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alance of work-life and parenting experience of nurse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us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proposed by Giorgi.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0 participants working at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in 2017 to collect data. Results: Four main issues were deduced: "complex situation between work and parenting," "conflict situation of being in a double bind between work and parenting," "the power to endure both work and parenting," and "finding hope between work and parenting.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work-life balance and parenting experience of nurses. These findings should help in the development of solutions to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for nurses and enable them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일과 가정의 양립 | 간호직의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
대부분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직직업으로 대표되는 간호직은 직접적인 환자 간호를 제공하며, 의료서비스의 응급성과 불규칙성, 타부서와의 업무 협력, 환자나 보호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강도 높은 신체활동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와 건강문제를 경험
하지만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해야 하는 기혼여성은 직장생활로 인한 가정에서의 역할 수행이 어렵게 되면서 시간의 제약, 일의 부담감, 특정한 역할 행동으로 인한 일-가정 양립에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Greenhaus &Beutell, 1985). 특히 대부분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직직업으로 대표되는 간호직은 직접적인 환자 간호를 제공하며, 의료서비스의 응급성과 불규칙성, 타부서와의 업무 협력, 환자나 보호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강도 높은 신체활동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와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다(Kim & Ryu, 2015). 또한 직업의 특성상 교대근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퇴근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육아 및 가사업무와 함께 병원과 가정의 두 영역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많은 간호사가 이직을 고려하게 되고(Kang & Kim, 2011). |
일-가정 양립 | 일-가정 양립이란 무엇인가? |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
일과 가정의 양립은 개인 차원에서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지속시키며, 육아를 비롯한 가정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차원에서는 저출산과고령화가 지속 되는 가운데 우수한 여성인력을 활용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Kim & Kwon, 2009). 하지만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해야 하는 기혼여성은 직장생활로 인한 가정에서의 역할 수행이 어렵게 되면서 시간의 제약, 일의 부담감, 특정한 역할 행동으로 인한 일-가정 양립에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Greenhaus &Beutell, 1985). 특히 대부분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직직업으로 대표되는 간호직은 직접적인 환자 간호를 제공하며, 의료서비스의 응급성과 불규칙성, 타부서와의 업무 협력, 환자나 보호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강도 높은 신체활동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와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다(Kim & Ryu, 2015). |
일-가정의 양립 | 일-가정의 양립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전념하던 전통적인 주부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회 ․ 경제활동 참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의 양립이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4%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추세이다(Statistics, 2018). 최근에는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전념하던 전통적인 주부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회 ․ 경제활동 참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의 양립이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은 개인 차원에서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지속시키며, 육아를 비롯한 가정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차원에서는 저출산과고령화가 지속 되는 가운데 우수한 여성인력을 활용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Kim & Kwon, 2009).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