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분해수 및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따른 배추의 미생물 제어 효과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2, 2012년, pp.240 - 246  

박성순 (한국식품연구원)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  정진웅 (한국식품연구원) ,  박기재 (한국식품연구원) ,  임정호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염소소독법을 대체하기 위하여 살균소독수로의 유효성을 가진 강산성 및 약알칼리 전기분해수와 이산화염소수를 배추 세척에 적용하였다. 배추 표면에 $E.$ $coli$, $B.$ $cereus$, $Sal.$ Typhimurium, 및 $S.$ $aureus$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각각의 살균소독수를 100 ppm의 농도로 하여 침지 시간을 달리하면서 미생물 제어효과를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줄기 부분보다 잎 부분에서 세척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네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세척효과는 이산화염소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수 처리 시 10분이 경과하여도 1 log CFU/g 이하의 낮은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살균소독수에 3분 침지 하였을 때 최소 감소효과는 약알칼리 전기분해수에서 1.3 log CFU/g였으며, 최대 감소효과는 이산화염소수에서 4.7 log CFU/g의 수준으로 수도수 세척에 비해 살균소독수의 미생물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5분과 10분 처리구에서 유의성은 있었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아 배추의 미생물학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5분정도 침지 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차아염소산 나트륨수와 비교 시 산성 및 약알칼리 전기분해수의 미생물 감소효과는 유사하거나 최대 2.7 log CFU/g 정도(LAlEW, B. cereus, 10분)의 차이를 나타냈고, 이산화염소수는 3.2 log CFU/g ($Sal.$ Typhimurium, 10분)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살균소독수가 염소소독 대체재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산화염소수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어하는 데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배추의 품질 저하가 야기되어 배추 적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SAcEW), lo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LAlEW)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ACD) for reducing pathogenic bacteria($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oi 등(2)은 Sal. Typhimurium를 균일한 크기로 썰어진 양배추에 접종시킨 후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경우 200 ppm의 이산화염소수에 10분 처리 시 1.9 log CFU/g의 감소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의 Sal. Typhimurium 억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학적 위해요소가 되는 대표적인 미생물인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인축 특히 작업자에 의해 오염의 빈도가 높은 식중독균인 Stap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강산성 및 약알칼리 전기분해수 및 이산화염소수의 살균효과를 유효성 평가에 의해 조사하였고, 김치의 원재료인 배추에 병원성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세척수로서 전기분해수와 이산화염소수를 적용하여 처리 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일반적인 염소소독법과 그 살균효과를 비교 평가하여 염소 대체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 농산물은 어떤 위험성이 존재하는가? 배추와 같이 토양에서 재배되는 신선 농산물은 토양 미생물의 오염에 의해 품질이 저하된다. 신선 농산물에 여러 경로로 오염된 미생물은 세척 시 제거되지 않고 물에 닿기 어려운 틈새 및 표면의 상처 등에서 살아남아 높은 농도로 생육할수 있으며 신선 농산물은 가열 단계가 없이 섭취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2).
살균소독제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현탁액 시험법을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E. coli, B. cereus, Sal. Typhimurium, S. aureus균에 대하여 시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어떻게 평가되었나? Typhimurium에 대하여 5 log CFU/mL 이상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최소 농도는 10 ppm으로 측정되어 강산성 및 약알칼리 전기분해수보다 5 log CFU/mL 이상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염소의 농도가 상당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E. coli와 Sal. Typhimurium의 살균소독수에 대한 감수성이 B. cereus와 S. aureus보다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김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은 무엇인가? 김치는 자연발효를 통하여 제조되는 식품으로 원재료에 오염된 미생물에 의해 이상 발효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김치의 표준화된 품질 유지를 위해서라도 원재료의 위생 확보는 필요하다 (3,4). 따라서 김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재료의 초기 미생물 오염수준을 안전한 수준 이하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세정 기술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u KH, Cho MH, Park WS.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standardization of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16-319 (2003) 

  2. Choi MR, Oh SW, Lee SY.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 in reducing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and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37-1342 (2008) 

  3. Lee KH.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nitation of Chinese cabbage and salted Chinese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96 (2008) 

  4. Yoon HH, Lee S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salted with recycled wastebrin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609-615 (2003) 

  5. The guide of sanitary management in school food servic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39 (2010) 

  6. Park KJ, Lim JH, Kim BK, Kim JC, Jeong JW, Jeong SW.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on redu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prouting radish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 754-759 (2008) 

  7. Kim MH, Jeong JW, Cho YJ.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n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by various electrolytic fact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16-422 (2004) 

  8. Koseki S, Yoshida K, Isobe S, Itoh K. Decontamination of lettuce using acidic electrolyzed water. J. Food Protect. 64: 652-658 (2001) 

  9. Park CM, Hung YC, Doyle MP, Ezeike GOI, Kim C. Pathogen reduction and quality of lettuce treated with electrolyzed oxidizing and acidified chlorinated water. J. Food Sci. 66: 1368-1372 (2001) 

  10. Bari ML, Sabina Y, Isobe S, Uemera T, Isshiki K. Effectiveness of electrolyzed acidic water in killing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the surface of tomatoes. J. Food Protect. 66: 542-548 (2003) 

  11. Koseki S, Yosida K, Kamitani Y, Itoh K.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cucumbers and strawberries. J. Food Protect. 67: 1247-1251 (2004) 

  12. Kim C, Hung YC, Brackett RE, Lin CS.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 inactivating Salmonella on alfalfa seeds and sprouts. J. Food Protect. 66: 208-214 (2003) 

  13. Ryu SH.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erved in foodservice institu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22- 1627 (2007) 

  14. Kim YJ, Choi KD, Shin IS.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76-781 (2010) 

  15.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hemical disinfectants and antiseptics (Phase2, step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EN 1276.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Winterthur, Switzaland (1997) 

  16. Russell AD, Hammond SA, Morgan JR. Bacterial resistance to antiseptics and disinfectants. J. Hosp. Infect. 7: 213-224 (1986) 

  17. Junli H, Li W, Namqi R, Fang M, Juli.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bacteria in water. Wat. Res. 31: 607-613 (1997) 

  18. Kwon JY, Kim BS, Kim JH. Effect of washing methods and surface sterilization on quality fresh-cut chicory (Clchorium intybus L. var. folios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8-34 (2006) 

  19. Guentzel JL, Lam KL, Callan MA, Emmons SA, Dunham VL. Reduction of bacteria on spinach, lettuce, and surfaces in food service areas using neutral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Food Microbiol. 25: 36-41 (2008) 

  20. Koo M. Bacillus cereusAn ambusher of food safety. Bull. Food Technol. 22: 587-600 (2009) 

  21. EFSA.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 foodstuffs. EFSA J. 175: 1-48 (2005) 

  22. KFDA. Food Code.10-3-1-43.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9) 

  23. Lee WJ, Lee CH, Yoo JY, Kim KY, Jang KI. Sterilization efficacy of washing method using based on microbubbles and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12-917 (2011) 

  24. Lang MM, Harris LJ, Beuchat LR. Survival and recovery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and parsely as affected by method of innoculation, time between inoculation and analysis and treatment with chlorinated water. J. Food Protect. 67: 1092-1103 (2004) 

  25. Singh N, Singh RK, Bhunia AK, Stroshine RL. Effect of inoculation and washing methods on the efficacy sanitizer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Food Mocrobiol. 19: 183- 193 (2002) 

  26. Beuchat LR, Adler BB, Lang MM. Efficacy of chlorine and a peroxyacetic acid sanitizer in killing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and romaine lettuce using simulated commercial processing conditions. J. Food Protect. 67: 1238-1242 (2004) 

  27. Bae YM, Hong YJ, Kang DH, Heu SG,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168 (2011) 

  28. Jo MJ, Jeong AR, Kim HJ, Lee NR, Oh SW, Kim YJ, Chun HS, Koo MS. Microbi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97 (2011) 

  29. Walls I, Scatt VN. Use of predictive microbiology in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Int. J. Food. Microbiol. 36: 97-102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