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 젠더 관점

Nurses' Work-family Balance: The Gender Perspectives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8 no.1, 2012년, pp.87 - 95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gender and role in the family for nurses' work-family balance.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4 married nurses having children, who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from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는 신체, 심리적인 요구가 가장 높은 직업 중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정 내에서의 역할 및 젠더에 대한 관점을 탐구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 연령이 40대이고, 부모의 지지를 받는 간호사들은 전통적인 가부장적인 사고의 영향 아래 남편의 가사일과 양육에 더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 주로 30대에 해당하였으며, 희생한 부모님 세대와는 달리 처음부터 가사나 양육을 똑같이 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서로서로의 차이를 어떻게 다루어나가고, 위험한 한계 이전의 적정선을 파악하는 등 일-가정 양립에 대한 협상을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이 가정 내에서 어떻게 구축되는지 질적주제분석(qualitative thematic analysis)을 통해 젠더의 관점에서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가설 설정

  • 그러한 역할을 담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적인 맥락을 제시하였다: “애가 둘이 되다 보니 안 도와주고서는 일이 돌아가지 않아요. 둘째 때는 서로 싸울 시간도 없어요. 저절로 도와주게 되더라구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여성에 관한 고정관념은 무엇인가? 그러나 전통적으로 가장의 전일적 지배와 여성의 순종, 열등을 특징으로 하는 가부장제의 영향으로 가사 및 육아에 대한 책임이 여성의 몫이라는 고정관념이 있다. 즉 여성은 자신이 가족에 우선순위를 둘 때 더 많은 양립을 한다고 보고하는 반면 남성은 업무 때문에 자신을 위한 개인적인 시간을 갖지 못할 때더 많은 양립을 한다고 보고함으로써 가정 내 노동력의 분배에 있어서 젠더 차이를 나타낸다(Keene & Quadagno, 2004).
의료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간호사의 연령별 분포 중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인가? 의료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간호사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가 47.2%로 전체 활동간호사의 절반을 차지하는 반면, 30대 31.6%, 40대 15.
간호업무의 특성은 무엇인가? 간호업무는 신체, 심리적인 요구가 가장 높은 직업 중의 하나이다(Takeuchi & Yamazaki, 2010). 교대근무, 조직 구조와 같은 간호의 구조적 특성과 간호인력 부족으로 인한 과도한 업무의 특성이 일-가정 양립을 유지하는데 어렵게 하고 있다(Grzywacz, Frone, Brewer, & Kovner, 2006). 일-가정 양립이 간호전문직에 중요한 이유에는 일-가정 갈등에 대한 간호사의 개인적인 관심사가 간호사로 직업을 선택하는데 방해가 되거나 전문직으로서의 위축을 촉진시킴으로써 간호사 부족 현상을 더욱 악화시키기 때문이다(Hammer, Bauer, & Grandey,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en, T. D., Herst, D. E., Bruck, C. S., & Sutton, M. (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 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lath Psychology, 5, 278-308. 

  2. Baumann, S. L. (2010). Balancing life as a nurse in Iran. Nursing Science Quarterly, 23(2), 164-165. 

  3. Bianchi, S. M., Milkie, M. A., Sayer, L. C., & Robinson, J. P. (2000).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9(1), 191-228. 

  4. Bianchi, S. M., & Milkie, M. A. (2010). Work and family research in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 705-725. 

  5. Bittman, M., England, P., Folbre, N., Sayer, L. C., & Matheson, G. (2003). When does gender trump money? Bargaining and time in household work.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9(1), 186-214. 

  6.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7. Charles, N., & Harris, C. (2007). Continuity and change in work-life balance choic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8(2), 277-295. 

  8. Cheng, C. C. (2010). A study of inter-cultural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4, 354-362. 

  9. Cheung, M. (2010).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gender factors contributing to long-term marital satisfaction: A narrative analysis. Journal of Couple & Relationship Therapy, 4(1), 51-78. 

  10. Crompton, R., Levis, S., & Lyonette, C. (2007). Women, men, work and family in Europe. NY: Palgrave Macmillan. 

  11. Grzywacz, J. G., Frone, M. R., Brewer, C. S., & Kovner, C. T. (2006). Quantifying work-family conflict among registered nur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5), 414-426. 

  12. Hammer, L. B., Bauer, T. N., & Grandey, A. A. (2003). Work-family conflict and work-related withdrawal behavior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7, 419-436. 

  13. Keene, J. R., & Quadagno, J. (2004). Predictors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Gender difference or gender similarity?, Sociological Perspectives, 47(1), 1-23. 

  14. Killien, M. G. (2004). Nurses' health: work and family influences.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9, 19-35. 

  15. Kim, H. K. (2007). The articulation of work and family in Korea: A study on the women's work experiences since 1960's. Issues in Feminism, 7(2), 37-82. 

  16. Kim, I. S. (2009). Job sharing example of work-family balance type: Working condition of nurse manpower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 Monthly Work Review, May, 16-26. 

  17. Kim, N., & Kwon, T. (2009).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women. The Women's Studies, 76(1), 43-70. 

  18. Lagerstrom, M., Josephson, M., Arsalani, N., & Fallahi-Khoshknab, M. (2010). Striving for balance between family and work demands among Iranian nurses. Nursing Science Quarterly, 23(2), 166-172. 

  19. Lee, H. J. (2010). Influence of employed mothers' work satisfaction on family income and division of household labor, marital satisfaction and work-family balance. Korean Journal of 21Century Social Welfare, 7(1), 77-102. 

  20. Lee, J. H., & Lee, E. H. (2000).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287-303. 

  21. Lee, K. M., & Kim, Y. H. (2007). The determinant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married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5(3), 219-241. 

  2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3. Mescher, S., Benschop, Y., & Doorewaard, H. (2010). Representations of work-life balance support. Human Relations, 63(1), 21-39. 

  24. Park, J. (2003).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of East Asian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and American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Related to gender role resocialization of east Asian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6), 29-45. 

  25. Park J. (2007). Gender, work-family balance. Seoul: Gusang Publishing Company. 

  26. Reece, K. T., Davis, J. A., & Polatajko, H. J. (2009). The representations of work-life balance in Canadian newspapers. Work, 32, 431-442. 

  27. Sohn, S. Y. (2005). Labor experiences and dilemma of highly-educated professional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men's Studies, 21(3), 67-97. 

  28. Takeuchi, T., & Yamazaki, Y. (2010).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a sense of coherence among Japanese registered nurses.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7(2), 158-168. 

  29. Yoo, G. S. (2010).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wives' work-family spillove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dual-earner families. The Journal of Asian Women, 49(1), 41-70. 

  30. Zu, S. J. (2011, April 14). Korean man is last 1 hour works one day with household chore. The Dong-A, p. A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