칫 편향적인 시각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