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plants distribution. Plants are sensitive to bioclimates, and local variations of climate determine habitats of pl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narrow-range plants in South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들의 생육지를 예측하고,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환경 인자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식물의 분포 특성별 주요 환경인자를 파악하여 식물 생육에 미치는 기후적 영향을 규명하고자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다양한 식물의 생육지 이동 예측 연구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이 연구는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의 양상에 따라 기후 인자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대상종을 늘려 식물의 분포 양상에 따른 생육지를 군집화하거나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들의 생육지를 예측하고,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환경 인자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식물의 분포 특성별 주요 환경인자를 파악하여 식물 생육에 미치는 기후적 영향을 규명하고자한다.
  • 이 연구에서는 국지적으로 생육하는 식물들의 분포를 예측하고,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위치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종분포모형을 통해 대상종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를 살펴보았다.
  • 제2·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수집된 식물 위치자료를 활용하여 생육지 분포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의 지리적 분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식물의 지리적 분포는 기후, 토양, 지형, 인위적 요인 등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된다. 이 중 기후는 식물 분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초기 생물지리학자들은 기후 변수를 이용하여 식생을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해 왔다(Woodward, 1987; Fortin and Dale, 2005; Guisan and Thuiller, 2005; Lee et al.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이 높은 이유는?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남북으로 길게 늘어서 있어서 비교적 다양한 기후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형적으로도 높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국토 면적에 비해 생물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8).
국지적으로 생육하는 식물들의 분포를 예측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는 국지적으로 생육하는 식물들의 분포를 예측하고,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위치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종분포모형을 통해 대상종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를 살펴보았다. 남부지역에 생육하는 나도밤나무, 노각나무, 사스레피나무는 강수량과 기온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도밤나무는 연강수량과 가장 건조한 분기 강수량에, 노각나무는 연강수량과 고도에, 사스레피나무는 기온의 계절적 변동과 가장 건조한 분기 강수량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부 및 내륙지역에 생육하는 꼬리조팝나무, 꼬리진달래, 산겨릅나무는 기온과 고도에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꼬리조팝나무는 겨울철평균기온과 연평균기온에, 꼬리진달래는 가장 따뜻한 분기 평균기온과 고도에, 산겨릅나무도 가장 따뜻한 분기의 평균 기온과 고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국지적 단위의 현장 연구의 결과와 많은 부분이 일치하고 있어 모형의 적합도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ttorre, F., M. Alfo, M. De Sanctis, F. Francesconi, R. Valenti, M. Vitale and F. Bruno, 2011. Evaluat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ree species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the Italian peninsula. Applied Vegetation Science 14(2):242-255. 

  2. Austin, M. 2002. Spatial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 : an interface between ecological theory and statistical modelling. Ecological Modelling 157:101-118. 

  3. Choi, U. H. 2007. Study on Habitat and Propagation of Acer tegmentosum Max.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4. Chung, M. G. and B. K. Epperson. 2000.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llozyme polymorphisms in a population of Eurya japonica (Theaceae). Silvae Genetica 49(1):1-4. 

  5. Chung, M. G. and S. S. Kang. 1994.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n populations of Eurya japonica (The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1(8), 1077-1082. 

  6. Elith, J., H. Graham, C. P. Anderson, R. Dudik, M. Ferrier, S. Guisan, A. J. Hijmans.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2):129-151. 

  7. Fortin, M. J. and M. R. T. Dale. 2005. Spatial analysis : a guide for ecologis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Fukuda, Y. 1933. Hygronastic curling and uncurling movement of the leaves of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with respect to temperature and resistance to cold. Japanese Journal of Botany 6(2), 191-224. 

  10. Guisan, A. and W. Thuiller. 2005.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 : offering more than simple habitat models. Ecology Letters 8(9), 993-1009. 

  11. Hannah, L. 2011. Climate Change Biology. America (p. 416). Academic Press. 

  12. Harrison, P., P. Berry, N. Butt and M. New. 2006. Modell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species' distributions at the European scale :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olicy. Environmental Science Policy 9(2), 116-128. 

  13. Horikawa, M., I. Tsuyama, T. Matsui, Y. Kominami and N. Tanaka. 2009.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alpine habitat suitability of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Landscape Ecology 24(1):115-128. 

  14. Jin, G. Z., R. Li, Z. H. Li and J. H. Kim. 2007.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6):730-736. 

  15. Kim, J. W., M. B. Lee, W. S. Kong, T. H. Kim, C. S. Kang, K. Park and B. I. Park. 2008. Physical Geography of Korea.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in Korean) 

  16. Kim, N. Y. 2010.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for Preservation of Rare Rhododendron micranthum.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Kong, W. 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4):357-37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Kong, W. S. 2007. Biogeography of Korean Plants. Seoul:Geobook. (in Korean) 

  19. Koo, K. A., W. S. Kong and C. K. Kim. 2001.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Plants and Climatic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3):247-2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Pochon:Korea National Arboretum. (in Korean) 

  21. Kwon, H. J., H. K. Song. 2008. Vegeta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Sterwartia korean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3):296-30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Kwon, H. J., J. H. Gwon, H. R. Jeon, J. H. Lee and H. K. Song. 2011.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Korean J. Environ. Ecol. 25(5):725-73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Lee, C. B. 1999. Illustrat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unsa. (in Korean) 

  24. Lee, D. K., J. W. Kim and C. Park. 2010. A Prediction of Forest Vegetation based on Land Cover Change in 2090.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2):117-1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Lee, J. H. and B. H. Choi. 2010.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4):267-2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Lee, J. S., W. K. Lee, J. H. Yoon and C. C. Song. 2006.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6):663-6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Lee, K. J., S. S. Han, J. H. Kim and E. S. Kim. 2007. Forest Ecology. Seoul:Hyangmunsa. (in Korean) 

  28. Lee, K. U., K. C. Yu and B. R. Lee. 1989. A Study on the wild Rhododendron micranthum for being used as Landscape Pla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7(2):41-4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9. Lovejoy, T. E. and L. Hannah. 2005.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Yale University Press. 

  30. Manabe, T. and S. I. Yamamoto. 1997. Spatial distribution of Eurya japonica in an oldgrow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SW Japa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8(6):761-772. 

  31. Nakao, K., T. Matsui, M. Horikawa, K. Tsuyama and N. Tanaka. 2011. Assessing the impact of land use and climate change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of Quercus acuta in Japan. Plant Ecology 212(2):229-243. 

  32. Nilsen, E. T. 1987. Influence of water relations and temperature on leaf movements of rhododendron species. Plant physiology 83(3):607-612. 

  33. Ottaviani, D., G. J. Lasinio and L. Boitani. 2004. Two statistical methods to validate habitat suitability models using presence-only data. Ecological Modelling 179(4):417-443. 

  34. Phillips, S., R. Anderson and R.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3-4):231-259. 

  35. Seo, C., J. H. Thorne, L. Hannah and W. Thuiller. 2009. Scale effects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s :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lanning under climate change. Biology letters 5(1):39-43. 

  36. Shim, K. K., B. K. Seo, K. W. Lee, H. N. Cho and S. C. Shim. 1992. Study on the Korean Native Stewartia (Stewartia koreana). Korean J. Hortic. Sci. 33(5), 413-424. 

  37. Thuiller, W. 2003. BIOMOD - 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9(10):1353-1362. 

  38. Trisurat, Y., R. P. Shrestha and R. Kjelgren. 2011. Plant specie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n Peninsular Thailand. Applied Geography 31(3):1106-1114. 

  39. Woodward, F. I. and B. G. Williams.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at global and local scales. Vegetatio 69(1-3):189-197. 

  40. Yang, K. C. and J. K. Shim. 2007. Distribu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5(2):168-17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1. Yun, J. H., J. H. Kim, K. H. Oh, B. Y. Lee. 2011. Distributional Change and Climate Condi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1):47-5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2. Yun, J. H., K. Nakao, C. H. Park, B. Y. Lee, K. H. Oh. 2011. Change Prediction for Potential Habitat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by Climate Change. Korean J. Environ. Ecol. 25(4):590-60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3. Yun, J. H., K. Nakao, C. H. Park, B. Y. Lee. 2011. Potential Habitats and Change Prediction of Machilus thunbergii Siebold and Zucc. in Korea by Climate Change. Korean J. Environ. Ecol. 25(6):903-9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4. Http://eol.org Encyclopedia of Lif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