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이 성인 비만여성의 식이섭취, 스트레스지수 및 복부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 복부비만감소군과 복부비만증가군의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in abdominally obese women - Focus on comparison of the WHR decrease and WHR increase groups -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2, 2012년, pp.127 - 139  

이지원 (일산동구 보건소) ,  유숙영 (쥬비스 비만연구소) ,  양소영 (쥬비스 비만연구소) ,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성경 (쥬비스 비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만연구소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복부비만율 0.80 이상인 복부비만 여성 19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 감소 여부에 따라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복부비만율 증가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치의 변화, 식이섭취의 변화,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영양소의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식물성 단백질, 칼륨, 비타민 A, 엽산, 식이섬유, 칼슘, 인,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식물성지방, 철분, 나트륨, 나이아신, 비타민 E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그리고 비타민 C의 INQ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인, 아연,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비타민 E의 변화율은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더 컸으며,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섭취 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식품군별 섭취 가짓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어패류, 두류, 견과류, 채소류 그리고 버섯류 가짓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는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반면 복부비만율 증가군에서는 건강지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율 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복부비만율 증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과 총 지질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와의 관련성에서는 복부비만율 감소율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건강지수는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으로 구성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식이섭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완화시켜 복부비만율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장기프로그램에 적용시킨 뒤 이러한 복부비만율 개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WHR) in abdominally obese women. The subjects were 195 adult abdominally obese women (WHR ${\geq}$ 0.80)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a n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J 비만연구소 복부비만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증가군으로 나누어 식사의 질, 혈관나이 및 스트레스 지수, 신체계측 지표들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중재 이후에 변화된 식이섭취상태, 혈관나이 및 스트레스 지수, 신체계측 지표들과 복부비만지표 변화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기존의 연구에서는18,29) 정상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조절을 위한 식품섭취를 제한하고 있는 실태와 이러한 부정적인 접근방식은 비만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음을 지적하여, 바람직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서는 균형적인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접근 방식의 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영양지식을 바탕으로 한 세끼 식사의 규칙적인 섭취와 복부비만 조절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가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스트레스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인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면서 복부비만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J 비만연구소 복부비만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증가군으로 나누어 식사의 질, 혈관나이 및 스트레스 지수, 신체계측 지표들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중재 이후에 변화된 식이섭취상태, 혈관나이 및 스트레스 지수, 신체계측 지표들과 복부비만지표 변화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14,15) 이러한 연구들은 체중의 감량정도에 따라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단순한 체중과 비만도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는 많지만,16-18) 복부비만 평가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운동중재 연구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11,19,20)영양과 식생활 및 생활습관 중재를 통한 복부비만 감소 효과에 중점을 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인 비만여성에서 임상영양관리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방법으로 올바른 영양정보 제공을 통하여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보다는 식사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저칼로리 식이요법을 중점적으로 사용하여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21,22)
  • 본 연구는 서울소재에 위치한 J 비만 연구소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복부비만율 (WHR) 0.80 이상, 최근 3개월 동안 일정한 체중 (± 2 kg)을 유지하면서 체중감량 목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20~50세 성인여성 19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 감소 여부에 따라 복부비만율 감소군 (HWR decrease group)과 복부비만율 증가군 (WHR increase group)으로 나누어 두 군의 신체계측치의 변화, 식이섭취 수준과 영양밀도의 변화, 혈관 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복부비만율 변화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WHR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연령, 출산 여부, 프로그램 시작 시 WHR과 BMI를 보정하였으며, 영양밀도와의 관련성에서는 복부비만율 감소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은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복부비만율 증가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 총 지질과 동물성 지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내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체계적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개인별 맞춤 상담을 주 1회씩 12주간 실시하였는데, 첫 4주간은 영양교육과 식생활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5주부터 12주까지는 영양교육과 식생활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격주로 실시하여 12주 동안 총 9회의 영양교육과 총 6회의 식생활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는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반면 복부비만율 증가군에서는 건강지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율 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복부비만율 증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과 총 지질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그러나 12주간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보여 지는 허리, 엉덩이 둘레 감소, 영양밀도 증가,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개선, 복부비만율 감소와 같은 신체지표의 변화는 장기간의 체계화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복부비만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육과 함께 실천적인 측면인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을 병행하여 실천적인 측면을 변화하도록 한 것이 대상자들의 복부비만율 감소에 더 큰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자료조사에 의한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비만 유병율은? 미국, 유럽 등 서구사회에서는 지난 20년간 비만 유병률이 3배로 증가하면서 비만을 현대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성인 비만율과 그에 따른 비만관련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1-3) 2009년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자료조사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비만 유병율은 25.6%로 성인 남성 36.7%에 비해 낮으나, 성인 여성의 복부비만 유병율이 42.
비만관리실천 유형중 약물요법,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들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무엇에 따라 그 효과를 평가했나요? 기존의 연구에서는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비만관리실천 유형으로 약물요법,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등이 다양하게 시도 되고 있다고 보고하였는데,12) 그 중 약물요법은 장기 복용 시 지방 변, 교감신경계 항진 등의 이상반응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보고되어 널리 시행하지 않는 반면,13) 식사요법, 운동요법 그리고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하는 것은 체중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4,15) 이러한 연구들은 체중의 감량정도에 따라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단순한 체중과 비만도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는 많지만,16-18) 복부비만 평가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운동중재 연구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11,19,20)영양과 식생활 및 생활습관 중재를 통한 복부비만 감소 효과에 중점을 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인 비만여성에서 임상영양관리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방법으로 올바른 영양정보 제공을 통하여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보다는 식사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저칼로리 식이요법을 중점적으로 사용하여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여성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복부비만 관리 및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한 이유는? 4) 여성은 전 생애를 통하여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면서 체지방이 복부로 이동해 내장에 축적되는 중심성분포가 급격하게 일어나는데,5,6) 더욱이 동물성 식품, 포화 지방, 첨가물이 함유된 가공식품 섭취 증가와 식사의 불규칙성 등의 변화된 식습관 패턴과 스트레스 등의 정신적 문제가 복합적인 원인이 되어 복부비만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7,8) 허리둘레를 기준한 복부비만이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한 심혈관 질환 위험성과 연관성이 높으며 특히 젊은 여성의 복부비만은 월경 이상과 불임 등 여성 질환이 발생할 잠재적인 위험요인이 되고 있어,9-11) 여성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복부비만 관리 및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zadbakht L, Esmaillzadeh A. Dietary diversity score is related to obesity and abdominal adiposity among Iranian female youth. Public Health Nutr 2011; 14(1): 62-69 

  2. Al-Rethaiaa AS, Fahmy AE, Al-Shwaiyat NM. Obesity and eating habits among college students in Saudi Arabia: a cross sectional study. Nutr J 2010; 9: 39 

  3. Baek YA, Kim KN, Lee YA, Chang N.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visceral fat reduction and diet qual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8; 41(7): 634-644 

  4. Kim HR, Kang YH, Kwak NS, Kang EJ, Kim EJN. Trends in obesity and comprehensive policy strategy to prevent obesity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5. Yang SW.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lood lipids, laptin, and cortisol stress hormone concentration in obesity middle-aged women. J Sport Leis Stud 2008; 33(2): 795-802 

  6. Garrow JS. Obesity and related diseases.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88. p.12-14 

  7. Nam JH.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obesity degree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Nutr 2006; 19(1): 70-78 

  8. Lee KS, Lee J. Effect of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iet with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individuals. Korean J Exerc Nutr 2010; 14 (1): 17-21 

  9. Jacobs EJ, Newton CC, Wang Y, Patel AV, McCullough ML, Campbell PT, Thun MJ, Gapstur SM. Waist circumference and all-cause mortality in a large US cohort. Arch Intern Med 2010; 170(15): 1293-1301 

  10. Klein S, Allison DB, Heymsfield SB, Kelley DE, Leibel RL, Nonas C, Kahn R. Waist circumference and cardiometabolic risk: a consensus statement from shaping America's health: Association for Weight Management and Obesity Prevention; NAASO, the Obesity Society; the American Society for Nutrition; and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07; 30 (6): 1647-1652 

  11. Heo YH, Kim EJ, Seo HS, Kim SM, Choi KM, Hwang TG, Cho GJ, Park Y. The effect of 16 week exercise program on abdominal fat, serum lipids,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in obese women. Korean J Obes 2010; 19(1): 16-23 

  12. Oh IS, Ahn GS, Kang BH. Women's diet practice by their lifestyles. Rev Ind Manage 2005; 17(2): 87-111 

  13. Neovius M, Johansson K, Rossner S. Head-to-head studies evaluating efficacy of pharmaco-therapy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es Rev 2008; 9(5): 420-427 

  14. Choi MS.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health and diet quality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2009; 42(1): 48-58 

  15. Wu H, Pan A, Yu Z, Qi Q, Lu L, Zhang G, Yu D, Zong G, Zhou Y, Chen X, Tang L, Feng Y, Zhou H, Li H, Demark-Wahnefried W, Hu FB, Lin X. Lifestyle counseling and supplementation with flaxseed or walnuts influence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J Nutr 2010; 140(11): 1937-1942 

  16. Keranen AM, Savolainen MJ, Reponen AH, Kujari ML, Linde man SM, Bloigu RS, Laitinen JH.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 on weight loss and maintenance during a lifestyle intervention. Prev Med 2009; 49(1): 32-38 

  17. Kim YH, Yoo JY, Lee EG, Kim KB, Jo DH, Hwang JY. Effects of a dietary supplement consisting of Phaseolus vulgaris and Garcinia cambogia (HCA) on the lipid level and body weigh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3): 518-522 

  18. Lee SH, Chang N.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habits and diet quality in the weight loss and weight gain groups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2007; 40(5): 463-474 

  19. Jin HM, Kwon JS.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percent body fat and waist hip ratio on the elderly people using exercise program in leisure-welfare facility. J Korean Phys Edu Assoc Girls Women 2010; 24(1): 107-118 

  20. Friedenreich CM, Woolcott CG, McTiernan A, Terry T, Brant R, Ballard-Barbash R, Irwin ML, Jones CA, Boyd NF, Yaffe MJ, Campbell KL, McNeely ML, Karvinen KH, Courneya KS. Adiposity changes after a 1-year aerobic exercise intervention among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Obes (Lond) 2011; 35(3): 427-435 

  21. Ahn HJ, Cho YO, Kwon HR, Ku YH, Koo BK, Han KA, Min KW. The effects of low-calorie diets on abdominal visceral fat, muscle mass, and dietary quality in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Korean Diabetes J 2009; 33(6): 526-536 

  22. Baker S, Jerums G, Proietto J. Effects and clinical potential of very-low-calorie diets (VLCD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Res Clin Pract 2009; 85(3): 235-242 

  23. Zwiauer KF, Mueller T, Widhalm K. Resting metabolic rate in obese children before, during and after weight los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2; 16(1): 11-16 

  24. Tounian P, Frelut ML, Parlier G, Abounaufal C, Aymard N, Veinberg F, Fontaine JL, Girardet JP. Weight loss and changes in energy metabolism in massively obese adolescen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 23(8): 830-837 

  25. Lissner L, Odell PM, D'Agostino RB, Stokes J 3rd, Kreger BE, Belanger AJ, Brownell KD. Variability of body weight and health outcomes in the Framingham population. N Engl J Med 1991; 324(26): 1839-1844 

  26. Chang UJ, Lim KA, Han YB.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program. Korean J Food Nutr 1999; 12(2): 177- 183 

  27. Kim MS, Choi MS, Kim KN.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reducing and maintaining weight in obese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1): 80-89 

  28. Kang YH, Yi KO, Ha EH, Kim JY, Kim WY. Evaluation of short term weight control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04; 37(6): 493-501 

  29. Park BN, Lee HJ, Park JS. The effects of health management program on BMI, obesity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Inf Health Stat 2007; 32(2): 1-12 

  30. Bray GA. Is dietary fat important? Am J Clin Nutr 2011; 93(3): 481-482 

  31. Brehm BJ, Seeley RJ, Daniels SR, D'Alessio DA.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a very low carbohydrate diet and a calorie-restricted low fat diet on body weight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ealthy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88(4): 1617-1623 

  32. Yoo JS, Kim EJ, Lee SJ.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tress response in type 2 diabetes. J Korean Acad Nurs 2006; 36(5): 751-760 

  33. Oh HJ. Obesity and trace mineral. Med Postgrad 2007; 35(1): 25-27 

  34. Lim MR, Kang SM. The effect of functional foods on the abdominal obesity. J Cosmetol Sci 2010; 6(2): 95-104 

  35. Papakonstantinou E, Flatt WP, Huth PJ, Harris RB. High dietary calcium reduces body fat content, digestibility of fat, and serum vitamin D in rats. Obes Res 2003; 11(3): 387-394 

  36. Ock SM, Ju SY, Choi WS, Park HM, Jung KI, Song CJ. Association of sleep hours with obesity in adult women. Korean J Obes 2008; 17(3): 110-116 

  37. Tuomilehto H, Peltonen M, Partinen M, Lavigne G, Eriksson JG, Herder C, Aunola S, Keinanen-Kiukaanniemi S, Ilanne-Parikka P, Uusitupa M, Tuomilehto J, Lindstrom J; Finnish Diabetes Prevention Study Group. Sleep duration, lifestyle intervention,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impaired glucose tolerance: The Finnish Diabetes Prevention Study. Diabetes Care 2009; 32(11): 1965-1971 

  3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2010 

  39. Lee HS, Lee JW, Chang N, Kim JM.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c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blood lipid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Korean J Nutr 2009; 42(8): 759-769 

  40. Moon SJ, Kim HS, Kim JH, Park GS, You YH.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on obese women. Korean J Nutr 1995; 28(8): 759-770 

  41. Hong HR, Kang HS, An EN. Relationship of obesity indices with daily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intake in high school women. Korean J Exerc Nutr 2007; 11(3): 189-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