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패널자료를 이용한 승용차 통행수요 탄력성 추정 연구
Estimating Elasticities of Car Travel Demand Using Pseudo-Panel Dat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0 no.2, 2012년, pp.7 - 20  

한상용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  이재민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김태승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구의 지속적인 승용차 보유 증가로 인한 승용차 이용 증대는 교통부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는 가구원수, 가구소득, 거주지역 등 다양한 가구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구특성 변수들이 승용차 통행수요에 미치는 영향, 즉,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탄력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5부터 2007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 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승용차 통행수요의 단기 가격탄력성은 0.2974~0.4280, 장기 가격탄력성은 0.4087~0.6275로 분석되었고, 단기 소득탄력성은 0.3364~0.6281, 장기 소득탄력성은 0.7098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 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 추정결과는 향후 교통수요관리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정량적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pseudo-panel data set and estimate price and income elasticities of car travel demand, using 1995-2007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in order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analyzing related policy effects in the transport sect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5부터 2007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승용차 통행수요의 가격 및 소득탄력성 추정에 있어 단기 및 장기 탄력성을 구분하여 추정함으로써 승용차 통행수요 감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유류 가격과 소득 변화에 의한 승용차 통행수요 탄력성 추정을 위해 가계동향조사 자료 중 세후 가구소득이 양(+)의 값을 갖고 승용차를 소유 및 이용하는 가구 자료만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유류가격과 가구소득 변화에 따른 승용차 통행수요 탄력성 추정을 위해 1995~2007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유사 연구사례들에서와 같이 가구주의 출생 년도를 기준으로 집단별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즉 조사연도별로 개별 가구표본 자료들을 가구주의 출생년도가 1921~1925(그룹1), 1926~1930(그룹2), , 1981~1985(그룹13), 1986~1990(그룹14) 등 5년 간격으로 구분된 총 14개의 집단(Cohort)으로 분류하여 가구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5부터 2007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승용차 통행수요의 가격 및 소득탄력성 추정에 있어 단기 및 장기 탄력성을 구분하여 추정함으로써 승용차 통행수요 감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995~2007년의 가계동향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였으나, 조사자료의 한계로 인해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차종규모와 차량연료를 구분하여 추정할 수 없었다.
  • 본 연구는 비교적 장기간 가구에서 실제로 지출한 승용차 연료비용 자료를 이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승용차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 추정결과는 향후 교통수요관리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정량적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상패널모형(pseudo-panel model)을 이용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 탄력성을 추정함으로써 가구특성 변수들이 승용차 통행수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를 줄일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 탄력성 추정에 있어 최근의 계량 경제학적 방법론인 가상패널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술적 기여도 기대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95~2007년의 가계동향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Table 9]와 [Table 10]에 제시되어 있는 실증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승용차 통행수요의 가격 및 소득탄력성 추정에 있어 단기 및 장기 탄력성을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이용하고 있는 가계동향조사 자료는 1951년 한국은행에서 처음 부산지역의 60가구를 대상으로 처음 시행된 이후, 현재까지 농어업 종사자를 제외한 전국의 약 8,500가구(가구원 2인 이상)를 대상으로 999개의 조사구에서 조사되고 있다. 본 조사는 가구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가구의 생활 실태와 변동사항을 명확히 파악함으로써 국민생활수준의 변화를 측정 및 분석하며, 각종 경제 및 사회정책입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한 결과에서 각 수치는? 본 연구에서는 1995부터 2007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상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장․단기 가격 및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승용차 통행수요의 단기 가격탄력성은 0.2974~0.4280, 장기 가격탄력성은 0.4087~0.6275로 분석되었고, 단기 소득탄력성은 0.3364~0.6281, 장기 소득탄력성은 0.7098로 분석되었다.
가구의 지속적인 승용차 보유 증가로 인한 승용차 이용 증대는 무엇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가? 가구의 지속적인 승용차 보유 증가로 인한 승용차 이용 증대는 교통부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는 가구원수, 가구소득, 거주지역 등 다양한 가구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구특성 변수들이 승용차 통행수요에 미치는 영향, 즉, 가구의 승용차 통행수요에 대한 탄력성 분석이 필요하다.
만성적인 교통혼잡의 주요 원인은? 서울도심지역을 비롯하여 출퇴근 시간대의 과다한 승용차 이용은 만성적인 교통혼잡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가구의 지속적인 승용차 보유 증가로 인한 승용차 이용 증대는 교통부문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k, S. G. and Jeong, S. Y.(2007), The elasticities of expressway trip patterns with fuel price, The 57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77-86. 

  2. Beach, C. M. and Finnie, R.(2004), A longitudinal analysis of earnings change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Vol.37, No.1, pp.219-241. 

  3. Bourguignon, F., Goh, C. and Kim, D. (2004), Estimating individual vulnerability to poverty with pseudo-panel data,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2275. 

  4. Dargay, J. and Vythoulkas, P.(1999), Estimation of a dynamic car ownership model : a pseudo-panel approach,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33, No.3, pp.287-302. 

  5. Davidson, R. and Mackinnon, J.(2003), Estimation and Inference in Econometrics, Oxford University Press. 

  6. Deaton, A.(1985), Panel data from time series of cross sections, Journal of Econometrics, Vol.30, pp.109-126. 

  7. Garner, B. R., Godley, S. H. and Funk, R. R.(2002), Evaluating admission alternatives in an outpatient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 for adolescents, Evaluation & Program Planning, Vol.25, No.3, pp.287-295. 

  8. Goodwin, P., J. Dargay and M. Hanly (2004), Elasticities of road traffic and fuel consumption with respect to price and income : a review, Transport Reviews, Vol.24, No.3, pp.275-292. 

  9. Graham, D. J. and S. Glaister(2002), The demand for automobile fuel : a survey of elasticitie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36, No.1, pp.1-26. 

  10. Griffin, J. M.(1979), Energy Conservation in trhe OECD: 1980 to 2000,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11. Han, S. Y. and Lee, J. H.(2010), Analysis on Expenditure Structures and Impact Factors of Household Transportation Co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8, No.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33-43. 

  12. Hanly, M., J. Dargay and P. Goodwin (2002), Review of Income and Price Elasticity in the Demand for Road Traffic,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Council. 

  13. Hausman, J.(1978), Specification test in econometrics, Econometrica, Vol.46, pp.1251-1271. 

  14. Huang, B.(2005), Car Demand Forecasting Using Dynamic Pseudo Panel Model, MVA and Department of Economics, Birkbeck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15. Huang, B.(2007), The Use of Pseudo Panel Data for Forecasting Car Ownership, MPRA and Department of Economics, Birkbeck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16. Korea Energy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2011), http://www.kesis.net,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7. Korea Petroleum Information Network (2011), http://www.petronet.co.kr,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18. Lee, S. G. and Kim, T. H.(2002),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Effects by Gasoline Taxation Polic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p.1-135. 

  19. Lee, S. T. and Lee, M. H.(2001), Estimation of gasoline price elasticities of demand for automobile fuel efficiency in Korea : a hedonic approach,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ol.10, No.1, pp.45-64. 

  20. Lee, S. W. and Park, J. H.(1999), Estimation of Urban Transport Demand Elasticity with Respect to Price, Income and Service Level, Korea Transport Institute, pp.1-206. 

  21. Oum, T. H., W. G. Waters II and J. S. Yong(1992), Concepts of price elasticities of transport demand and recent empirical estimate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26, No.2, pp.139-154. 

  22. Pindyck, R. S.(1979), The Structure of World Energy Demand, The MIT Press. 

  23. Russell, J. E. and J. W. Fraas(2005), An application of panel regression to pseudo panel data, Panel Regression, Vol.31, No.1, pp.1-15. 

  24. Verbeek, M. and T. Nijman(1992), Can cohort data be treated as genuine panel data?, Empirical Economics, Vol.17, pp.9-23. 

  25. Weir, G.(2003), Self-employment in the UK labour market, Labour Market Trends, Vol.111, No.9, pp.441-452. 

  26. Wooldridge, J. M.(2002),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The MIT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