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전호흡이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불안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of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4, 2012년, pp.292 - 303  

정미현 (군산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J도에 소재한 2개 의료기관에서 주 1회 이상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로서 1회 60분씩, 주 2회, 12주간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9명을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Quasi-experimental design)이다. 단전호흡 프로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불안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우울(Zung, 1965)과 불안(Spielberger, 1975) 그리고 피로(Lee, Hick and Nino-Murcia, 1991)도구를 사용하여 종속변수를 측정하였으며, 간호중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실험처치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우울과 불안 정도의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피로 정도 감소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단전호흡 프로그램은 만성질환자인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of hemodialysis patients. This study us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efore applying the Dan Jeon Breathing program,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상자의 피로에 관련된 변인 및 수준에 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나 상대적으로 이들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단전호흡이 그들의 우울과 불안 등 부정적인 심리적 문제를 경감시키고, 피로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제공될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으로서의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J도에 소재한 2개 의료기관에서 주 1회 이상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로서 1회 60분씩, 주 2회, 12주간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9명을 대상으로 단전호흡이 간호중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단전호흡 프로그램은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에는 감소 효과가 없었으나, 우울과 불안 정도는 감소되었다.
  • 본 연구는 단전호흡 프로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불안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 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Quasi- experimental design)이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에게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1회 60분씩, 주 2회, 12주간 적용하여 우울과 불안 등의 심리적인 문제와 피로가 감소되는지를 규명하여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적용한 간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불안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전호흡이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불안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단전호흡은 우리나라 고유의 독창적인 간호중재로 다양한 대상자의 신체, 정신적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간호교육과정에 반영하므로 간호전문성을 확대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간호교육의 질적인 향상과 임상현장에서 실무자를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에게 적합한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말기신부전으로 인해 혈액투석을 지속적으로 받아야 하는 대상자의 신체적 조건과 본 질병의 특성 및 대상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추후 유사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2단계인 행공과 호흡수련을 위해 대상자가 직립자세에서 2동작, 반좌위에서 4동작, 앙와위에서 3동작으로 체위에 변화를 주어 호흡수련과 뇌파진동 수련을 하였다. 이 단계에서의 목적은 Qi 증진 및 축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3단계인 각성단계 및 정리운동에서는 3동작으로 구성되어 전신이완 상태에서 각성을 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 단전호흡을 받은 실험군의 우울 정도는 단전호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
  • 제 2가설 : 단전호흡을 받은 실험군의 불안 정도는 단전호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
  • 제 3가설 : 단전호흡을 받은 실험군의 피로 정도는 단전호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혈액투석환자 수는 몇 명인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의료급여 통계에 따르면 혈액투석환자 수는 2006년 44,136명에서 2010년 58,232명으로 31.9%가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말기신부전환자 발생률과 유병률은 전세계에서 10위 정도의 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1].
우리나라의 말기신부전환자 발생률과 유병률은 전세계에서 몇 위를 차지하고 있는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의료급여 통계에 따르면 혈액투석환자 수는 2006년 44,136명에서 2010년 58,232명으로 31.9%가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말기신부전환자 발생률과 유병률은 전세계에서 10위 정도의 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1].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말기신부전은 보존요법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하여 신장이식이나 투석요법으로 생명을 연장해야만 한다.
말기신부전환자의 경우 치료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9%가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의 말기신부전환자 발생률과 유병률은 전세계에서 10위 정도의 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1].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말기신부전은 보존요법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하여 신장이식이나 투석요법으로 생명을 연장해야만 한다. 만성신부전환자는 신장기능이 정상 신장기능의 25% 이하로 저하되고 약물요법으로써 기능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국민건강보험공단, 신대체요법 현황보고, 2010. 

  2. 한대석, "혈액투석의 원리와 임상", 대한의학협회지, 제31권, 제5호, pp.475-482, 1988. 

  3. D. Cukor, J. Coplan, C. Brown, S. Fridman, A. C. Smith, and R. A. Peterson, "Depression and anxiety in urba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American Society Nephrology, Vol.2, pp.484-490, 2007. 

  4. 김성록,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증과 불안증",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제29권, pp.733-741, 2010. 

  5. K. Bargiel-Matusiewicz, "Psychological influence on the psychical state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Vol.57, No.4, pp.33-38, 2006. 

  6. 배정이, 정상태, 손혜숙, 염석란, 배윤효, WHO 안전도시 공인을 위한 손상율 조사 및 손상감시체계구축 연구용역 보고서 부산광역시, 인제대학교, 2011. 

  7. 박혜자, "투석유형에 따른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생리적 변화 및 일상생활적응도 비교", 카톨릭대학교 의학부 논문집, 제41권, 제1호, pp.461-473, 1988. 

  8. 변영순, 구재언, "혈액투석환자의 투석 전.후 피로 정도와 생리적요인과의 관계",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5권, 제2호, pp.6-12, 2003. 

  9. E. Y. Choi and H. Y. Lee, "Study on factors related to fatigue of hemodialysis patients," Asia-Pacific Traditional Nursing Conference, pp.86, 2004. 

  10. K. McCann and J. R. P. Boore, "Fatigue in persons with renal failure who require maintenance hemodi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2, No.5, pp.1132-1142, 2000. 

  11. 이현숙, 혈액투석환자의 수면장애 변인,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김기진, 이건택, "점증적 최대운동후 회복기의 단전호흡, 정적 및 동적 휴식간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비교", 과학논집, 제29권, pp.43-53, 2003. 

  13. 김덕중, "단전호흡과 걷기운동이 고혈압 비만남 성의 신체구성, 혈압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6호, pp.365-373, 2004. 

  14. 김상돌, 이완호흡 운동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불안, 우울, 피로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5. 고경민, 밝 받는 법, 국선도, 1974. 

  16. 허경무, 들숨과 날숨사이 세상이 머무네, 밝문화연구소, 2000. 

  17. 현경선, "단전호흡 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폐기능과 심리건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4호, pp.459-469, 2002. 

  18. 정진근, 김정완, "단전호흡수련이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제40권, 제4호, pp.219-228, 2001. 

  19. 현경선, 원정숙, 김원옥, 한상숙, 이지아, "단전호흡 프로그램이 노인의 폐활량, 체력,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 4호, pp.474-482, 2009. 

  20. 강승자, 김남영, "아로마 손마사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소양증, 피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지, 제20권, 제6호, pp.815-972, 2008. 

  21. 이명화, 고광욱, 손명숙, 우경미, 조선화, "아로마 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지, 제6권, 제1호, pp.5-74, 2004. 

  22. 이정희, 미술치료가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3. 정여숙, 음악 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4. 이재순, 김경숙, 김미영, 오수미, 오순학, 이효심, "웃음요법이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지, 제9호, pp.107-150, 2006. 

  25. J. Battl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s, Vol.4, pp.745-746, 1978. 

  26. W. W. K. Zung,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12, pp.63-70, 1965. 

  27. C. D. Spielberger, Theory and measurement of Anxiety States. In R. B. Cattel and R. M. Dreger(Eds). handbook of Modern Personality Theory, John Wiley and Sons, 1977. 

  28. A. David, A. Pelosi, E. MacDonald, D. Stephens, D. Ledger, R. Rathbone, and A. Mann,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ritish Medical Journal, Vol.301, pp.1190-1202, 1990. 

  29. A. K. Lee, G. Hicks, and G. Nino-Mucri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cale to assess fatigue," Psychiatry Research, Vol.36, pp.291-298, 1991 

  30. S. E. Cohen, C. L. Hamilton, E. T. Riley, D. S Walker, A. Macario, and J. W. Halpern, "Obstetric postanesthesia care unit stays," Anesthesiology, Vol.89, pp.1559-1565, 1998. 

  31. 송옥헌, "정신과 외래환자의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16권, pp.7-9, 1977. 

  32.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제21권, 제11호, pp.1220-1223, 1978. 

  33. 김혜령, 혈액투석 환자의 피로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34. 최미경, 이영희,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96-204, 2010. 

  35. 허동규, "명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반응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 권, 제3호, pp.232-240, 2009. 

  36. 현경선, 강현숙, 안동환, "단전호흡 수련인과 비수련인의 신체건강, 불안, 우울정도 비교", 성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45-255, 2000. 

  37. 조춘호, 단전호흡수련이 양궁슈팅 수행 및 호흡 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8. 송정, 이완요법이 전산화단층촬영 대상자의 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9. 윤민영,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0. 안성희, "간호사에게 적용한 단전호흡 수련이 피로도 및 이완정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제8권, 제2호, pp.75-81,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