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과 밀가루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 저장 중의 품질 특성 및 Biogenic Amine 함량 변화
Storage Properties and Biogenic Amines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Rice and Wheat Flou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5, 2012년, pp.583 - 591  

김순미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아라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막걸리의 전분질 원료가 막걸리의 화학적 특성 및 B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쌀과 밀가루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4종류의 막걸리를 4, 10와 $20^{\circ}C$에 각각 30일간 저장하면서 알코올 함량, pH, 산도, 아미노산 함량과 함께 8종의 BA 생성 특성을 측정하였다.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고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쌀만으로 제조한 막걸리 R100과 쌀 70%와 밀가루 30%로 제조한 R70의 알코올 함량이 밀가루 70%와 쌀 30%로 만든 막걸리 R30과 밀가루만으로 제조한 R0에 비해 많았다. 막걸리의 pH는 $4^{\circ}C$에서는 저장 30일까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져서 초기에 pH 4.33-4.38이었던 것이 $10^{\circ}C$$20^{\circ}C$에서 30일째 저장한 경우 각각 pH 3.54-3.81, pH 3.30-3.43까지 감소하였다. 산도는 pH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pH의 감소와 함께 산도는 증가하였다. BA의 전구체가되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역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막걸리에서 측정한 8종의 BA 중 tyramine, putrescine, cadaverine과 phenylethylamine의 4종이 검출되었고, 이 중 가장 주된 BA는 putrescine과 tyramine이었다. BA 생성량은 막걸리의 종류와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BA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4^{\circ}C$$10^{\circ}C$에서는 tyramine, putrescine, cadaverine만 검출된 것과 달리 $20^{\circ}C$에서는 미량이지만 phenylethylamine도 검출되었다. 그러나 전 기간을 걸쳐 histam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쌀과 밀가루 배합비율을 달리한 막걸리에 있어서 BA 생성량은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BA의 최고 생성량은 R100과 R70이 각각 178.6와 682.9 mg/L를 나타낸 반면 R30과 R0는 각각 1186.7와 1150.4 mg/L를 나타내어 쌀의 배합비율이 높을수록 각각의 BA 뿐만 아니라 총 BA의 함량 역시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막걸리의 화학적 특성과 BA 함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H의 변화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막걸리의 BA 생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막걸리는 시판 후 유통 기간 중에도 알코올 함량을 비롯한 화학적 품질 특성이 변화하고, BA 함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저장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품질 변화를 늦추기 위해서는 막걸리를 저온 저장해야 하며, $10^{\circ}C$보다는 $4^{\circ}C$에서의 저장이 권장된다. 또한 쌀의 배합비율이 높은 막걸리는 밀가루 비율이 높은 막걸리에 비해 알코올 생성량은 많으면서도 BA 생성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서 막걸리의 품질 특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막걸리를 쌀로 제조하여 저온저장 함으로써 막걸리의 짧은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막걸리용 밀가루를 국내산 잉여 쌀로 대체하게 함으로써 막걸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쌀 재고량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kinds of makgeolli brew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rice and wheat flour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arbohydrates source on the storage properties, and to examin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A (biogenic amine) contents in makgeolli stored over 30 days at 4, 10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시판되고 있는 막걸리의 전분질 원료는 쌀 100%인 것을 비롯해 밀가루 100%까지 매우 다양한 배합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의 품질 유지 및 BA 생성을 낮추는데 있어서 전분질 원료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쌀과 밀가루의 배합비율을 달리한 4종류의 막걸리를 담근 후 다른 온도에 저장하면서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및 BA 생성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Makgeolli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rice and wheat flours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산 쌀 막걸리에 대한 지불의사를 분석한 논문에서 소비자는 무엇에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Park(2)은 향후 외관을 고급화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을 전개한다면 막걸리는 저가주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소비증진에 큰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또한 Yang과 Yang(3)은 국산 쌀 막걸리에 대한 지불의사를 분석한 논문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쌀과 밀의 혼합 막걸리보다는 쌀 100%에, 수입산 보다는 국내산에, 살균 막걸리보다는 생 막걸리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즉, 100% 국내산 쌀로 담근 생 막걸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은 소비자들의 막걸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동시에 쌀 소비 감소와 수입 증가로 쌀 재고량이 2009년 현재 10만 톤에 이르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기간이 늘어나면서 생성되는 biogenic amine의 종류와 함량이 증가함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또한 막걸리를 실온에서 저장하는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생성되는 biogenic amine의 종류와 함량이 크게 늘어남을 보고한 바 있다(15).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막걸리의 품질에 있어서 담금 과정뿐 아니라 유통 과정 및 구매 후 섭취까지의 전 과정에서 온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막걸리 원료가 쌀에서 밀로 바뀐 계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막걸리 원료는 원래 쌀이었다. 1966년, 극심한 식량난으로 인하여 쌀을 이용한 술 제조가 금지되면서 수입밀로 대체되었으며 이후 보리, 옥수수, 고구마, 도토리, 율무, 타피오카 등 값싼 다양한 전분질들이 막걸리 제조에 사용되었다(1,2). 1991년 쌀의 원료사용이 허가되고, 2007년 전통술산업육성 지원 대책, 2009년 막걸리 열풍으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막걸리가 시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oh KH. Korean alcohol beverage from the viewpoint of food culture. Korean J. Food Culture 24: 33-38 (2009) 

  2. Park JR. Makgeolli, the revival of a thousand years! a trend, not fad. Morning Brief, Hanwha Securities 03.22 (2010) 

  3. Yang SB, Yang SR. The willingness-to-pay price for makgeolli made of domestic rice. Korean J. Food Market. Econ. 28: 57-77 (2011) 

  4. Lee HS, Hong KH, Yoon CH, Kim JM, Kim SM.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in the db/db mouse. Korean J. Food Culture 24: 219-223 (2009) 

  5. Lee HS, Hong KH, Kim JY, Kim DH, Yoon CH, Kim SM.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Korean J. Food Culture 24: 338-343 (2009) 

  6. Bae SH, Jung EY, Kim SY, Shin KS, Suh HJ.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J. Food Biochem. 34: 233-248 (2010) 

  7. Shin MO, Kim MH, Bae SJ. The effect of makgeolli on blood flow, serum lipid improvement and inhibition of ACE in vitro. J. Life Sci. 20: 710-716 (2010) 

  8. Cho EK, Kim HY, Byeon HJ, Kim SW, Choi YJ.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li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J. Life Sci. 20: 768-774 (2010) 

  9. Jeong JW, Nam PW, Lee SJ, Lee KG.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rice wine concentrates. J. Agr. Food Chem. 59: 7039- 7044 (2011) 

  10. Ha BJ, Kwon RH, Chae GY. The effects of the makgeolli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ndotoxin LPS-treated rats. J. Fd. Hyg. Safety 26: 166-170 (2011) 

  11.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n makgeolli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37: 288- 293 (2008) 

  12. Kim JE, Jung SK, Lee SJ, Lee KW, Kim GW, Lee HJ. Nuruk extract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duction of nitrite and interleukin-6 in RAW 264.7 cells through blocking activat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J. Microbiol. Biotechn. 18: 1423-1426 (2008) 

  13.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KW.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43: 125-248 (2011) 

  14. Lee HS, Kwak HJ, Kim JY, Cho WK, Kim SM. A survey of drinking habits and health perception of makgeolli. Korean J. Food Culture 25: 544-557 (2010) 

  15. Kim JY, Kim DH, Park P, Kang HI, Ryu EK, Kim SM.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biogenic amine content and microflora in Korean turbid rice wine, makgeolli. Food Chem. 128: 87-92 (2011) 

  16. Silla-Santos MH. Biogenic amines; their importance in foods. Int. J. Food Microbiol. 29: 213-231 (1996) 

  17. Brink BT, Damink C, Joosten H, Huis in't Veld J. Occurrence and formation of biologically active amines in foods. Int. J. Food Microbiol. 11: 73-84 (1990) 

  18. Kim JH, Ahn HJ, Yook HS, Park HJ, Byun MW. Biogenic amines content in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82-685 (2001) 

  19. Kim JH, Park HJ, Kim MJ, Ahn HJ, Byun MW.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25-328 (2003) 

  20. Kim JH, Ahn HJ, Hong JW, Han SB, Byun MW.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be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27-1129 (2002) 

  21. Han GH, Cho TY, Yoo MS, Kim CS, Kim JM, Kim HA, Kim MO, Kim SC, Lee SA, Ko YS, Kim SH, Kim DB. Biogenic amines formation and content in fermented soybean paste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41-545 (2002) 

  22. Cho TY, Han GH, Bahn KN, Son YW, Jang MR, Lee CH, Kim SH, Kim DB, Kim SB. Evalua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commercial ferment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30-737 (2006) 

  23. Bover-Cid S, Holzapfel WH. Improved screening procedure for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53: 33-41 (1999) 

  24. Moreno-Arribas MV, Polo MC, Jorganes F, Munoz R. Screening of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grape must and wine. Int. J. Food Microbiol. 84: 117-123 (2003) 

  25. Landete JM, Ferrer S, Pardo I.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cetic bacteria, and yeast isolated from wine. Food Control 18: 1569-1574 (2007) 

  26. Ancin-Azpilicueta C, Gonzalez-Marco A, Jimenez-Moreno N. Current knowledge about the presence of amines in wine. Crit. Rev. Food Sci. 48: 257-275 (2008) 

  27. Shalaby AR. Significance of biogenic amines to food safety and human health. Food Res. Int. 29: 675-690 (1996) 

  28. Smith AA. Interaction of biogenic amines with ethanol. Adv. Exp. Med. Biol. 56: 265-275 (1975) 

  29. Maynard LS, Schenker VJ. Monoamine-oxidase inhibition by ethanol in vitro. Nature 196: 575-576 (1996) 

  30. NTSTSI. Manufacturing Guideline of Takju and Yakju.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p. 195- 198 (2005) 

  31.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2009) 

  3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Nutritive components.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 Accessed Oct. 11, 2012. 

  33. Song JC, Park HJ, Shin WC.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1997) 

  34. Lee WK, Kim JR, Lee MW.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 Chem. Soc. 30: 323-327 (1987) 

  35. Landete JM, Ferrer S, Polo L, Pardo I. Biogenic amine in wines from three spanish regions. J. Agr. Food Chem. 53: 1119-1124 (2005) 

  36. Lonvaud-Funel A, Joyeux A. Histamine production by wine lactic acid bacteria; isolation of a histamine producing strain of Leuconostoc oenos. J. Appl. Bacteriol. 77: 401-407 (1994) 

  37. Moreno-Arribas V, Torlois S, Joyeux A, Bertrand A, Lonvaud- Funel A. Isolation, properties and behaviour of tyramin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wine. J. Appl. Microbiol. 88: 584- 593 (2000) 

  38. Leuschner RG, Hammes WP. Tyramine degradation by micrococci during ripening of fermented sausage. Meat Sci. 49: 289-296 (1998) 

  39. Martuscelli M. Crudele MA, Gardini F, Suzzi G. Biogenic amine formation and oxidation by Staphylococcus xylosus strains from artisanal fermented sausages. Lett. Appl. Microbiol. 31: 228-232 (2000) 

  40. Fadda S, Vignolo G, Oliver G. Tyramine degradation and tyramine/hist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Kocuria strains. Biotechnol. Lett. 23: 2015-2019 (2001) 

  41. Jianbo J, Kim SY, Jin Q, Eom HJ, Han NS.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akju, Korean rice wine. J. Microbiol. Biotechn. 18: 1678-1682 (2008) 

  42. Kim SY, Yoo KS, Kim JE, Kim JS, Jung JY, Jin Q, Eom HJ, Han NS.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Korean rice wines by culture-independent method using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Food Sci. Biotechnol. 19: 749-755 (2010) 

  43. Onal A. A review: Current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biogenic amines in foods. Food Chem. 103: 1475-1486 (2007) 

  44. Rice SL, Eitenmiller RR, Koehler PE. Biologically active amines in food. A review. J. Milk Food Technol. 39: 353-358 (1976) 

  45. Wibowo D, Eschenbruch, R. Davis CR, Fleet GH, Lee TH. Occurrence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wine. A review. Am. J. Enol. Viticult. 36: 302-313 (1985) 

  46. Sinell HJ. Biogenic amine als Risikofaktoren in der Fischhygiene. Arch. Lebensmittelhyg. 29: 206-210 (1978) 

  47. Teodoroviæ V, Buneie S, Smiljaniæ D.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istamine production in meat. Fleischwirtschaft. 74: 170- 172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