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에서 비만 여부에 따른 식사섭취상태 및 식사의 질 평가 :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2, 2012년, pp.140 - 149  

배윤정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여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의 질을 평가하고, 식사의 질과 비만지표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 3,565명의 대상자 (정상군 2,841명, 비만군 724명)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일 총 섭취 열량에서는 정상군이 1,707.81 kcal로 비만군의 1,634.94 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 = 0.0199), 또한 섭취 열량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은 비만군에 비해 탄수화물 (p = 0.0298) 및 나트륨 (p = 0.0169)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던 반면 칼슘 (p = 0.0261)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칼슘의 경우 정상군에서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율이 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178),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 = 0.0152). 영양소별 NAR 및 MAR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서 칼슘의 NAR이 0.63으로 비만군의 0.6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 = 0.0158), 영양소별 NAR의 평균치인 MAR의 경우 정상군이 0.80, 비만군이 0.79로 두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정상군 1,297.36 g, 비만군 1,271.28 g으로 두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에서 정상군이 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162). DDS는 전체 대상자에서 3.753점으로 나타났으며, 정상군이 3.769점으로 비만군의 3.686점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253). 또한 전체 연구대상자의 DVS는 30.07개로 나타났으며, 정상군과 비만군 각각 30.41개, 28.63개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003). 식품섭취와 관련된 식사의 질 지수 (DDS, DVS)와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DVS가 많은 대상자들의 허리둘레 및 체질량지수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p for trend < 0.01), 이 결과는 연령, 음주 상태, 신체활동 정도 및 열량 섭취량을 보정한 후에도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p for trend < 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만한 성인 여성의 경우 정상 체중인 여성에 비해 칼슘 섭취 및 유제품 섭취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DDS 및 DVS가 유의적으로 낮아 다양하지 못한 식품 섭취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DVS는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와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비만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만 관리에 적용할 때 고른 영양 섭취를 위해 식품군의 구성, 섭취하는 식품의 가짓수 등 영양균형에 중점을 두어 식사지도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칼슘 섭취의 질과 비만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 및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obese women to those of non-obese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quality and obesity index in females. We analyzed data from the combined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사의 질과 관련한 일부 선행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식사의 질이 낮았다고 보고하였으며, 성인 여성에서의 비만과 만성질환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장차 비만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소와 식품 섭취의 적절성을 올바르게 지적할 수 있는 식사의 질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여성의 비만 여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비만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치료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별 영양섭취기준 대비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연령층에 부합하는 권장섭취량 및 평균필요량을 사용하여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비율 및 평균 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열량 섭취과 관련한 평가시에는 열량 필요추정량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여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의 질을 평가하고, 식사의 질과 비만지표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비만 여성의 경우 정상 여성에 비해, 열량 및 섭취 열량 1,000 kcal 당 칼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칼슘의 경우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율, 칼슘의 NAR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비율은 높게 나타나 비만 성인 여성의 경우 칼슘 섭취의 질이 정상 체중인 여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13) 다른 식품이 한 가지 추가될 때마다 DVS는 1점씩 증가하게 된다.
  • 23,24) 또한 12주간의 중재연구에서 유제품 섭취의 증가는 체지방 및 허리둘레의 감소율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25) 유제품은 칼슘 이외에 에너지 평형에 관여하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그 중 우유에 풍부한 루신은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여 체지방을 제지방으로 변화시켜 에너지 재배치를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26) 또한 유청 단백질의 경우 칼슘의 흡수를 강화시켜, 칼슘의 생체이용률 증가로 인한 체조직 구성변화에 미치는 칼슘의 영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발생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비만의 발생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 열량 섭취의 과다 및 신체활동량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 부적절한 생활습관 및 식습관, 호르몬 관련 대사 이상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특히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식사성 인자는 조절 가능한 중요한 요인이며, 이 중 영양소의 과부족이 없고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적절히 이루어진 식사를 의미하는 균형된 식사의 중요성이 비만 관리를 위하여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비만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요인은? 우리나라는 경제적 풍요와 다양한 식품 공급으로 인한 영양 섭취의 증가와 신체활동량의 감소로 비만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09)에 의하면 19세 이상 성인에서 체질량지수 25 ㎏/㎡ 이상인 비만의 비율이 31.
여성의 심혈관질환,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암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유병률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의 원인은? 비만의 발생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 열량 섭취의 과다 및 신체활동량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 부적절한 생활습관 및 식습관, 호르몬 관련 대사 이상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특히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식사성 인자는 조절 가능한 중요한 요인이며, 이 중 영양소의 과부족이 없고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적절히 이루어진 식사를 의미하는 균형된 식사의 중요성이 비만 관리를 위하여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3). Seoul; 2010 

  2.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ova; 1998 

  3. Szponar L, Rychlik E. Dietary intake elderly subjects in rural and urban area in Poland. Pol Merkur Lekarski 2002; 13(78): 490-496 

  4. Drewnowski A, Henderson SA, Driscoll A, Rolls BJ. The Dietary Variety Score: assessing diet quality in healthy young and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1997; 97(3): 266-271 

  5. Jovanovi? GK, Zezelj SP, Malatestini? D, Suti? IM, Stefanac VN, Dorci? F. Diet quality of middle age and older women from Primorsko-Goranska County evaluated by healthy eating index and association with body mass index. Coll Antropol 2010; 34 Suppl 2: 155-160 

  6. Previdelli AN, Lipi M, Castro MA, Marchioni DM. Dietary quality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factory workers in the metropolitan region of Sao Paulo, Brazil. J Am Diet Assoc 2010; 110 (5): 786-790 

  7. Arroyo Izaga M, Rocandio Pablo AM, Ansotegui Alday L, Pascual Apalauza E, Salces Beti I, Rebato Ochoa E. Diet quality, overweight and obesity in university students. Nutr Hosp 2006; 21(6): 673-679 

  8. Yeon JY,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Focused on comparison with overweight and normal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10; 23 (4): 453-461 

  9.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83-591 

  10. Jun YS, Choi MK, Bae YJ, Sung CJ. Effect of meals variety on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Korean J Food Cult 2006; 21(2): 216-224 

  11. Lee MS, Kwak C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1): 39-51 

  12. Kant AK. Indexes of overall diet quality: a review. J Am Diet Assoc 1996; 96(8): 785-791 

  13.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 Guthrie HA, Krebs- Smith J.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1987; 87(7): 897-903 

  14. Beydoun MA, Gary TL, Caballero BH, Lawrence RS, Cheskin LJ, Wang Y. Ethnic differences in dairy and related nutrient con sumption among US adul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obesity, centr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2008; 87 (6): 1914-1925 

  15. Chung HK, Kang JH, Shin MJ. Assessment for nutrient intakes in Korean women according to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 694-703 

  16. Baecke JA, Burema J, Deurenberg P. Body fatness, relative weight and frame size in young adults. Br J Nutr 1982; 48(1): 1-6 

  17. Huang L, Xue J, He Y, Wang J, Sun C, Feng R, Teng J, He Y, Li Y. Dietary calcium but not elemental calcium from supplements is associated with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in Chinese women. PLoS One 2011; 6(12): e27703 

  18. Shahar DR, Schwarzfuchs D, Fraser D, Vardi H, Thiery J, Fiedler GM, Bluher M, Stumvoll M, Stampfer MJ, Shai I; DIRECT Group. Dairy calcium intake, serum vitamin D, and successful weight loss. Am J Clin Nutr 2010; 92(5): 1017-1022 

  19. Caron-Jobin M, Morisset AS, Tremblay A, Huot C, Legare D, Tchernof A. Elevated serum 25(OH)D concentrations, vitamin D, and calcium intakes are associated with reduced adipocyte size in women. Obesity (Silver Spring) 2011; 19(7): 1335-1341 

  20. Teegarden D. The influence of dairy product consumption on body composition. J Nutr 2005; 135(12): 2749-2752 

  21. Teegarden D, White KM, Lyle RM, Zemel MB, Van Loan MD, Matkovic V, Craig BA, Schoeller DA. Calcium and dairy product modulation of lipid utilization and energy expenditure. Obesity (Silver Spring) 2008; 16(7): 1566-1572 

  22. Jacobsen R, Lorenzen JK, Toubro S, Krog-Mikkelsen I, Astrup A. Effect of short-term high dietary calcium intake on 24-h energy expenditure, fat oxidation, and fecal fat excretion. Int J Obes (Lond) 2005; 29(3): 292-301 

  23. Marques-Vidal P, Goncalves A, Dias CM. Milk intake is inversely related to obesity in men and in young women: data from the Portuguese Health Interview Survey 1998-1999. Int J Obes (Lond) 2006; 30(1): 88-93 

  24. Rosell M, Johansson G, Berglund L, Vessby B, de Faire U, Hellenius ML. Associations between the intake of dairy fat and calcium and abdominal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 28(11): 1427-1434 

  25. Zemel MB, Thompson W, Milstead A, Morris K, Campbell P. Calcium and dairy acceleration of weight and fat loss during energy restriction in obese adults. Obes Res 2004; 12(4): 582-590 

  26. Layman DK. The role of leucine in weight loss diets and glucose homeostasis. J Nutr 2003; 133(1): 261S-267S 

  27. Zhao Y, Martin BR, Wastney ME, Schollum L, Weaver CM. Acute versus chronic effects of whey proteins on calcium absorption in growing rats. Exp Biol Med (Maywood) 2005; 230(8): 536- 542 

  28. Louie JC, Flood VM, Hector DJ, Rangan AM, Gill TP. Dairy consumption and overweight an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Obes Rev 2011; 12(7): e582-e592 

  29. Arabshahi S, van der Pols JC, Williams GM, Marks GC, Lahmann PH. Diet quality and change in anthropometric measures: 15-year longitudinal study in Australian adults. Br J Nutr 2011: 1-10 

  30. Gao SK, Beresford SA, Frank LL, Schreiner PJ, Burke GL, Fitzpatrick AL. Modifications to the Healthy Eating Index and its ability to predict obesity: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Am J Clin Nutr 2008; 88(1): 64-69 

  31. Drewnowski A, Fiddler EC, Dauchet L, Galan P, Hercberg S. Diet quality measur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France: applying the Healthy Eating Index to the SU.VI.MAX study. J Am Coll Nutr 2009; 28(1): 22-29 

  32. Azadbakht L, Mirmiran P, Azizi F. Dietary diversity scor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 Tehranian adults. Int J Obes (Lond) 2005; 29(11): 1361-1367 

  33. Lee JE, Ahn Y, Kimm K, Park C. Study on the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ean J Nutr 2004; 37(10): 908-916 

  34. Bae YJ, Sung CJ. A comparison betwee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and normal women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the evaluation of diet qual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 (2): 205-215 

  35. Kant AK, Graubard BI. A comparison of three dietary pattern indexes for predicting biomarkers of diet and disease. J Am Coll Nutr 2005; 24(4): 294-30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