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 분석
Poverty Reduction in Elderly Household Types: The Impact of Basic Pens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 2021년, pp.267 - 274  

김안나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및 2019년도의 가계 동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비교년도 동안 증가세를 보였으며 공적이전소득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가구유형별 빈곤율 비교에서는 노인단독가구의 높은 빈곤율을 볼 수 있다. 정부의 빈곤완화 정책 효과분석은 모든 노인가구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소득분배개선은 모든 노인가구유형에서 개선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개선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연금도입의 효과를 분석한 이중차이 다중로짓분석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중위소득의 40%를 기준으로 하는 빈곤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Basic Pension scheme in terms of poverty reduction and income distribution among elderly households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type. It compares the data before (2013) and after (2016, 2019)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by using Househ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빈곤 의 규모 감소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기초연금제도 시행 전후 및 확대 이후 노인빈곤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기초연금의 노인가구유형에 따른 상이한 효과를 보고하고 있어[7,14] 기초연금의 노인 빈곤완화 효과를 보다 상세히 분석해보기 위해 노인가구 유형에 따른 빈곤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가구의 유형은 노인단독가구, 노인부부가구, 기타노인가구로 분류하였으며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초연금이 노인가구 소득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노인가구의 소득 및 지출현황을 살펴본다.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가구 및 기초 (노령)연금 수급 노인가구의 소득원천 분해를 통해 기초 연금이 노인가구 소득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기초연금 의 노인가구 빈곤감소와 소득분배 개선 효과는 빈곤위험 에 처한 인구의 비율을 의미하는 상대빈곤율과 소득분배 의 현황과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백분위율과 지니계수 등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기초연금의 빈곤감소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해당 사업의 시행이 노인 빈곤의 규모와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빈곤 의 규모 감소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기초연금제도 시행 전후 및 확대 이후 노인빈곤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 기초연금의 빈곤완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초연금이 실시되기 이전 기초노령연금 지급 시기인 2013년도를 기준으로 하여, 2014년 도입 당시 20만원 으로 시작하여 물가상승률에 따라 인상된 기초연금의 지급액을 반영한 2016년 소득자료와 소득 하위 20%에 대해 연금액을 30만 원으로 확대 인상한 2019년 소득자료를 비교하고자 한다. 분석 연도의 소득 비교를 위해 통계 청의 가계동향조사를 사용한다.
  • 기초연금의 빈곤감소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해당 사업의 시행이 노인 빈곤의 규모와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빈곤 의 규모 감소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기초연금제도 시행 전후 및 확대 이후 노인빈곤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기초연금의 노인가구유형에 따른 상이한 효과를 보고하고 있어[7,14] 기초연금의 노인 빈곤완화 효과를 보다 상세히 분석해보기 위해 노인가구 유형에 따른 빈곤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다음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분 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소득분배지표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백분위율과 지니계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저소득 노인계층에게 기초연금이 확대된 2019년도의 가계동향조 사를 비교·분석하였다.
  • 이에 2013년과 2016년 소득자료 비교를 위해 가계동향조사 연간자료와 분기자료를 활용하고 2019년의 경우 가계동 향조사(소득 부분) 분기별 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2). 본 연구를 위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각 년도별 가계동향조 사의 원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 기타노인가 구는 65세이상 노인가구주의 자녀 및 자녀의 배우자와 동거하거나 조손가구 등이 포함된다. 빈곤율 변화의 비교를 위해 분석대상 년도의 분기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 기타 소득분배지표는 통계청에서 산출하여 발표하는 기 준을 적용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위의 다양한 빈곤 및 소득분배지표를 중심으로 기초연금의 도입 전후 각 지표의 변화를 노인 가구 유형별로 살펴봄으로써 노인가구 유형별 기초연금의 빈곤감소 및 소득분배 개선 효과를 분석 하고자 한다.
  • 2017 년 이후 소득과 지출을 분리하여 발표하고 있는 가계동 향조사는 분기별로 소득자료를 발표하고 있다. 이에 2013년과 2016년 소득자료 비교를 위해 가계동향조사 연간자료와 분기자료를 활용하고 2019년의 경우 가계동 향조사(소득 부분) 분기별 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2). 본 연구를 위해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각 년도별 가계동향조 사의 원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 대표적인 것으로 전 국민으로 확대적용된 국민연금제도의 실행을 들 수 있으나, 제한된 수혜대상자와 낮은 연금수령액, 제도의 광범위한 사각지대 문제 등으로 인해 이미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와 노인 빈곤 현상을 현행 국민연금제도만으로 해결하기 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국가에서는 2008년 기초노령연금을 도입하고 2014년 7월 기초연금으로 확대 실시하면서 노인 빈곤 문제를 적극적 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초연금은 기초노령연금의 소득보장수준을 확대한 제도로써, 기초노령연금이 노인 1 인에게 월 최대 9.
  • 특히 2014년 월 최대 20만원으로 시작했던 기초연금이 2019년 4월 소득하위 20% 저소득 수급노인에게 월 최대 30만원으로 인상되면 서 기초연금의 확대 효과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 한국사회의 노인 빈곤의 실태를 기초연금 도입전후와 기초연금이 확대된 2019년 시기까지를 비교하고 노인가구유형에 따른 기초 연금의 빈곤감소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9). International Statistics: Trends and Analysis. Seoul: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K. S. Park & M. S. Kim. (2016). The Impact of Changes in Household Living Arrangements on the Changes in Poverty Rate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50(1), 221-253. DOI : 10.15207/JKCS.2017.8.4.239 

  4. S. H. Seok. (2010). An Analysis on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0, 335-352. DOI : 10.21194/kjgsw..50.201012.335 

  5. W. S. Kim & Y. H. Lee. (2014). Evaluating the Introdcution of Basic Pension System under Parl-Guen-Hye Government. Social Research, 15(2), 69-103. DOI : 10.22862/kjsr.2014.15.2.003 

  6. Y. M. Kim & S. S. Han. (2017). Critical Review on Goals of the Basic Pension of Korea: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the Basic Pension. Korea Social Policy Review, 24(4), 89-112. DOI : 10.17000/kspr.24.4.201712.89 

  7. H. Y. Kim. (2017).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Gender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54, 120-159. 

  8. K. B. Yi.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Basic Pension on Private Transfer Incomes of Elderly Households: Using Data from NaSTaB.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11(1), 77-107. 

  9. S. H. Lee, I. H. Ku & B. D. Sohn. (2016). Effects of expended basic pension on elderly households' income, expenditure and poverty: using differences-in-differences. Conference of Social Policy, 467-489. 

  10. C. J. Lee & J. S. Lee (2016).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Poverty of Elderly Households in Korea. 9 th Conference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2-16. 

  11. W. S. Lim. (2016). An Analysis on the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Basic Pension. Health and Welfare Forum, 6, 82-97. 

  12. J. H. Lee & S. H. Moon. (2014).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the Economic Status of Older Peopl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3(3), 411-440. 

  13. C. J. Lee & H. W. Tak. (2018).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Basic Pension on Poverty Gap in Elderly Household.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22(2), 25-52. DOI : 10.31553/kpsr.2018.06.22.2.25 

  14. J. H. Kim & M. A. Chun (2020). Changes in Income and Income Composition of Elde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Social Welfare Policy, 47(1), 31-50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What is basic pension? https://basicpension.mohw.go.kr/Nfront_main/index.jsp 

  16. H. K. Kwon & J. R. Ryu. (2018). Adequacy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of Public Pension for Old-Age Income Security in Korea. Journal of Public Society, 8(1), 38-82. DOI : 10.21286/jps.2018.02.8.1.38 

  17. N. N. Kim & J. I. Kim. (2013). Reexamining the Indices of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19(2), 1-64. 

  18. Statistics Korea. (2020).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ejeon: Statistics Korea 

  19. W. J. Lee, H. S. Jung & J. H. Jun. (2019). An Examination on Income Survey Microdata: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and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es. 

  20. A. N. Kim & H. W. Hong. (2018). Youth poverty and employ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9(2), 93-124. 

  21. O. G. Choi & E. Y. Lee. (2017). An examination on poverty of the aged, before and after taking basic pension. Jeonju: National Pension Servic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