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적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of Related Legal Systems of Community Facilities for Community Activatio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2, 2012년, pp.47 - 57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related regulations of community facilities for community activa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related regulation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To provide the improvement, we took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민공동시설 관련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동주택 단지 및 지역 특성에 대응하는 주민공동시설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 일본의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규와 일본 공동주택의 주민공동시설 설치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적 제도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규인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현재 일본의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규 및 설치현황을 토대로 향후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주민공동시설 설치 관련 법규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 도출을 위해 일본의 주민공동시설 관련 법규 및 설치 현황을 파악하였다.
  • 또한 주민공동시설은 법적용어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3항에서 주민공동시설을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시설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시설의 종류로는 주민운동시설, 주민교육시설, 청소년수련 시설, 주민휴게시설, 도서실, 독서실, 입주자집회소, 경로당, 보육시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공동시설의 종류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설과 거주자가 함께 사용 및 관리하는 시설 중 이웃 교류의 장이 되고 있는 어린이놀이터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민공동시설의 거주자의 공동체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러 거주자가 함께 생활할 수 밖에 없는 주택유형에서는 필수적이 공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단위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택을 공급해온 배경은? 1980년대 이후 도시화 집중 현상으로 인한 도시 인구의 증가로 도시의 부족한 주택 수를 제공하기 위해 대단위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택을 공급해 왔다. 이로 인해 서울시 주택보급률은 1980년 당시 56.
주택의 질적 측면을 위해 필요한 것은? 주택의 양적 공급을 우선으로 하는 정책에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으로 정책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행정안전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국토해양부의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등 정부가 주택의 질적 측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살기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거에 관련된 생활환경을 정비하고 단절된 이웃관계를 복원하기 위한 주거공동체 조성이 필요로 하는데(KRIHS, 2007), 주거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거주자가 함께 모여 커뮤니티 활성화를 할 수 있는 공간 및 시설과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주거 공동체에 참여하고자 하는 공동체 의식이 필요할 것이다.
서울시 주택보급률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1980년대 이후 도시화 집중 현상으로 인한 도시 인구의 증가로 도시의 부족한 주택 수를 제공하기 위해 대단위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택을 공급해 왔다. 이로 인해 서울시 주택보급률은 1980년 당시 56.1%에서 2010년 현재 101.9%(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로 주택의 양적인 수준을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의 양적 공급을 우선으로 하는 정책에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으로 정책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행정안전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국토해양부의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등 정부가 주택의 질적 측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이연숙 (1995).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서울: 도서출판 경춘사. 

  2. Choi, H., & Shin, K. (2008). Analysis of interior features of indoor community facilities on apartment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5), 51-59. 

  3. Choi, Y., & Kim, M. (2009). The users'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center in apartment.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Academic Conference of Housing Association, 2, 211-216. 

  4. Kim, S., & Min, S. (2008). The study on community facilities in residential complexes.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KIEAE, 15, 277-286. 

  5. Kim, H., & Kang, S. (2009).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and use of the community for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focusing on complex rewarded for the best place to liv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Academic Conference of Kousing Housing Association, 2, 192-197. 

  6. Kim, H., Park, C., & Ro, J. (1995). A descriptive study on the dweller's consciousness about the positioning of community facilities' arrangement in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if Korea, 11(11), 151-161. 

  7. KRIHS (2007). Creating Beautiful and Humane Settlement Environments. 

  8. Kwon, T., & Choi, S. (2009). A study on preferences and satisfactions of the planning elements for activation of multi-family housing community facilities - focused on residents questionaries and superintendents interviews.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Academic Conference of KIID, 11(1), 38-43.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4). Research to Improve Housing Building Standard. 

  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Research for Improvement of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 to Vitalize Community. 

  1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Regulation for Housing Building standard etc. 

  12. Ministry of Legislation (2011). Constitution Article 89 Section 3. 

  13. Ministry of Legislation (2011). Housing Act. 

  14.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Diffusion ratio of house. 

  15. Seo, H., & Kim, Y. (2009).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care-giving experiences of grandparents and their social service need.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4(1), 267-296. 

  16. Seo, S., & Baek, H. (2004). A field study on the spacial changing uses of service facilities in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1), 219-230. 

  17. Shin, H., Jo, I., Kim, Y., & Lee, S. (2011). A study on the residents' needs and the use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Academic Conference of Kousing Housing Association, 1, 251-255. 

  18. Shin, H., Jo, I., Kim, Y., & Lee, S. (2011). A case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1), 83-93 

  19. Shin, Y. (2006). A study on user's cognition and behavior about residential community space in apartment hous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Yonsei, Seoul. 

  20. Shin, Y., & Yeon, T. (2006). An analysis of residents' needs for resid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s across family life cycle stag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5), 57-64. 

  21. Song, M. (2009). Research for demand and use of community facilities of residents of apartment per building type. Research on Real Estate Study, 15(2), 167-183. 

  22. http://www.reiki.metro.tokyo.jp 

  23. http://www.city.kanazawa.lg.j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