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 면적의 차이가 분만돈의 생산성과 자돈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Farrowing Space on Lactating Sow Performances and Growth Performances of Piglets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8 no.3, 2012년, pp.157 - 164  

이준엽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전중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박규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송준익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물복지관점에서 많은 비난을 받아왔던 관행적 분만틀의 사용을 배제하고 넓은 분만시설의 면적의 제공이 모돈의 생산성 및 자돈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좁은 분만시설로서 분만틀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1. 좁은 분만시설과 넓은 분만시설에서 모돈의 사료섭취량, 등지방 두께, 그리고 체평점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이유시와 분만시 등지방 두께와 체평점의 차이는 넓은 분만시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모돈의 재귀발정일도 좁은 분만시설보다 넓은 분만시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모돈의 분만능력은 분만시설의 면적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하지만 넓은 분만시설 에서 분만전 모돈의 행동 자유가 분만시 신생자돈의 생존율에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분만시설 면적에 따른 차이는 이유자돈수, 자돈의 증체량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으나 넓은 분만시설에서 자돈의 폐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모돈의 복지를 위해 넓은 분만시설은 모돈의 번식능력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자돈의 폐사율 증가라는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다소 불리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자돈의 폐사율 증가에 대한 원인을 모돈과 자돈의 행동학적 관점에서 면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farrowing space, narrow and wide, on the sow performances and piglet growth performances. The $1.5m^2$ of narrow farrowing space was determined as the size of farrowing crate. The $3.0m^2$ of wide space for farro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만시설의 유무에 따라 분만면적을 확대하여 모돈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할 경우 모돈의 생산성과 자돈의 성장능력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실험은 모돈의 동물복지 환경관점에서 분만 면적의 차이가 모돈의 생산성과 자돈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임신스톨에서 종부와 임신기를 보낸 평균 2.

가설 설정

  • 동물복지 관점에서 양돈산업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이 임신돈의 스톨사육과 분만돈의 분만틀 사육일 것이다. EU에서는 2013년 부터 임신스톨의 사용을 금지하였으나 이에 대비하여 10여년 전 부터 대체 사육시설의 개발연구를 진행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2012년부터 시작되는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는 기존의 사육시설이나 방법과는 다른 복지형 시설의 도입과 환경변화로 우리나라의 축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예상 된다. 뿐만 아니라 구제역 사태를 통하여 형성된 국민들의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보다 우호적 환경으로 바뀔 것으로 기대된다.
사육시설관점에서 동물복지 양돈농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2013년부터 시작되는 동물복지 양돈농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사육시설 관점에서 보면 임신돈에서 스톨이나 분만돈에서 분만틀의 사용기한 제한이나 금지일 것이다. 물론 육성 비육돈의 사육밀도도 매우 중요한 복지수준의 결정요인임에는 틀림없으나 모돈 사육시설의 해결이 동물복지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 (전등, 2010).
농장동물의 복지를 과학적이고 이성적으로 접근하여야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농장동물의 복지는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경제적 재화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감성적 접근이 아닌 과학적이고 이성적으로 접근하여야만 한다. 다시 말해, 아무리 좋은 동물 사육 시스템이라도 생산자가 외면하면 동물복지의 시작이 어렵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ey, D. S. and Sancha, E. S. 1996. Bevaviour and productivity of sows and piglets in a family systems and farrowing crates. Appl. Anim. Behav. Sci., 50:135- 145. 

  2. Baxter, E. M., Lawrence, A. B. and Edwards, S. A. 2011. Alternative farrowing systems: design criteria for farrowing systems based on the biological needs of sows and piglets. Anim. 5:580-600. 

  3. Blackshaw, J. K., Blackshaw, A. W., Thomas, F. J. and Newman, F. W. 1994. Comparison of behaviour patterns of sows and litters in a farrowing crate and a farrowing pen. Appl. Anim. Behav. Sci. 39:281-295. 

  4. Damm, B. I., Forkman, B. and Pedersen, L. J., 2005. Lying down and rolling behaviour in sows in relation to piglet crushing.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90, 3-20. 

  5. Directive, 2008. Council Directive 2008/ 120/EC of 18 December 2008 laying down minimum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pigs. http://eur-lex.europa.eu/LexUriServ/LexUriServ.do?uriOJ:L:2009:047:0005:0013:EN:PDF. 

  6. Fraser, D., Phillips, P. A. and Thompson, B. K. 1997. Farrowing behaviour and stillbirth in two environments : an evaluation of the restraint-stillbirth hypothesis. Appl. Anim. Behav. Sci. 55:51-66. 

  7. Gotz, M. 1991. Changes in nursing and suckling behaviour of sows and their piglets in farrowing crates. Appl. Anim. Behav. Sci. 31:271-275. 

  8. Heckt, W. L., Widowski, T. M., Curtis, S. E. and Gonyou, H. W. 1988. Prepartum behavior of gilts in three farrowing environments, J. Anim. Sci., 66:1378-1385. 

  9. Lou, Z. and Hurnik, J. F. 1994. An ellipsoid farrowing crate : Its ergonomical design and effects on pig productivity. J. Anim. Sci. 72:2610-2616. 

  10. Lou, Z. and Hurnik, J. F. 1998. Peripartum sows in three farrowing crates : posture patterns and behavioural activities. Appl. Anim. Behav. Sci. 58:77-86. 

  11. McGlone, J. J. and Morrow-Tesch J. 1990. Productivity and behavior of sows in level vs sloped farrowing pens and crates. J Anim. Sci. 68:82-87. 

  12. McGlone, J. J., Salak-Johnson, J. L., Nicholson, R. I. and Hicks, T. 1994. Evaluation crates and girth tethers for sows : reproductive performance, immunity, behaviour and ergonomic measures. Appl. Anim. Behav. Sci. 39:297-311. 

  13. Oliviero, C., Heinonen, M., Valros, A., Halli, O. and Peltoniemi, O. 2008. Effect of the environment on the physiology of the sow during late pregnancy, farrowing and early lactation, Anim. Reprod. Sci. 105:365-377. 

  14. Oliviero, C., Heinonen, M., Valros, A., and Peltoniemi, O. 2010. Environmental and sow-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of farrowing. Anim. Reprod. Sci. 119:85-91. 

  15. SAS. 1992. SAS User's Guide: Statistic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Inc., Cary, NC. 

  16. Scientific Veterinary Committee. 1997. The welfare of intensively kept pigs. In: Report of the Scientific Veterinary Committee, Animal Welfare Section, to the Comission of the European Union. Doc. XXIV/ScVc/ 0005/1997. Adopted September 30, 1997. Brussels, Belgium. 

  17. Snedecor, G. W. and Cochran, W. G. 1980. Statistical Methods (7th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A. 

  18. Van Dijk, A. J., van Rens, B. T., van der Lende, T. and Taverne, M. A. M. 2005. Factors effecting duration of the expulsive stage of parturition and piglet birth intervals in sows with uncomplicated, spontaneous farrowings. Theriogenology. 64:1573-1590. 

  19. 전중환, 송준익, 전병수, 정의수, 최희철, 강희설, 김두환, 2010. 양돈농가의 분만돈방 및 분만틀 사용 실태조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6:129-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