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사 활용 과학 윤리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Science Ethics Education with History of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2, 2012년, pp.346 - 371  

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  신하윤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 윤리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수업과 적절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0권의 과학사 서적, 학술지, 논문, 신문자료 등에서 72개의 윤리 관련 사례를 추출했다. 과학사에서 윤리 관련 사례들은 연구 내용 위조, 연구 내용 조작, 실험 중 생명 윤리 침해, 표절과 도용, 부당한 공로 배분, 도를 넘어선 비방, 이데올로기와 결합, 사회적 책임 문제라는 총 8개의 소영역으로 범주화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사에서 윤리와 관련된 사례는 과학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가 가장 많았다. 그 중에서도 연구 내용 위조 사례가 가장 많았다. 둘째, 8개 소영역별로 하나씩 총 8개의 수업을 개발했다. 셋째, 개발한 수업의 공통점을 찾아 과학사 활용 과학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을 제안했다. 이 때, 과학 윤리수업 모형, 윤리 수업 모형, 역사 수업 모형 등 관련수업 모형들을 분석한 결과도 반영했다. '탐색-사례제시-문제 명료화-대안 탐색-정리'등 5단계의 흐름을 갖는 과학 윤리 사례 활용 과학사 수업 모형을 개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science ethics education with history of science (HOS) and to develop i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72 cases about science ethics were extracted from 20 or more HOS books, journal article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태도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2009 개정 과학 교육 과정에서는 기초 윤리 수준과 함께 과학을 통해 과학적 태도, 즉‘인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적 태도에는 의사소통 능력, 창의성, 성실성, 정직성, 협동성, 합리성, 객관성, 비판 정신, 개방성, 정직성, 겸손과 회의 등이 있다(김찬종 등, 1999; 교육과학기술 부, 2009). 이러한 과학적 태도들은 사회의 구성원으 로서 과학 정책과 관련한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이미경과 김경희, 2004), 미래의 과학 기술자로 자라날 학생들에게 과학 윤리와 관련된 교육을 실시 하는 것은 그들의 인성 함양뿐 아니라 현재 과학 기술 분야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예방하는 근본적 방법일수 있다.
사례 기반 수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학 교육에 과학 윤리와 관련된 문제를 도입할 때사례 기반 수업(case-based)이 권장된다(최경희, 1998; 이인재, 2005). 이는 문제에 대해 강화된 토론과 세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사고 작용 촉진, 도덕적 추론 능력,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실천력 함양을 위해 만들어진 가상 사례다(이 인재, 2005). 또한 이런 사례를 역할놀이로 수행하면 가상적인 역할 수행 과정에서 문제를 실제로 해결하며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조희형 등, 2008).
과학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과학사 사례 속에는 인간으로서 과학자의 모습, 과학이 사회에 영향을 받는 모습 등이 그대로 나타난다. 과학사는 사회 속에서 과학의 역할을 고찰하게 하고, 과학 기술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인식시키는 등 과학과 사회에 관련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김찬종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가치를꿈꾸는과학교사모임 (2009). 과학, 일시정지. 서울: 양철북. pp. 84-99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교육과학기술부 훈령 제73호. 8p.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교 과학과 교육 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창의인재육성과. 302p. 

  4. 구수정 (1997). 교육대학교 과학 전공 학생들의 생물 교수 활동 및 내용 조직에 임하는 윤리적 관점에 대한 정성적 이해.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1), 9-23. 

  5. 김찬종, 구자옥, 김경진, 김상달, 김종희, 김희수, 명전옥, 박영신, 박정웅, 신동희, 신명경, 오필석, 이기영, 이양락, 이은아, 이효녕, 정진우, 정철, 최승언 (2008). 지구 과학 교재 연구 및 지도. 서울: 자유아카데미. 542p. 

  6.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546p. 

  7. 남정우 (2010). 비판적 역사 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역사교육연구, 11, 7-49. 

  8. 민영기, 박택규, 윤창주, 정해상 (2007). 탐욕의 과학자들. 서울: 일진사. 301p. 

  9. 서강식 (2003). 도덕, 윤리와 교수-학습 과정. 서울: 양서원. 502p. 

  10. 서울대학교 (2010). 연구 윤리 지침. 연구윤리위원회. 15p. 

  11.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 (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294p. 

  12. 원자력연수원 (2006). 과학 기술 연구 윤리 현황 및 사례. 대전: 두양사. 112p. 

  1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1). 과학연구윤리. 서울: 당대. 319p. 

  14. 유병열, 안병자, 임일렬 (2005). 초등 도덕과에서 생명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16(1), 1-36. 

  15. 이경희 (2009). 생명 윤리 수업을 위한'CEDA 아카데미 토론'-수업 설계 및 실천적 수업 모형을 위한 시론. 윤리교육연구, 19, 67-90. 

  16. 이기영, 안희수 (1999).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지구 과학 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3), 213-222. 

  17.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18. 이상욱, 조은희, 김재영, 김형순, 김호, 송성수, 양재섭, 홍성욱 (2011). 과학 윤리 특강: 과학자를 위한 윤리 가이드. 서울: 사이언스북스. 354p. 

  19. 이인재 (2005). 생명 공학의 윤리적 특성에 관한 생명 윤리 교수?학습 모형 개발. 윤리교육연구, 7, 149-181. 

  20. 이향연, 박선자, 유정숙, 이신영, 장지영(2009).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의 과학 기술 윤리 교육 현황. 생명윤리정책연구, 3(2), 233-257. 

  21. 장세옥, 이명희 (2004). 역사 교육에서 '과학 기술사' 교육의 의의와 교재 개발의 방향. 사회과교육, 43(1), 87-112. 

  22. 정은영, 김영수 (2000). 생물 교육에서의 가치 탐구 모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82-598. 

  23.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08). 과학 윤리 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집문당. 258p. 

  24. 조희형, 최경희 (1998).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육의 필요성과 그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559-570. 

  25. 최경희 (1998). STS와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육: 원리와 방법.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현직 교사 연수 강연 원고, 1-14. 

  26. 최경희 (2010). 초중등 예비 과학 교사의 과학 기술 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76-593. 

  27. 최경희, 조희형 (2000).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 학습의 절차와 주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4), 408-417. 

  28. 최경희, 조희형 (2001). 과학의 윤리적 특성 주제에 대한 중.고등 학생들의 인식. 생명윤리, 2(1), 14-20. 

  29. 최경희, 조희형 (2003).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31-143. 

  30. 최문기 (2006). 과학 기술 윤리의 현황과 연구 윤리 과제. 국민윤리연구, 63, 55-78. 

  31. 최성우 (1999). 과학사 X파일. 서울: 사이언스북스. 244p. 

  32. 최완기 (1997). 역사 학습 지도의 원리와 실제. 서울: 느티나무. 431p. 

  33. 홍석영, 이상욱, 구영모, 조은희 (2005). 생명 과학 연구 윤리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자들의 의견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82-94. 

  34. 金成民. 日本軍細菌戰. 하성금(역). (제731부대의 진상을 파헤친) 일본군 세균전. 서울: 청문각. 2010. 952p. 

  35. 左卷健男. 素顔の科學誌. 윤명현(역). 과학자의 진실 그리고 뒷모습. 서울: 글담출판사. 2001. 231p. 

  36. Broad, W. J., Wade, N. Betrayers of the truth. 김동광(역).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 되풀이 되는 연구 부정과 '자기 검증' 이라는 환상. 서울: 미래M&B. 2007. 327p. 

  37. Cornwell, J. Hitler's scientists: Science, war, and the devil's pact. 김형근(역). 히틀러의 과학자들: 과학, 전쟁 그리고 악마의 계약. 서울: 크리에디트. 2008. 586p. 

  38. Craughwell, T. J. The War Scientists. 이경아(역). 워 사이언티스트: 과학과 기술, 선과 악의 경계에 선 과학자 25인. 서울: 플래닛미디어. 2011. 423p. 

  39. Fara, P. Science: A four thousand year history. 김학영(역). 우리가 미처 몰랐던 편집된 과학의 역사. 파주: 21세기북스. 2010. 578p. 

  40. Goodstein, D. L. On fact and fraud: Cautionary tales from the front lines of science. 정세권(역).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 과학 사기와 과학자의 윤리. 서울: 이음. 2011. 217p. 

  41. Gratzer, W. B. Eurekas and euphorias: the Oxford book of scientific anecdotes. 김우열(역). 위대한 발견의 숨겨진 역사. 서울: 청림. 2005. 448p. 

  42. Harris, S. H. Factories of death: Japanese biological warfare, 1932-1945, and the American cover-up. 김소정(역). 미국의 은폐기록과 일본의 야망. 서울: 눈과 마음. 2010. 571p. 

  43. Hoffmann, R. Same and not the same. 이덕환(역).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서울: 까치, 1996. 245p. 

  44. Judson, H. F. The great betrayal: Fraud in science. 이한음(역). 엄청난 배신: 과학에서의 사기. 서울: 전파과학사. 2006. 396p. 

  45. Kaczynski, T. J. Unabomber. 조병준(역). 유나 바머. 서울: 박영률출판사. 1996. 182p. 

  46. Stevenson, L. F., & Byerly, H. The many faces of science. 이상빈(역). 과학의 양심 선언. 서울: 10101. 1999. 423p. 

  47. Zankl, H. Irrwitziges aus der wissenschaft: von leuchtkaninchen bis dunkelbirnen. 박소연(역). 과학을 훔친 29가지 이야기. 서울: 말글빛냄. 2010. 244p. 

  48. Zankl, H. Faelscher, Schwindler, Scharlatane. 도복선, 김현정(역). 과학의 사기꾼. 서울: 시아출판사. 2006. 438p. 

  49. Fullick, P., & Ratcliffe, M. (1996). Teaching ethical aspects of science. Southampton: The Bassett Press. 150p. 

  50. Grant, J. (2007). Corrupted science : fraud, ideolgy and politics in science. London: Facts, Figures & Fun. 336p. 

  51. Johansen, C. K., & Harris, D. E. (2000). Teaching the ethics of biology.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2(5), 352-358. 

  52. Klopfer, L. E. (1969). The teaching of science and the history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6, 87-95. 

  53.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287p. 

  54. Monk, M., & Osborn, J. (1997). Plac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on the curriculum: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y. Science Education, 81(4), 405-424. 

  55. Piliouras, P., Siakas, S., & Seroglou, F. (2011). Pupils produce their own narratives inspired by the history of science: Animation movies concerning the geocentric heliocentric debate. Science and Education, 20(7-8), 761-795. 

  56. Resnik, D. B.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232p. 

  57. Seroglou, F., & Koumaras, P. (2003). A critical comparison of the approaches to the contribution of history of physics to the cognitive, meta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hysics: A feasibility study regarding the cognitive dimension using the SHINE model. THEMES in Education, 4(1), 25-36. 

  58. 전진식. 카이스트 박사과정 학생, 외국 교수 논문 표절. 한겨레. 2011년 9월 15일자.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6419.html(검색일: 2011. 12. 26). 

  59.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검색일: 2011. 12. 26). 

  6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9). "The nature of science", http://www.project2061.org(검색일: 2011. 12. 26). 

  61.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8). "Nuremberg Code". http://ohsr.od.nih.gov/guidelines/nuremberg.html(검색일: 2011. 12. 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