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이론과 증거의 조정 과정 분석
Analyzing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Presented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Writing for Inquiry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2, 2012년, pp.201 - 209  

이선경 (서울대학교) ,  이규호 (경인교육대학교) ,  최취임 (서울대학교)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과학탐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과학글쓰기를 분석하여 증거와 이론의 조정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4개의 과학탐구활동에서 총 115개의 예비초등교사들의 글쓰기가 수집 및 분석되었다. 글쓰기 분석을 바탕으로 4개의 이론과 증거의 조정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유형을 제안한다. 유형1은 증거와 이론의 일치, 유형2는 증거와 이론의 일치 및 이론의 확장과 정교화, 유형3은 증거와 이론의 불일치, 마지막으로 유형4는 증거와 이론의 불일치 및 조정으로 보았다. 본 연구결과 우선 빈도수를 고려할 때 가장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보면 유형1, 유형3, 유형2, 유형4의 순이다.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유형1이 나왔는데 이는 탐구질문에 내재된 이론이 참여자에 의해 쉽게 파악되었고 이를 지지하는 증거를 발견된 자료 중에서 골라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탐구주제와 조정유형의 빈도수 사이에 관련성이 별로 없었으나 예외적으로 활동1은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본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험계획, 자료분석 및 해석 그리고 과학주장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잘 융합하고 있다는 점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oordination between evidence and theories which were found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riting for their science inquiry. Fiv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a total of 115 writings of the participant teacher at the elementary tea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활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이 중요하며, 그 경험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는 학생들의 탐구 활동과 체험 과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Hashweh, 1996) 과학교육 연구와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활동 맥락에서, 이론과 주장의 조정 과정의 유형과 특징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주목한 탐구 활동은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실험 기구 및 재료를 제공한 후, 그 활동 환경 내에서 스스로 질문하고, 자기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실험을 고안하여 증거를 얻고 설명을 만들어내도록 구조화된 것이다. 따라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 초등 교사들은 동일한 실험기구와 재료를 받아도 다른 연구 질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실험을 계획하게 되는 것이다.
  • 과학 활동 특히, 실험을 활동을 할 때, 학생들은 사전지식을 갖고 실험계획을 하며, 자료 분석 및 해석을 해내게 된다. 본 연구의 맥락은 예비 초등 교사들의 사전지식을 밝히고, 실험에서 얻은 증거와 자신의 이론이 맞는지를 검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탐구활동을 과학글쓰기로 표상해내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인천 지역의 한 교육대학교의 과학 실험 관련 강좌에서 실시되었다. 이 강좌의 목적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과학실험을 학생의 입장에서 실행해 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실험 활동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 향후 교사가 되었을 때 적절한 교수학습 전략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는 한 학기 동안 초등학교 4-5학년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을 그대로 실행해 보았다.
  • 미국과학교육표준은 과학적 탐구의 기본 요소로서 질문하기(Asking), 설명하기(Explaining), 증거제시하기(Evidencing), 평가하기(Evaluating), 의사소통하기(Communicating)를 제시하고, 이 요소들의 학생 주도 혹은 교사/교재 안내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탐구 활동이 학교 수업에서 가능하다고 제안한다(NRC, 2000).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주목한 탐구 활동은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실험 기구 및 재료를 제공한 후, 그 활동 환경 내에서 스스로 질문하고, 자기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실험을 고안하여 증거를 얻고 설명을 만들어내도록 구조화된 것이다. 따라서 연구에 참여한 예비 초등 교사들은 동일한 실험기구와 재료를 받아도 다른 연구 질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실험을 계획하게 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과학의 실제가 다루어야 하는 과학의 탐구 즉, 과학 지식 생성 과정에서 ‘증거와 이론의 조정’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수업의 고유한 본질은 무엇인가? 과학수업의 ‘고유한 본질’은 과학 세계에 학생들이 참여하는 것에 있는데, 구체적으로 과학적 추론에 참여하는 것이다. 과학적 추론에의 참여는 탐구를 수행하는 것이며, 초등과학에서 실험은 학생들이 탐구를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학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어떤 능력을 기를 것이라 기대되는가? 과학적 탐구에서 실세계로부터 얻은 자료(증거)와 설명을 조정(증거를 의심하거나 설명을 개선하거나 하는 등)하는 과정이 핵심인 것처럼, 학교 과학에서 학생들도 과학자가 하듯이 관찰과 실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이론을 개선하고 새로운 지식을 구성할 것으로 기대되어야 할 것이다. 즉,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은 관찰과 실험 자료를 근거로 관찰 증거를 평가하고, 증거와 이론의 조정을 통해, 자신의 개념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를 것으로 기대된다(Havdala & Ashkenazi, 2007). Kuhn et al.
학생들이 추론 과정에서 종종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그 과정은 쉽지 않다. 학생들은 과학적 추론에 종종 실패하는데, 증거와 이론을 잘 구별하지 못하며 (Kuhn, 2004), 관찰 증거에 대해서 증거기반(evidence-based)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이미 가지고 있던 생각을 기반(idea-based)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박종원 외, 1993). 반면, 과학자들은 증거와 이론을 구별하고, 증거와 이론의 조정을 하며, 초인지적 사고를 통해 그 조정 과정에 몰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박종원, 장병기, 윤혜경, 박승재 (1993). 중학생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증거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135-145. 

  2. Dunbar, K. (1993). Concept discovery in a scientific domain. Cognitive Science, 17, 397-434. 

  3. Faust, D. (1984). The limits of scientific reasoning.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 Giere, R. N. (1991).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3rd ed.). Forth Worth, TX: Holt. 

  5. Hashweh, M. Z. (1996). Effects of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in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47-63. 

  6. Havdala R. & Ashkenazi, G. (2007).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Effect of epistemological theories on students' laboratory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8), 1134-1159. 

  7. Kuhn, D. (2004). What is scientific thinking and how does it develop? In U. Goswami(Ed.),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pp. 371-393). Malden, MA: Blackwell. 

  8. Kuhn, D., Amsel, E.,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9. Lawson, A.E. (1992). What do tests of formal reasoning actually meas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965-983. 

  1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1. Norman, O. (1997). Investigating the nature of formal reasoning in chemistry: Testing Lawson's multiple hypothesis the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1067-1081. 

  12.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 634-656. 

  13. Shadish, W. & Neimeyer, R. (1989). Contributions of psychology to an integrated science studies: the shape of things to come. In S. Fuller, M. De Mey, T. Shinn & S. Woolgar (Eds.), the Cognitive turn (p. 17). Kluwer Academy Publishers. 

  14. Siegel, H. (1989). The rationality of science, critical thinking and science education. Synthese, 80(1), 9-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