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설치기준과 주민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Supply Criteria of Public Faciliti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in the Apartments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1 no.6, 2011년, pp.19 - 28  

최기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n the supply of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supply criteria of present welfare facilities. Analyz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about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physical supply criteria. The study sets up the concept and proposed trend of the relate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부대복리시설 설치기준에 근거해 물리적 설치기준에 따른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주민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행 부대복리시설 설치기준에 근거해 주거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을 분류하고 물리적 설치기준에 따른 커뮤니티시설과 주민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주거단지 내 커뮤니티 증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분석법을 통해 설정된 지표와 거주민의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주택 내 커뮤니티 증진을 위해 현행 설치기준은 거주자 만족도 측면에서 판단해보았을 때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상관분석결과와 다차원척도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비교해보면 두 분석 모두 만족도와 각 지표와의 관계의 방향성에서 동일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착안점은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질적향상을 위해 그간 수행되어온 연구의 초점이 설치기준의 개선 치우쳐 연구되어 왔으며 공동주택 거주성의 질적 향상을 위한 커뮤니티시설의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접근이 부족하였다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분양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단지 내 커뮤니티에 대한 주민만족도에 근거하여 물리적 설치기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는데 차별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와 가장 근접하게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주민만족도 분석을 기반으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한 박수화 이원근(2009)의 연구와는 해당 연구가 각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지역별 세대규모별(500세대에서 1,000세대 이상까지) 개별 만족도를 조사하여 입주민의 만족도가 높은 시설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 만족도가 커뮤니티시설의 양적 설치기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췄다는 점 그리고 분석방법에 있어 박수화 이원근(2009)의 연구는 개별시설에 대한 거주주민의 만족도를 설문하여 지역별 세대별 만족도의 평균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2차원의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커뮤니티시설의 공급정도(면적 혹은 개수)와 거주주민의 만족도가 일련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게소는 무엇을 기준으로 설치 기준이 마련되어 있는가? 설치기준을 살펴보면 휴게소의 경우 300세대 세대수를 기준으로 설치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주민공동시설의 경우 세대수를 기준으로 일정면적을 확보하는 기준이다. 경로당과 어린이놀이터는 100세대를 기준으로 세대수 증가에 따라 면적을 확보하는 기준이며, 주민운동시설의 경우 500세대 이상이 설치기준이며 500세대 미만에서는 의무설치가 아니다.
부대복리시설이란 무엇인가? 우선 부대복리시설은 법률용어로 부대시설과 복리시설로 나뉘는데 부대시설이란 진입도로, 주차장, 관리사무소, 담장, 및 주택단지안의 도로, 우편물 수취함 등 공동주택단지 내 입주민의 기초생활을 위해 필수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복리시설이란 어린이 놀이터, 근린생활시설, 유치원, 주민운동시설, 경로당, 주민공동시설, 공동작업장 등 입주자의 생활복리 및 삶의 질을 위해 제공되는 제반시설을 말한다1).
다차원 척도분석의 장점은 무엇인가? 다차원 척도분석은 인지도분석(Perceptual Mapping)이라고 하는데 대상들 간의 관련 이미지(회사, 제품, 서비스 등)의 복잡한 관계를 2차원이나 3차원의 공간에서 단순한 구도로 시각화하여 주는 통계분석 기법이다. 이 기법은 판별분석이나 군집분석과 같은 분류기법이지만, 단순 분류의 특성을 넘어서서 대상물이 위치하는 지점을 시각적 구도 속에서 알려준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강병서ㆍ김계수, 2009). 또한 다차원 척도분석은 응답자가 대상을 인지하거나 평가할 때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하게 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 적정수의 평가차원을 결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상에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주민만족도와 살펴보고자 하는 커뮤니티시설 지표들 간의 관계를 단순한 구도로 시각화하기 위해 다차원척도분석을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병서, 김계수(2009), (SPSS 17.0)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출판사. 

  2. 김수미(2005), 공공임대 아파트의 옥외부대복리시설 기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수미, 심우갑(2004), 호수밀도를 고려한 옥외부대복리시설 기준과 옥외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권8호, pp. 107-116. 

  4. 김용선, 송명규, 이경진(2010),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권1호, pp.161-181. 

  5. 김혜근(2004), 임대아파트 공적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권태규, 최상헌(2009),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및 관리자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권11호, pp.69-78. 

  7. 노형진(1999). 한글 SPSSWIN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8. 박수화, 이원근(2009), 공동주택 단지내 외부공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4집2호, pp.163-185. 

  9. 서수정, 백혜선(2004), 공동주택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권11호, pp.219-230. 

  10. 성기수(2009), 공동주택 적주성 지표에 관한 연구: 부대복리시설의 통합 지표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송명규(2009), 단지 유형별 아파트 거주자들의 커뮤니티시설 이용 및 수요도에 관한 연구: 용인동백지구를 사례로, 부동산학연구 15집2호, pp.167-183. 

  12. 연태경, 심연섭(2005), 관리자 면담을 통한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 관리 및 사용실태 분석: 시설 현황 및 공간변용과 관리상 문제점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1권10호, pp. 121-130. 

  13. 최임주(2006), 평형별 구성비에 따른 아파트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권4호, pp. 159-168. 

  14. 최혜진, 신경주(2008), 공공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의 설치기준과 경향, 한국생활과학연구 28집1호, pp.64-70. 

  15. Hillery Jr., George A.(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6. Gerald Porterfield(2001), Community By Design: New Urbanism for Suburbs and Small Communities, McGraw-Hi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