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암 생존자의 신체기능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12-week Combined-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Fatigue for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9 no.1, 2012년, pp.5 - 15  

김미숙 (부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류기형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and fatigue for cancer surviv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all of 61 persons consisted of prostate cancer(n=22), breast cancer (n=20), and stomach cancer(n=19) survivor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호르몬과 관련된 암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남성과 여성의 성 호르몬 관련 암인 전립선암과 유방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병률이 높은 위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신체기능 중 건강과 관련된 체력요소인 신체조성, 근력, 심폐지구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암 생존자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피로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으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암 생존자의 신체기능 및 피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암으로 제시된 바 있는 유방암, 전립선암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ACSM (2006)에서 권고하고 있는 암환자 운동지침에 따라 개발된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암 생존자의 신체기능 및 피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 제 2가설: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피로도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의 암 환자에 대한 운동중재 연구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최근 들어 암환자에 대한 운동중재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국내에서도 암 정복 추진위원회가 발족되었고, 국민의 암 예방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열린제 11회 암 정복 포럼에서 “운동과 암 예방 근거 제시” 라는 주제 아래, Kim과 Choi (2008)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암으로 대장암,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갑상선암을 제시하면서, 종류별 암 환자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하면 안드로겐이 억제되어 종양세포의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는 반면, 운동부족이나 비만으로 인한 과체중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증가시키고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감소시켜 종양형성을 촉진하고, 인슐린과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 (leptin)과 같은 대사성 호르몬의 분비에도 영향을 주어 암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 바 있다 (Galvão et al., 2008).
암환자들이 겪는 2차적 고통은 무엇이 있는가? 암환자들은 암 치료 후 극심한 피로감과 불면증, 인지기능 저하 등의 2차적 고통을 겪게 된다. 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주는 정도의 심한 피로를 호소하는 비율은 15%로 일반인에 비해 2배가량 높고, 불면증 유병율도 일반인의 2배 정도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암 치료는 환자와 가족, 국가에 어떤 어려움을 초래하는가? 7%)의 사망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Cancer Control Planning Board, [NCCPB], 2009). 암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환자 개인과 가족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은 물론 의료비와 건강관리 비용의 막대한 지출 및 건강한 생활인으로의 복귀곤란 등으로 환자를 비롯한 가족구성원에게 경제적 위협을 가하게 되고 국가적으로도큰 손실을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 guidelines for exercising testing and prescription (8th ed.). Baltimore: Author. 

  2. Choi, J. Y. (2008). The effect of home-based exercise program in stomach cancer patients undergoing oral chemotherapy after surge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 Courneya, K. S., Friedenreich, C. M., Sela, R. A., Quinney, A. S., Rhodes, R. E., & Handman, M. (2003). The group psychotherapy and home based physical exercise trial in cancer survivors: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Psycho-Oncology, 12, 374-357. 

  4. Durak, E. P., & Lilly, P. C. (1998). The application of an exercise and wellness program for cancer patients: A preliminary outcomes report. Journal of Strength Conditioning Research, 12, 3-6, 

  5. Galvao, D. A., & Newton, R. U. (2005).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899-909. 

  6. Galvao, D. A., Nosaka, K., Taaffe, D. R., Peake, J., Spry, N., Suzuki, K., et al. (2008). Endocrine and immune responses to resistance training in prostate cancer patients. Prostate Cancer Prostatic Disease, 11, 160-165. 

  7. Hansen, P. A., Dechet, C. B., Porucznik, C. A., & LaStayo, P. C. (2009). Comparing eccentric resistance exercise in prostate cancer survivors on and off hormone therapy: a pilot study. Journal of Injury, Function and Rehabilitation, 1, 1019-1024. 

  8. Ingram, C., & Visovsky, C. (2007). Exercise intervention to modify physiologic risk factors in cancer survivor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3, 275-284. 

  9. Kim, M. S., Park, S. W., & Chung, M. K. (2011). The effects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function and urinary incontinence after prostatectomy: Preliminary study. The Korean Journal of Urological Oncology, 9(1), 9-16. 

  10. Kim, S. H. (2006).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on cancer-related fatigu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during chemo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Kim, Y. W. (2011). The effects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on heath-related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2. Kim, Y. S., & Choi, B. Y. (2008). Guidelines for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 exercise on the health and cancer prevention. Paper presented at the 11th Cancer control forum, Seoul, Korea. 

  13. Lee, E. H. (1999). Construct validity of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485-493. 

  14. McTiernan, A. (2004). Physical activity after cancer: Physiologic outcomes. Cancer Investigation, 22, 68-81. 

  15. Na, Y. M., Kim, M. Y., Kim, Y. K., Ha, Y. R., & Yoon, D. S. (2000). Exercise therapy effect on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in stomach cancer patients after curative surgery. Arch Physician Medical Rehabilitation, 81, 777-779. 

  16. National Cancer Control Planning Board. (2009). Annual report of cancer incidence, cancer prevalence (2007) and survival (1993-2007) in Korea. Seoul: Author. 

  17. Pickett, M., Mock, V., Ropka, M. E., Cameron, L., Coleman, M., & Podewils, L. (2002). Adherence to moderate intensity exercise during breast cancer therapy. Cancer Practice, 10, 284-292. 

  18. Pinto, B. M., Frierson, G. M., & Rabin, C. (2005). Home-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3577-3587. 

  19. Piper, B. F., Dibble, S. L., Dodd, N. J., Weiss, M. C., Slaughter, R. E., & Paul, S. M. (1998).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in women with 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5, 677-684. 

  20. Porock, D., Kristjanson, L. J., & Tinnelly, K. (2000). An exercise intervention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experiencing fatigue: A pilot study. Journal Palliative Care, 16, 30-36. 

  21. Schmitz, K. H., Ahmed, R. L., & Hannan, P. J. (2005). Safety and efficacy of weight training in recent breast cancer survivors to alter body composition,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axis protein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Prevention, 14, 1672-16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