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8 no.1, 2012년, pp.76 - 86  

채덕희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  박윤희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  강경화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 Korea has been rapidly transformed to be a multicultural society, it becomes essential for nurses to develop cultural competency.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assess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to examine its contributing factors adop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McLeroy 등(1988)의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하여 수도권 종합병원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 문화경험 특성 및 조직관련 특성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6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파악하고, 생태학적 모형을 중심으로 개인적 특성, 문화경험 특성 및 조직적 특성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은 미국, 캐나다 등 다문화사회의 역사가 길고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향상에 대한 관심을 가져온 국가의 간호사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역량수준, 개인적, 문화경험적, 조직적 수준의 영향요인과 이론적 기틀로 사용하였던 생태학적 모형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환자와 관련된 병원의 자원과 직무 스트레스를 말한다. 병원의 자원은 외국인환자 간호 교육프로그램, 외국인환자 간호지침서, 통역서비스, 외국어로 제작된 건강정보 자료, 외국인전용 클리닉 운영을 질문하는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는 1점, ‘아니오’는 0점으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하여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의 영향요인을 포괄적이며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셋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역량수준, 개인적, 문화경험적, 조직적 수준의 영향요인과 이론적 기틀로 사용하였던 생태학적 모형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는 언어, 사고, 의사소통, 행위, 관습, 신념, 가치를 포함한 인간 행위의 통합적 양상으로 정의되며, 건강, 치유, 안녕에 대한 신념 체계, 질병에 대한 인식, 건강관리 이용 행위와 태도, 간호에 대한 이해 및 수용 등에 영향을 준다(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 2007; U.S.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환자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생산인구가 저하되어 외국 노동력이 증가하고, 국제결혼 증가로 인한 결혼이민자 증가, 외국국적동포 유입, 유학생 증가 등으로 짧은 기간 동안에 급격히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었으며(Ministry of Justice, 2011; Jung, 2009), 의료서비스 전반에 글로벌화 추세로 ‘의료관광’사업이 국가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추진되면서 외국인 환자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Jin, Kim, Sung, Hwang, & Jung, 2010). 2010년말 기준 우리나라 체류외국인은 120만 명을 넘어서 인구대비 2.
미국 간호지식 컨센서스 회의에서 문화적 역량이 간호의 핵심요소이며 돌봄은 가치 이상의 행위를 요하는 횡문화적이라는 것에 합의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 지식의 존재론적 측면에서도 1998년 미국 간호지식 컨센서스 회의(USA Nursing Knowledge Consensus Conference)를 통해 문화적 역량은 간호의 핵심요소이며, 돌봄은 가치 이상의 행위를 요하는 횡문화적인 것이라는 것에 합의하였다. 이것은 간호지식은 간호 대상자의 요구에 대해 의미를 가지는 것이며 대상자의 요구는 사회적 맥락 안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Roy & Jones, 2007). 이와 같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은 간호의 본질인 돌봄의 실천과 간호지식의 존재론적 측면에서 핵심적이며, 최근전 세계적인 글로벌화 현상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L. M., Scrimshaw, S. C., Fullilove, M. T., Fielding J. E., Nrmand, J. & the Task Force on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2003). Culturally Competent Healthcare Systems: A systematic review. Am J Prev Med, 24(3S), 68-79. 

  2. Caffrey, R. A., Neander, W., Markle, D., & Stewart, B. (2005).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sults of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an international immersion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5), 234-240. 

  3. Camphina-Bacote, J. (2002).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ournalofTransculturalNursing, 13(3), 181-184. 

  4.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Chung, J. J., Cho, J. J., Son, M., Chae, C. H., & Kim, J. W.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7(4). 297-317. 

  5. Choi, S. Y.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Helping Profession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5(-), 23-53. 

  6. Cross, T., Bazron, B., Dennis, K., & Isaacs, M.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CASSP Technical Assistance Center. 

  7. Faul, F., Erdfelder, E., Lang, A.,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39(2), 175-191. 

  8. Festini, F., Focardi, S., Bisognim S., Mannini, C. & Neri, S. (2009). Providing transcultural to child and parents: An exploratory study from Ital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1(2), 220-227. 

  9.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2007). Position statement Cultural and linguistic competence. Retrieved September 20, 2011, from http://www.icn.ch/images/stories/documents/ publications/position_statements/B03_Cultural_Linguistic_Comp etence.pdf 

  10. Jin, K. N., Kim. J. J., Sung, D. H., Hwang, S. K., & Jung, W. J. (2010). Cultural Competence of Global Healthcare Providers in Healthcare Setting: Case Study of Seoul A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 581-598. 2622-2634. 

  11. Jones, S. M. (2008). Emergency nurses' caring experiences with Mexican American patient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4(3), 199-204. 

  12. Jung, M. S. (2009).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healthcare-related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from nursing's point of view.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6(1), 1-20. 

  13. Kardong-Edgren, S., Cason, C. L., Brennan, A., Reifsnider, E., Hummel, F., Mancini, M., & Griffin, C. (2010). Cultural competency of graduating BSN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1(5), 278-285. 

  14. Leininger, M. M. (2007). Theoretical questions and concerns: Responses from the theory of culture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perspective. Nursing Science Quarterly, 20(2), 9-15. 

  15. Mahabeer, S. A. (2009). A descriptive study of the cultural competence of hemodialysis nurses. The CANNT Journal, 19(4), 30-33. 

  16. McLeoroy, K.R., Bibeau, D., Steckler, A., & Glanz, K. (1988).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5, 351-371. 

  17. Ministry of Justice. (2011). Korea immigration service annual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20, 2011, from http://www.index.go.kr/ 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2756 

  18. Park, J. S. (2011). Study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of Korea, Daegu. 

  19. Robinson, J. H. (2000). Increasing students' cultural sensitivity: a step toward greater diversity in nursing. Nursing Educator, 25(3), 131-135. 

  20. Roy, C & Jones, D.A. (2007). Nursing knowledge development and clinical practice. NewYork, NY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1. Salman, A., McCabe, D., Easter, T., Callahan, B., Goldstein, D., & Smith, T. D. (2007). Cultural competence among staff nurses who participated in a family-centered geriatric care program. Journalfor Nursesin Staff Development, 23(3), 103-111. 

  22. Sallis, J.F., Owen, N., & Fisher, E.B. (2008). Ecological Models of Health Behavior, In Glanz, K., Rimer, B. K., &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4thed.; pp 465-485). San Francisco:Jossey-Bass. 

  23. Schim, S. M., Benkert, R., Doorenbos, A. Z., & Miller, J. (2003).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1(1), 29-44. 

  24. Schim, S. M., Doorenbos, A. Z., & Borse, N. N. (2005). Cultural competence among Ontario and Michigan healthcare provider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4), 354-360. 

  25. Starr, S. & Wallace, D. C. (2009). Self-reported cultural competence of public health nurses in a Southeastern U. S. Public Health Department. Public Health Nursing, 26(1), 48-57. 

  26. Taylor, R. (2005). Addressing barriers to cultural competence.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1(4), 135-142. 

  27. Taylor, R. A. & Alfred, M. V. (2010). Nurses'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s needed for the delivery of culturally competent car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2(5), 591-609. 

  28. Tuohy, D., McCarthy, J., Cassidy, I., & Graham, M. M. (2008). Educational needs of nurses when nursing people of a different culture in Ireland.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5, 164-170. 

  2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5). What is cultural competency? Retrieved September 20, 2011, from http://minorityhealth.hhs.gov/templates/browse.aspx?lvl 2&lvlID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