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기반 작전 방법론을 적용한 V-C 연동체계에서 전투효과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s for V-C System: Applying Effective Based Operation (EBO)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3, 2012년, pp.1337 - 1345  

김영인 (한성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홍윤기 (한성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전구에서 적용되고 있는 EBO의 핵심교리는 측정 가능한 효과를 선정하여 최소의 전투로 승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EBO 교리를 고찰하여 무기체계 획득에 요구되는 방법론으로 V-C 연동체계 하에서의 효과분석 방법론을 연구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은 먼저 편성된 무기체계의 효과 정보를 확인하고 분석목적을 고려하여 MOE와 MOP, 효과를 설정하며 적정 무기체계의 운용개념과 시나리오 등을 적용하고 가용 C모델로 사후분석 조정 환류 하는 것이다. V-C 연동체계는 가상 합성 전장 환경에서의 실시간 전투실험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V-C 연동체계에서 미래 대전차 유도무기체계의 방어전투 편성과 배치 등을 고려한 모델링으로 대대급 작전으로 중대급 개체를 운용하는 시나리오를 작성, AWAM을 구현하여 효과를 분석하고 SBA 토대를 구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le of Effective Based Operation applied to the Korean Theater resulted in measurable effects to win the minimum battle. Based on the finding, this study recommends the effect analysis methodology under the V-C interoperability system to acquire a weapon system. This method is follow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작전계획수립은 계획에 착수하여 임무를 분석하여 방책을 수립하고 분석 비교하여 방책을 선정하고 계획 및 명령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 때 방책수립 시 효과를 선정하여 적의 PMESII체계((Political, Military, Economy, Social, Infrastructure, Information 정치, 군사, 경제, 사회, 정보로 국가를 구성하는 핵심체계)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핵심노드를 선정하고 이를 기초로 효과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책을 분석 비교하여 효과를 다시 한 번 검토하고 효과측정요소(MOE)와 효과측정지표(MOEI)를 더욱 구체화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기반 작전교리의 핵심은? 효과기반 작전교리의 핵심은 ‘효과에 기초한 사고’를 통하여 계획하고 시행하며 평가하는 것이다. 이때의 효과 개발과 측정은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EBO를 수행하는 지침은? 첫째 효과기반 계획(EBP)이다. 계획단계에서의 핵심은 효과설정(E)이다. 작전계획수립은 계획에 착수하여 임무를 분석하여 방책을 수립하고 분석 비교하여 방책을 선정하고 계획 및 명령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 때 방책수립 시 효과를 선정하여 적의 PMESII체계((Political, Military, Economy, Social, Infrastructure, Information 정치, 군사, 경제, 사회, 정보로 국가를 구성하는 핵심체계) 분석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핵심노드를 선정하고 이를 기초로 효과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책을 분석 비교하여 효과를 다시 한 번 검토하고 효과측정요소(MOE)와 효과측정지표(MOEI)를 더욱 구체화해야 한다. 둘째 효과기반 수행(EBE)이다. 수행단계에는 작전 전구 내에서 적 체계에 대체 설정된 요망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DIME((Diplomacy, Information, Military, Economy 외교, 정보, 군사, 경제로 전쟁에서 사용되는 국력수단의 4개 분야임 )요소 등을 통합하여 선정된 적의 핵심노드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이다[2]. 셋째 효과기반 평가(EBA)단계이다. 효과기반작전의 성공여부는 요망효과 달성여부에 기인되며 측정하는 수단과 방법의 개발은 중요한 부분이다. 효과에 기초한 평가 절차는 전투피해평가(Battle Damage Assesment), 탄약효과 평가 측면에서 성공여부를 측정하는 방법을 넘어 목표와 효과가 연계된 모든 분야에 걸쳐 포괄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넷째 효과기반 조정 통합 단계이다. 효과 측정요소(MOE)와 시행측정요소(MOP)에 의하여 평가를 하고 효과평가위원회를 거쳐 미흡한 효과와 관련된 노드를 분석하고 조치방안을 강구한다[3].
한반도 전구에서 적용되고 있는 EBO의 핵심교리란? 한반도 전구에서 적용되고 있는 EBO의 핵심교리는 측정 가능한 효과를 선정하여 최소의 전투로 승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EBO 교리를 고찰하여 무기체계 획득에 요구되는 방법론으로 V-C 연동체계 하에서의 효과분석 방법론을 연구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im, Young In(Ed.), Force Assesment & Joint Experiment, KNDU, Seoul, 2011. 4 

  2. M.G. Games M. Dubik, U.S. Army. "Effects-based Decisive and Actions", Military Review, Jan-Feb 2003. p.34. 

  3. USJFCOM, "EBO and the Classical Elements of Operational Design .ppt", An Effects-based Approach Commander's Handbook for an Effects-Based Approach to Joint Operations 

  4. Kwon Seung Man and others, Unmaned Ground Vechicle Effectiveness Analysis Appling OneSAF Model, 16th Ground Weapon System Conference, 2008. 

  5. Go, Seong Kil and others, Combat 21 and K1 Tank Simulator Interoperability Scheme Using Model Converter, Kimst Journal Vol. 13 No. 5, p.842, 2010. 

  6. Womack, John, "SE CORE Program Briefing UC09", OneSAF Conference , 2009. 

  7. JCS, AWAM User's Guide, Seoul, 2007 

  8. Yoon, Sang Yoon, Kim, Young In. A Study on Scientific Requirement Generation Technique (ROKA TRADOC Policy Report), 2009. 11 

  9. Kim, Gun In and others, M&S Based Weapon System Aqusition (Cyber Lecture Contents), 2011.6 

  10. Lee, Myoung Woo, Scientific Combat Development for Combat Experiment, Combat Development Journal Vol. 129, pp.45-5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