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 -도시 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Suicide Ideation in Rural Residents: Based on Comparison Predictors of Suicide Ideation in Urban Resident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9 no.3, 2012년, pp.617 - 647  

김윤정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강현정 (한서대학교 다문화교육복지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of rural residents. This study was based on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of urban residents. The participants were adolescents, adults, and seniors sampled from 10 provinces all over the country, from May to Aug, 201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이러한 설명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자살률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주로 자살의 완성이라 할 수 있는 자살률에 초점을 두고 있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나 자살생각을 감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 등 보다 예방적 차원에서의 효용성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농촌지역 주민의 자살생각과 개인적 수준 변수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었다.
  • 그러나 도시와 농촌간의 자살률이나 자살생각의 차이를 밝힌 연구(김문두 등 2003; 심영희, 1998; 유정균, 2008)는 있으나 관련변수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비교의 근거로 삼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자살률을 낮추고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자살시도 보다 논리적으로 앞선 사건(Pfeffer, Klerman, Hurt, Lesser, Peskin & Siefker, 1991)이라 할 수 있고, 미연에 발견하면 자살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농촌 주민의 자살생각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 게다가 노년기의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WHO, 2009). 따라서 자살은 어느 특정 연령대에 국한된 사건이라기보다는 전 연령대에 걸쳐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여 자살생각 관련 변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변인을 찾기 위해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고 자살과 관련된다고 알려진 다차원적인 변수를 투입하여 의사결정나무를 통한 분석을 통해 농촌주민의 자살생각의 주요 예측 조건을 찾아내고 그에 따라 예방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이 도시주민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통해 농촌주민 자살생각의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우울감이나 스트레스, 가족결속도 등의 변수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농촌주민의 자살생각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구체적인 조건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도시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비교의 근거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5월에서 8월까지 전국 10개 지역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청소년, 성인, 노인 710명의 자료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변인을 찾기 위해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고 자살과 관련된다고 알려진 다차원적인 변수를 투입하여 의사결정나무를 통한 분석을 통해 농촌주민의 자살생각의 주요 예측 조건을 찾아내고 그에 따라 예방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이 도시주민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통해 농촌주민 자살생각의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즉, 선행연구자들이 사용한 회귀 분석(김윤정, 2011; 김윤정⋅강현정, 2011)이나 구조방정식 모형(박병금, 2006)으로는 수 많은 변인 간 존재하는 수많은 상호작용을 모두 탐색해 내기 어렵기(이창식 등, 2012)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모수적 모형인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사용하고자 한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은 의사결정(decision rule)을 도표화하여 관심대상이 되는 집단을 몇 개의 소집단으로 분류(classification)하거나 예측 (prediction)을 수행하는 분석방법으로, 변수간의 상호작용을 자동적으로 분류해내는 장점이 있다(최종후⋅한상태⋅강현철⋅김은석⋅김미경⋅이성건, 2003).
  • 이에 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사용하여 기존 연구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물론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사용한 연구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농촌주민의 자살생각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구체적인 조건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비교의 근거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도시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농촌주민의 자살생각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구체적인 조건이 무엇인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비교의 근거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농촌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도시주민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모성, 전영주, & 손태홍. (2008). 기혼 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05-134. 

  2. 강상경. (2010)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사회복지연구, 41(2), 67-100. 

  3. 강은정. (2005). 연령계층별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 보건복지포럼, 107, 81-86. 

  4. 김문두, 홍성철, & 이상이. (2003). 사회계층이 자살사망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4, 249-271. 

  5. 김병철. (2010). 자살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8(1), 41-63. 

  6. 김승용. (2004).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 181-205. 

  7. 김윤정. (201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3), 429-444. 

  8. 김윤정, & 강현정. (2011). 성인기 자살생각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3), 45-61. 

  9. 김정진, & 윤명숙. (2009). 농촌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 24(4), 77-102. 

  10. 김현순, & 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강의 구조적 관계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11. 김형수. (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9-172. 

  12. 김효정, & 정미애. (2010)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43-50. 

  13. 노용환. (2006). 자살의 경제학적 분석. 경제학연구. 54(3), 177-200. 

  14. 박병금. (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병금. (2007). 청소년의 가족환경요인과 자살생각-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11(1), 1-17. 

  16. 박현숙?구현영. (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완충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8(1), 87-94. 

  17. 송성호.김창렬.이태용.권인선. (2011).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농촌의학 지방보건학회지, 36(1), 1-12. 

  18. 송영달.손지아.박순미. (2010).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30(2), 643-660. 

  19. 심영희. (1986). 한국사회의 자살: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이론과 실태.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4, 49-71. 

  20. 양순미.임춘식. (2006).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32, 377-396. 

  21. 유정균. (2008).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한국인구학, 31(2), 21-44. 

  22. 윤명숙.김가득. (2008).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29, 115-148. 

  23. 윤호순. (2010). 노인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석사학위 논문. 

  24. 이은석.이선장. (2009). 농촌지역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2), 35-54. 

  25. 이은진?배숙경?엄태영. (2010).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0(2), 615-628. 

  26. 이정윤.허재홍. (2003). 아동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위험요인. 청소년상담연구, 11(2), 85-95. 

  27. 이창식?정미나?김윤정. (2012). 중고등학생의 학교급에 따른 자살생각의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23(1), 31-55. 

  28. 전영평. (2010). 농촌지역 고등학생들의 자살에 미친 요인에 대한 연구; 충청남도 계룡시, 논산시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정민. (2010) 노인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 233-253. 

  30. 최종후.한상태.강현철.김은석.김미경.이성건. (2003). 데이터마이닝 예측 및 활용. SPSS 아카데미. 

  31. 최형임. (2006).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변인 고찰. 사회복지개발연구, 12(3), 273-298. 

  32. 통계청 DB. (2011). 2010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www. kosis.go.kr. 

  33. 허명회. (2007). SPSS 분류분석. SPSS KOREA. 

  34. Argent N, Rolley F. (2000). Financial exclusion in Rural and Remote New South Wales, Australia: a Geography of Bank Branch Rationalisation, 1981-1998. Australian Geographical Studies, 38, 182-203. 

  35. Beck, A. T. & R. A. Steer. (1989). Clinical Predictors of eventual suicide: 5-to 10 year prospective study of suicide attempt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7, 203-209. 

  36. Beck, A. T. & Weissman, A.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6), 861-865. 

  37. Caldwell, T.,M.& Jorm, A., F. & Dear, K. (2004). Suicide and mental health in rural, remote and metropolitan areas in Australia.,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1(7), 10-13. 

  38. Castells, Manuel. (2000)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2nd edition) Oxford: Blackwell Publishing. 

  39. D' Zurilla, T, J.,& & Nezu, A. M. (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ment, 2, 156-163. 

  40. Garrison, C.Z., Addy, C.L., Jackson, K.L., McKeown, R.E., & Waller, J.L. (1991). The CES-D as a screen for depression and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adolescent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0, 636-641. 

  41. Gerald, C. D., John, M. N., Ann, & M. Kring. (2004). Abnormal Psychology, 9/Edition, 이봉건 역, 이상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 237-239. 

  42. Harlow. L. L, Newcomb. M.,D. & Bentler P.M. (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1), 5-21. 

  43. Hirish, J. K. (2006).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ural Suicide.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7(4), 189-199. 10.1027/0227-5910.27.4.189 

  44. Judd, F., Cooper, A., Fraser, C., & Davis, J.(2006). Rural suicide-people or place effect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0(3), 208-216. 

  45. Kalichman, S. C., Heckman, T., Kochman, A. Sikkema, K., & Bergholte, J. (2000).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e Among Middle-Aged and Older Persons Living With HIV-AIDS. Psychiatric Services, 51(7), 2012. 7. 8. http://ps.psychiatryonline.org /data /Journals/PSS /3547/903.pdf 

  46. Leenaars, A. A. (1996). Suicide: A multidimensional malaise.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26, 221- 236. 

  47. Levin. K.,A. & Leyland, A.,H. (2005). Urban-Rural Inequalities in Ischemic Heart Disease in Scotland. 1981-1999. Am J Public Health. 2006 January; 96(1): 145-151. 

  48. McCall, P.L.(1991). Adolescent and Elderly White Male Suicide Trends. Journal of Gerontology, 46(1), 43-51. 

  49. Nock, M. K., Borges, G, Bromet E. (2008).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 suicide mortality: a global cross-sectional analysis in an epidemiological transition perspective. Public Health, 118, 346-348 

  50. Olson, DH, Portner, J., & Lavee, Y. (1985). FACES-IlL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Quay, HC (Ed.). 

  51. Pfeffer, C. R., Klerman, G. L., Hurt, S. W., Lesser, M., Peskin, J. R., & Siefker, C. A. (1991). Suicidal children grow up: Demographic and clinical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ttemp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0, 609-616. 

  52. Pfeffer. C Y.& Klerman,G. L.& Hurt. S.W., Lesser.M & Peskin, J.R. & Siefker,C.A. (1991) Suicidal Children Grow Up: Demographic and Clinical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ttemp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0(4), 609-616. 

  53. Phillips MR, Li X, Zhang Y. Suicide rates in China, 1995-99. Lancet, 359(9309): 835-840. 

  54. Pirkis, J., & Blood, R. W. (2001a). Suicide and the media: Part 1: Reportage in nonfictional media. Crisis, 22, 146-154. 

  55. Range, L. M., & Antonelli, K. B. (1990). A factor analysis of six commonly used instruments associated with suicide u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 804-811. 

  5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57. Rost K, Smith GR, Taylor JL. (1993). Rural-urban differences in stigma and the use of care for depressive disorders. Journal of Rural Health, 9, 57-62. 

  58. Sassen, Saskia (2001) Global City, (2nd E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59. SPRC, Education Development center & STIPDA. (2008). Preventing youth suicide in rural America: Recommendation to state. 2012. 6. 13. http: //www.sprc.org/ sites/sprc.org/ files/ library /ruralyouth.pdf. 

  60. WHO. (2009). Suicides from Mortality database. 2012. 8.1. www.who.int/healthinfo/morttables. 

  61. Wilson, K. G., Stelzer, J., Bergman, J. N., Kral, M. J., Inayatullah, M., & Elliott, C. A. (1995). Problem Solving, Stress, and Coping in Adolescent Suicide Attemp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2), 241-252. 

  62. Wrigley S, Jackson H, Judd F, Komiti A. (2005). The role of stigma and attitudes towards help seeking from a GP for mental health problems in a rural town.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9(6), 514-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