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승용차량 정차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객관적 인체반응특성과 주관적 불편함평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Objective Human Response and Subjective Discomfort Evaluation of Idle Vibration on Passenger Vehicle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22 no.5, 2012년, pp.422 - 428  

이재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부) ,  전경진 (LG전자 EC사업부) ,  안세진 (르노삼성자동차) ,  정의봉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rteen taxi drivers as the subject in the experiment were exposed to vertical vibration which is controlled on a rigid seat reflecting vibration on passenger vehicle. They were employed not only to get human response of objective measurement but also to mak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vibr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가진기 상부에는 스트레인 게이지타입의 AMT사의 OR6-7 힘 측정판(force plate)를 설치하여 3축 병진방향의 힘과 3축 회전방향의 모멘트를 측정하였다.
  • 그리고 절대역치의 불편함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승용차량의 정차진동이라 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승용차량의 정차상태에서 이정도의 진동에 한 시간 정도 노출되면 피곤할 것 같다”로 설정하였으며, 불편하지 않음의 판단기준으로 “승용차량의 정차진동으로 이 정도의 진동에는 불편함이 없다”로 설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 진동에 반응하는 인체의 객관적 물리량으로는 수직방향 가진에 대한 수직방향 병진응답인 겉보기 질량(apparent mass)(1)과 피칭방향 회전응답인 겉보기 편심질량(apparent eccentric mass)(6)으로 하였다. 이때 병진과 회전에 대한 좌표축은 Fig.
  • 이 연구에서는 단축 가진기를 이용해 정차진동 주파수 범위(20~40 Hz) 내에서 5 Hz 간격으로 나누어진 총 5가지 주파수의 가진신호에 대한 인체의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승용차량의 정차시 진동의 주파수 대역에서 객관적 인체반응의 물리량과 주관적 불편함의 절대역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객관적 인체반응의 지표로서 겉보기 질량과 겉보기 편심질량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0.
  • 이 연구에서는 승용차량의 정차진동을 고려한 수직방향 진동에 대한 인체 반응 특성(객관적 물리량)과 불편함의 절대역치(주관적 평가)를 택시기사들로 구성된 13명의 피시험자를 이용하여 획득하였으며, 이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주관적 평가의 지표로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 20~40 Hz 사이의 5가지 주파수에서 정현파 신호 가진에 대한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three-down one-up method를 통하여 구하였다.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인체반응 특성 확인 실험에는 동일한 피시험자를 이용하여 실험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 피시험자는 부산 시내에서 개인택시를 운영하는 13명의 택시기사들로 선정하였으며, 키와 몸무게, 나이, 운전경력 등의 통계적 자료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피시험자의 착석자세는 Fig. 2와 같이 허벅지가 평평한 시트에 편안하게 접촉되는 average thigh contact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허리를 곧게 세우고 정면을 주시하도록 요구하고 실험 도중에 의도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주문하였다. 평판시트는 가진기 위에 고정된 단단한 나무재질의 평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대상 데이터

  • 이 연구에서는 승용차량의 정차시 진동의 주파수 대역에서 객관적 인체반응의 물리량과 주관적 불편함의 절대역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객관적 인체반응의 지표로서 겉보기 질량과 겉보기 편심질량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0.224 m/s2 r.m.s의 가진 크기를 가지는 3~40 Hz 대역의 랜덤신호의 상하방향 가진을 이용하여 13명의 피시험자로부터 구하였다. 주관적 평가의 지표로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 20~40 Hz 사이의 5가지 주파수에서 정현파 신호 가진에 대한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three-down one-up method를 통하여 구하였다.
  • 3은 three-down one-up method 실험의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가로 축은 평가의 진행횟수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각각의 진행에 따른 자극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 진동자극은 정차진동 각각의 주파수에 대하여 Table 4와 같은 크기를 가지는 정현파 진동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절대역치의 불편함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승용차량의 정차진동이라 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승용차량의 정차상태에서 이정도의 진동에 한 시간 정도 노출되면 피곤할 것 같다”로 설정하였으며, 불편하지 않음의 판단기준으로 “승용차량의 정차진동으로 이 정도의 진동에는 불편함이 없다”로 설정하였다.
  • 임의의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IMV Corporation사의 i-220 전기식 단축 가진기를 사용하였으며, 이 가진기의 상세사양은 Table 1에 정리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가속도계는 저주파 대역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Kistler사의 8310B 단축 가속도계를 사용하였으며, 가진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실제 주파수와 크기가 안정적으로 제어 되도록 가속도 신호를 피드백 제어되도록 구성하였다. 가진기 상부에는 스트레인 게이지타입의 AMT사의 OR6-7 힘 측정판(force plate)를 설치하여 3축 병진방향의 힘과 3축 회전방향의 모멘트를 측정하였다.
  • 1에 나타내었다. 임의의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IMV Corporation사의 i-220 전기식 단축 가진기를 사용하였으며, 이 가진기의 상세사양은 Table 1에 정리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가속도계는 저주파 대역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Kistler사의 8310B 단축 가속도계를 사용하였으며, 가진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실제 주파수와 크기가 안정적으로 제어 되도록 가속도 신호를 피드백 제어되도록 구성하였다.
  • 2와 같이 허벅지가 평평한 시트에 편안하게 접촉되는 average thigh contact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허리를 곧게 세우고 정면을 주시하도록 요구하고 실험 도중에 의도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주문하였다. 평판시트는 가진기 위에 고정된 단단한 나무재질의 평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실험 데이터의 획득과 후처리를 위해 NI사의 Labview와 Mathwork사의 Matlab을 이용하였다.
  • 피시험자는 부산 시내에서 개인택시를 운영하는 13명의 택시기사들로 선정하였으며, 키와 몸무게, 나이, 운전경력 등의 통계적 자료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피시험자의 착석자세는 Fig.

이론/모형

  • 평판시트는 가진기 위에 고정된 단단한 나무재질의 평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실험 데이터의 획득과 후처리를 위해 NI사의 Labview와 Mathwork사의 Matlab을 이용하였다.
  • Mansfield(9)는 차량의 시트를 통해 전달되는 두신호의 진동크기를 구별하는 상대역치(difference thresholds)를 three-down one-up method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Westhuizen(10)는 시트의 성능을 나타내는 SEAT(seat effective amplitude transmissibility) value와 시트의 상대 안락감을 평가하여 상관성분석을 하였다. 여기서는 시트의 상대 안락감을 평가하기 위해 virtual seat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은 three-down one-up method에 기초를 두고 있다. Ahn(11)은 0.
  • 이 실험에서는 연속자극에 의한 감각순응의 영향을 배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험의 정확도가 높은 dixon이 최초로 제안한 심리 계측법인 three-down one-up method를 채택하여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구하였다(13). Three-down one-up method의 절차는 먼저 초기자극을 설정한 후 피시험자의 반응에 따라 자극의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과정으로 실험이 진행된다.
  • s의 가진 크기를 가지는 3~40 Hz 대역의 랜덤신호의 상하방향 가진을 이용하여 13명의 피시험자로부터 구하였다. 주관적 평가의 지표로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 20~40 Hz 사이의 5가지 주파수에서 정현파 신호 가진에 대한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three-down one-up method를 통하여 구하였다.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인체반응 특성 확인 실험에는 동일한 피시험자를 이용하여 실험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승차감 향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는 이유는? 근래의 자동차 산업시장에서는 소비자 만족과 더불어 자동차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차의 성능뿐만 아니라 승차감 향상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의 승차감에 대한 연구는 인체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것과 차량의 동특성에 반응하는 사람의 심리적인 현상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차량의 승차감에 대한 연구의 분류는? 근래의 자동차 산업시장에서는 소비자 만족과 더불어 자동차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차의 성능뿐만 아니라 승차감 향상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의 승차감에 대한 연구는 인체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것과 차량의 동특성에 반응하는 사람의 심리적인 현상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승용차량의 정차시 진동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객관적 인체반응의 물리량을 구한 방법은? 이 연구에서는 승용차량의 정차시 진동의 주파수 대역에서 객관적 인체반응의 물리량과 주관적 불편함의 절대역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객관적 인체반응의 지표로서 겉보기 질량과 겉보기 편심질량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0.224 m/s2 r.m.s의 가진 크기를 가지는 3~40 Hz 대역의 랜덤신호의 상하방향 가진을 이용하여 13명의 피시험자로부터 구하였다. 주관적 평가의 지표로는 정차시 진동을 고려한 20~40 Hz 사이의 5가지 주파수에서 정현파 신호 가진에 대한 불편함의 절대역치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three-down one-up method를 통하여 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Griffin, M. J., 1990, Handbook of Human Vibration, Elsevier Academic Press, London. 

  2. ISO 5982, 2001,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Range of Idealized Values to Characterize Seated-body Biodynamic Response Under Vertical Vibr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ava. 

  3. BS 6841, 1987,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 Whole-body Mechanical Vibration and Repeated Shock, UK. 

  4. ISO 2631-1, 1997,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 Whole-body Vibration - Part 1: General Require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5. Cheung, W. S., Kim, Y. T., Kwon H. S., Hong, D. P., 2003,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Korean-seated Subjects under Vertical Vibration : (I) Apparent Mas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3, No. 8, pp. 645-650. 

  6. Jeon, G. J., Kim, M. S., Ahn, S. J., Jeong, W. B. and Yoo, W. S., 2010, Human Response to Idle Vibration of Passenger Vehicle Related to Seating Postur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0, No. 12, pp. 1121-1127. 

  7. Parsons, K. C. and Griffin, M. J., 1988, Whole-body Vibration Perception Threshold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121, No. 2, pp. 237-258. 

  8. Morioka, M. and Griffin, M. J., 2006, Magnitude-dependence of Equivalent Comfort Contours for Fore-and-aft, Lateral and Vertical Whole-body Vibration,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98, pp. 755-772. 

  9. Mansfield, N. J. and Griffin, M. J., 2000, Difference Thresholds for Automobile Seat Vibration, Applied Ergonomics, Vol. 31, pp. 255-261. 

  10. Anriette van der Westuizen and Johannes L. van Niekerk, 2006, Verification of Seat Effective Amplitude Transmissibility(SEAT) Value as a Reliable Metric to Predict Dynamic Seat Comfort,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95, pp. 1060-1075. 

  11. Ahn, S. J., 2010, Discomfort of Vertical Whole-body Shock-type Vibration in the Frequency Range of 0.5 to 16 Hz,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 11, pp. 909-916. 

  12. Yoo, W. S., Kim, M. S., Jang, H. K. and Ahn, S. J., 2005,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Shock Signals Excited on a Vehicle Passing Bumps, Transactions of KSAE, Vol 13, No. 2, pp. 29-36. 

  13. Dixon, W. J. and Mood, A. M., 1948, A Method for Obtaining and Analyzing Sensitivity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43, pp. 109-126. 

  14. Park, D. W., Ahn, S. J. and Yoo, W. S., 2007, Study on Relationship Discomfort and Body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Seat under Height of Footrest and Angle of Seatpan, Transactions of KSAE, Vol. 15, No. 6, pp. 38-43. 

  15. Mansfield, N. J. and Griffin, M. J., 2000, Non-linearities in Apparent Mass and Transmissibility During Exposure to Whole-body Vertical Vibration,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3, pp. 933-941. 

  16. Matsumoto, Y. and Griffin, M. J., 2002, Non-linear Characteristics in the Dynamic Responses of Seated Subjects Exposed to Vertical Whole-body Vibration, Journal of Biomechanical Engineering, Vol. 124, pp. 527-529. 

  17. Rakheja, S., Stiharu, I. and Boileau, P. E., 2002, Seated Occupant Apparent Mass Characteristics Under Automotive Postures and Vertical Vibration,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53, pp. 57-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