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막걸리(탁주)의 쥐 혈장 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Inhibition Effect against the Rat Blood Plasma Oxidation of the $Makgeolli$ ($Takju$) Korean Rice Win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1, 2012년, pp.116 - 122  

왕승진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이형재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조정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장미영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박근형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막걸리 추출물과 타종의 주류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동일 용량(70 ${\mu}L$ eq)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ABTS^+$ radical-scavenging 활성은 위스키 > 막걸리 조추출물 > 정종 ${\simeq}$ 막걸리 청징액 > 소주 순이었다. 그러나 동일 알콜 함량(6%)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막걸리 조추출물 > 위스키 > 정종 ${\fallingdotseq}$ 막걸리 청징액 > 소주 순이었다. 이어 쥐 혈장의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 (CE-OOH) 생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주류의 동일 용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CE-OOH 생성 억제능은 소주 > 위스키 > 정종 > 막걸리 조추출물 > 막걸리 청징액 순이었다. 한편 동일 알콜 함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정종 > 막걸리 조추출물 > 소주 > 위스키 > 막걸리 청징액 순이었다. 그리고 막걸리 조추출물의 용매분획물들[동일 용량 (70 ${\mu}L$ eq) 기준]을 대상으로 CE-OOH 생성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H_2O$${\fallingdotseq}$ BuOH층 > EtOAc층 > n-hexane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makgeolli$ and other alcoholic beverag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same volume (70 ${\mu}L$ eq.) of the alcoholic beverages, the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mmonium salt)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were a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악성인자들을 소거 또는 무독화함으로써 생체 손상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군을 항산화 화합물이라 하고, 녹황색 야채 및 과일에 널리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적극적인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기인되는 각종 질병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의 생리활성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일환으로써 쥐의 혈장을 이용하여 막걸리의 항산화 활성을 다른 종류의 주류들과 함께 비교하였다.
  • 그러나 이것은 아직 in vitro 수준의 연구임을 고려하였을 때, 본 연구를 통해 기대했던 효과가 실제로 발현되는가를 추후 동물실험 등의 in vivo 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본 실험에서 이용한 각 주류의 모든 제품을 대표하는 결과가 아님 또한 명시해두고자 한다. 또 in vitro 및 in vivo를 막론하고 막걸리에 의해 의미있는 생리활성이 발현되었다고 하더라도 막걸리의 음용에 의해 기대되어지는 생리활성이 발현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양을 어느정도의 기간동안 음용하여야 하는지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그래서 지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혈장이나 그 LDL 획분의 산화 억제 정도는 혈액의 항산화능 및 동맥경화 예방 효과를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 활용되곤 한다. 이에 막걸리의 혈장에 대한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우선 막걸리 조추출물을 대상으로 쥐 혈장(rat plasma)의 피산화성을 비교ㆍ검토하였다. 혈장의 산화 억제능 평가는 혈액 중의 cholesteryl ester가 산화되어 생성되는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 (CE-OOH)를 지표화합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우리의 전통 민속주 중의 하나인 막걸리는 예로부터 널리 음용되어 온 양조주로써 당화와 발효의 공정을 병행하여 제조하는 알콜성 음료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주류이다. 막걸리라는 이름은 “막거른 술”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맑지 않고 탁하기 때문에 “탁주”라 부르기도 하고, 예로부터 식량대용 또는 갈증해소를 위해 농부들이 즐겨 음용해 왔다고 하여 “농주”라고도 불리어져 왔다(1).
항산화 화합물이 소거 또는 무독화하는 대상은? 최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각종 퇴행성 질환 및 대사이상 질환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원인 중의 하나로 활성산소나 자유라디칼의 관여가 잘 알려져 있고, 그들이 생체의 노화 및 관련 질병의 주요인자로 작용하고 있음 또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13,14). 이와 같은 악성인자들을 소거 또는 무독화함으로써 생체 손상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군을 항산화 화합물이라 하고, 녹황색 야채 및 과일에 널리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적극적인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기인되는 각종 질병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막걸리에서 분리동정된 항산화 활성 화합물의 종류는? 양조장에서 생산ㆍ시판되고 있는 일반 막걸리는 에탄올이 약 6~8%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B 군 등 유용한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뿐만 아니라 최근 막걸리로부터 4-hydroxybenzaldehyde, 2-(4-hydroxyphenyl) ethanol, trans- 및 cis- 형의 ferulic acid, 1H-indole-3-ethanol, dimethyl succinate, succinic acid, 그리고 mono-methyl succinate와 같은 성분들이 항산화 활성 화합물로 단리ㆍ동정된 바 있다(5). 또 막걸리에 함유된 당류, 유기산, 아미노산 등의 맛성분에 관한 내용(3,6,7)과 전분질 원료나 누룩의 종류에 따른 탁주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개선에 관한 내용(8)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짐으로써 막걸리의 품질이 예전에 비해 월등히 개선되었으며, 더불어 최근 국내와 일본 등에서 막걸리의 소비량이 크게 증가(9)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ang JY, Lee KH (1996)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tudy of Sansung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79-785 

  2. Yoo TJ (1981) Korean famous wine. Central New Book, Seoul, Korea, p 96 

  3. Cheung JH (1967)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he fermented mash of the Takju made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Agric Chem Biotechnol, 8, 39-43 

  4. RDA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ision,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Suwon, Korea 

  5. Wang SJ, Lee HJ, Cho JY, Park KH, Moon JH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rom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4-20 

  6. Kim CH (1963)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organic acid and sugar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gric Chem Biotechnol, 4, 33-42 

  7. Lee WK. Kim JR, Lee MH (1987)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Agric Chem Biotechnol, 30, 323-327 

  8.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9. NTS (2011) Alcoholic liquors factory trends. National Tax Service, Seoul, Korea 

  10. Kim MH, Kim WH, Bae SJ (2001) The effect of Makkoli on serum lipid concentration in male rats. J Nat Sci Silla Univ, 9, 73-84 

  11. Jeong JW, Nam PW, Lee SJ, Lee KG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rice wine concentrates. J Agric Food Chem, 59, 7039-7044 

  12.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13. Gutteridge JMC, Halliwell B (1994)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nutr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4. Chance D, Sies H,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15. Dudonne S, Vitrac X, Coutiere P, Woillez M, Merillon JM (2009)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ic Food Chem, 57, 1768-1774 

  16. Kim GD, Lee YS, Cho JY, Lee YH, Choi KJ, Lee Y, Han TH, Lee SH, Park KH, Moon JH (2010)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and the inhibitory effects against rat plasma oxidati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hot peppers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58, 12300-12306 

  17. Arai H, Terao J, Abdalla DSP, Suzuki T, Takama K (1996) Coulometric detection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s. Free Rad Biol Med, 20, 365-371 

  18. Frei B, Stocker R, Ames BN (1988) Antioxidant defenses and lipid peroxidation in human blood plasma. Proc Natl Acad Sci, USA. 85: 9748-9752 

  19. Stocker R, Frei B (1991) Endogenous antioxidant defenses in human blood plasma. In Sies H ed., Oxidative Stress, Oxidants and Antioxidants. Academic Press, London, UK. p 213-2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