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단지 내 주민공동시설의 기준개선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A Study for the Community Vitalizing Strategy Through the Revision of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for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1 = no.115, 2012년, pp.29 - 40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김영주 (중앙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주거환경학과) ,  이수진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 연구소)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current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related to community facilities and to suggest the vitalizing strategies that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For the purpose, three times smal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부대복리시설이라는 용어에 대해 전문가들은 그 개념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향후 이를 대체할 만한 명칭으로 어떤 것이 적합할 지 파악하기 위하여 질문하였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주민들의 공유공간인 공동체시설이라는 개념에서 본다면 법적 용어인 부대복리시설과 주민공동시설을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범위에 있어서는 다르다고 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에서 주민들 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주민공동시설에 관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행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의 문제점 및 이용현황 등을 토대로 바람직한 개선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주민공동시설에 관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었다. 이를 위해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행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 및 이용현황, 바람직한 개선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에서 주민들 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주민공동시설에 관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행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의 문제점 및 이용현황 등을 토대로 바람직한 개선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자 한다.
  • 전문가대상 소그룹 워크샵은 현행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문제점 도출과 향후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제도적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한 1차 작업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분야 전문가 총 14인(건설업체 5인, 학계 및 연구 분야 4인, 주거관리분야 5인)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26일 ~2010년 5월 3일까지 3회에 걸친 소그룹 워크샵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의 사전적 설명은? 커뮤니티는 공동체, 지역사회 등을 나타내는 말로 공간 적․지역적 단위 또는 심리학적인 결합성 또는 소속감(두산 백과사전, 2003)으로 이에 대한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논의 되고 있다. 커뮤니티는 com(함께), munis(봉사하는 일)이라는 합성어로 이루어진 말로써 일정한 지역주민들이 연대의식을 통해 공공성에 대한 가치와 이익을 위해 참여하고 역할 부담을 하는 집단으로 정의된다(Han & Lee, 2005).
공동주택은 어떤 사회적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는가? 특히 이 중에서도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9%로 가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공동주택은 획일적인 주택형태와 익명성이 보장되는 주거환경, 이웃 간에 적극 적인 폐쇄가 가능한 구조 등의 물리적 설계 방식 등으로 인해 이웃간의 대화 단절과 거주자의 공동체 의식 붕괴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Kye & Chun, 2000).
본 연구에서 주민 공동시설 설치에 총량제의 도입을 모색함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 문제는? 현행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주민공동시설별 각 시설의 세부면적기준을 정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로 인해 주민들의 요구 및 특성, 지역 특성을 유연하게 반영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공동시설 설치에 융통성을 줄 수 있는 총량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볼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2004). 주택건설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건설교통부. 

  2. 박재길?정희남(2007). 제4차 국토통합계획 수정계획5: 아름 답고 인간적인 정주환경 조성. 국토, 291, 43-53. 

  3. 이연숙(1995).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도서출판: 경춘사. 

  4. 조성기(1996). 도시주거학. 동명사. 

  5. 조성희?이경희?이영석?박경옥(2007).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방안. 건설교통부?한국주거학회. 연구보고서. 

  6. Cho, I. & Shin, H.(2010). A study of evaluating factors of the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161-169. 

  7. Choi, Y. & Kim, M.(2009). The residents' satisfaction on the facilities and programs of community center in apartment - focused on the apartment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5), 51-59. 

  8. Choi, H. & Shin, K.(2008). Analysis of interior features of indoor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7(5), 80-90. 

  9. Han, M. & Lee, S.(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skills applied to the community concept in co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93-100. 

  10. Hwang, Y., Lee, S., & Uh, S.(2009a). Evaluation of outdoor community facility in rental apartment for community space activation. Journal of the KIEAE, 9(5), 69-76. 

  11. Hwang, Y., Jang, Y., Sohn, Y., & Jang, A.(2009b). Residents' usage of community facilities by types of national rental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8(5), 147-155. 

  12. Kim, D., Jung, E., & Ryu, J.(2005). A study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location type of the neighborhood facility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39-46. 

  13. Kim, H. & Lee, Y.(2008).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community facility according to age group of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Journal of the KIEAE, 8(4), 55-62. 

  14. Kim, S. & Min, S.(2008). The study on community facilities in residential complexe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KIEAE), 15, 277-286. 

  15. Kye, K. & Chun, H.(2000). Community-base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urban a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search Report. 

  16. Lee, S. & Hwang, Y.(2008). A study on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s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KIEAE, 8(6), 79-87. 

  17. Lee, Y.(2009). Planning methods and arrangement type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Ur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0(1), 71-88. 

  18. Shin, H. & Lee, J.(2008). A study on the residents' needs for service facilities in multi-family housing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1), 39-48. 

  19. Shin, Y., Yeon, T., & Lee, Y.(2006). A study on the residents' cognition and behavior about communal space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1), 166-174. 

  20. Sohn, S. & Kim, W.(2009).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using community facilities and its proper size of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6), 145-155. 

  21. Song, M.(2009). A Study on the use of and demand on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partment complexes: case study of Young-in Dongbaik area.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5(2), 167-183. 

  22. Yeon, T., & Shin, Y.(2005). A field study on the management and uses of resid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housing managers' interview.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0), 12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