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수확 후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표면 세척에 따른 미생물 저감 효과
Enhanced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Omija (Schizamdra chinesis Baillon) by ClO2 (chlorine dioxide)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6, 2013년, pp.871 - 876  

이슬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문혜경 (경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이수원 ((주)토리식품) ,  문재남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이선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김종국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의 위생과 저장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총 호기성세균, 효모 및 곰팡이균)의 저감을 위해서 세척수 종류(물, $ClO_2$, $H_2O_2$) 및 농도별 이산화염소수($ClO_2$ 10 ppm, $ClO_2$ 15 ppm, $ClO_2$ 20 ppm, $ClO_2$ 25 ppm, $ClO_2$ 30 ppm)처리에 따른 세척시간(30~90초) 및 세척배수(${\times}1{\sim}{\times}4$)을 달리 처리하여 오미자 표면에 존재하는 총 호기성 세균수, 효모 및 곰팡이균수를 측정하였다. 오미자의 세척수 종류에 따른 미생물 균수 측정 결과, 세척하지 않은 구(control) 및 물세척 처리구보다 이산화염소수 처리구 및 과산화수고 처리구가 총세균, 효모 및 곰팡이 균수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산화염소($ClO_2$)수를 이용한 오미자의 세척시간에 따른 미생물 균수 측정 결과 총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이산화염소 농도 30 ppm 에서는 30초, 15 ppm에서는 60초, 10 ppm에서는 90초 처리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세척배수에 따른 미생물 사멸 효과는 이산화염소 농도 30 ppm 에서는 ${\times}1$, 20 ppm에서는 ${\times}2$, 15 ppm에서는 ${\times}4$로 처리시 총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가 측정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이산화염소수 처리구는 이산화염소수의 농도가 증가하고 세척 배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reated with $ClO_2$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10, 15, 20, 25 and 30 ppm), washing time (30, 60 and 90 sec) and multiple proportion (x1, x2, x3 and x4). The seven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도별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오미자 세척 후 미생물 저감효과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오미자의 이산화염소수 미생물 제어 효과와 저장 안전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는 어떤 약효를 가지고 있는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달고, 시고, 맵고, 쓰고, 짠 다섯 가지의 맛과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는 목련과의 과실로 오래 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목마름 등의 약효를 가지고 있어 생약원료로 한방에서 이용해 오던 재료로 중추 억제작용, 혈압 강하 작용(1), 알콜 해독 작용(2), 항균 작용(3), 항염증(4)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암 예방(5), 노화 억제 및 면역조절작용(6)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오미자의 수확 시기는 9월 상순부터 10월까지가 성숙기로, 과육이 연약해 유통과정에 있어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산지에서 수확한 신선 농산물은 가열단계가 없이 섭취되기 때문에 여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의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오염된 병원성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응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미자의 수확 시기는 언제인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달고, 시고, 맵고, 쓰고, 짠 다섯 가지의 맛과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는 목련과의 과실로 오래 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목마름 등의 약효를 가지고 있어 생약원료로 한방에서 이용해 오던 재료로 중추 억제작용, 혈압 강하 작용(1), 알콜 해독 작용(2), 항균 작용(3), 항염증(4)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암 예방(5), 노화 억제 및 면역조절작용(6)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오미자의 수확 시기는 9월 상순부터 10월까지가 성숙기로, 과육이 연약해 유통과정에 있어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산지에서 수확한 신선 농산물은 가열단계가 없이 섭취되기 때문에 여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의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오염된 병원성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응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가열조리 신선농산물의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처리를 권장하고 있다 (7).
산지에서 수확한 신선 농산물은 가열단계 없이 섭취 되기 때문에 여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의 위험성이 높은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오미자의 수확 시기는 9월 상순부터 10월까지가 성숙기로, 과육이 연약해 유통과정에 있어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산지에서 수확한 신선 농산물은 가열단계가 없이 섭취되기 때문에 여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의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오염된 병원성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응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가열조리 신선농산물의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처리를 권장하고 있다 (7).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식품산업에서는 미생물 감소를 위해 비가열처리방법으로 감마선이나 UV-C조사, 염소, 유기산, 오존수, 이산화염소수 처리 등을 사용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SH, Han JH (2004)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1. Effects of Schizandra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4-40 

  2. Cho EK, Cho HE, Choi YJ (2010) Inhibitory effect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lpha}$ -glucosidase,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55-661 

  3. Heo NS, Choi HJ, Hwang SM, Choi YW, Lee YG, Joo WH (2013)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icac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J Life Sci, 23, 443-447 

  4. Choi HJ, Choi YW, Baek SY, Kim BS, Ahn SC, Rhee MS, Yoon S (2013) Activity-guided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the hexane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J Life Sci, 23, 311-318 

  5. Ohtaki Y, Hida T, Hiramatsu K, Kanitani M, Ohshima T, Nomura M, Wakita H, Aburada M, Miyamoto KI (1996) Deoxycholic acid as an endogenous risk factor for hepatocarcinogenesis and effects of gomisin A, a lignan component of Schizandra fruits. Anticancer Res, 16, 751-755 

  6. Nishiyama N, Chu PJ, Saito H (1996) An herbal prescription, S-113m, consisting of biota, ginseng and Schizandra, improves learning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Biol Pharm Bull, 19, 388-393 

  7. Choi MR, Oh SW, Lee SY (2008)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 in reducing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and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an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37-1342 

  8. Kim JY, Chun HH, Song KB (2008) Effect of UV-C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imported dried fish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5, 922-926 

  9. Hong YH, Kim MK, Song KB (2008)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of samgae chicken. Korean J Food Preserv, 15, 769-773 

  10. Aieta EM, Berg JD (1986) A review of chlorine dioxide in drinking water treatment. J Am Water Works Asso, 78, 62-70 

  11. Teng Hui, Kim YH, Lee WY (2013) Sterilization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hlorine dioxide on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Preserv, 20, 459-466 

  12. Kim JY, Kim HJ, Lim GO, Jang SA, Song KB (2010)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ultraviolet-c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strawberry fruit "Flamengo"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8-145 

  13. Kim MH, Kim YJ, Kim KS, Song YB, Seo WJ, Song KB (2009) Microbial changes in hot peppers, ginger, and carrots treate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Korean J Food Preserv, 16, 1013-1017 

  14. Park KJ, Lim JH, Kim BK, Kim JC (2008)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on redu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prouting radish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 754-759 

  15. Jimenez-Villarreal JR, Pohlman FW, Johnson ZB, Brown AH (2003) Effect of chlorine dioxide, cetylpyridinium chlorine, lactic acid and trisodium phosphate on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round beef. Meat Sci, 65, 1055-1062 

  16. Park KH, Oh MJ, Kim HY (2003)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pathogenic bacteria from marine fish. J Aquaculture, 16, 118-123 

  17.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Guidance for industry-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Available from:http://www.cfsan.fda.gov. Accessed Fed. 27 

  18. Yu DJ, Kim HJ, Song HJ, Shin YJ, Chae HS, Song KB (2011) Microbial inactivation of chicken cage litter by aqueous chloride dioxide. Korean J Food Preserv, 18, 98-102 

  19. Park SS, Sung JM, Jeong JW, Park KJ, Lim JH (2012)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40-246 

  20. Kim YJ, Lee SH, Song KB (2007)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qualities of iceberg lettuce during storage. J Appl Biol Chem, 50, 239-243 

  21. Park KJ, Jeong JW, Lim JH, Jang JH, Park HJ (2008) Effect of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generator and effect on disinfection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by immersion washing. Korean J Food Preserv, 15, 236-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