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녀에서 영양표시 활용 정도에 따른 영양섭취 및 식사의 질 평가: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Based on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3, 2014년, pp.193 - 205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성별 영양표시의 활용 정도에 따른 식습관, 생활 습관 및 식사 섭취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영양표시를 읽지 않고, 영양표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성인의 경우 음주 빈도가 높거나 (남성), 라면의 섭취 빈도는 높은 반면 우유, 요구르트, 두유와 같은 바람직한 식품의 섭취 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양표시를 활용하지 않는 대상자에서 비타민 $B_2$, 비타민 C 및 칼슘과 같은 미량영양소 섭취의 질이 낮게 나타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양표시의 이용 및 영향 여부와 같은 적절한 식태도가 영양소 섭취의 질 및 식품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영양표시 이용에 대한 세분화된 영양교육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combined 2010-2011 KNHAN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단위 대규모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영양표시 활용 정도가 식사 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우리나라 성인에서 성별 영양표시의 활용 정도에 따른 식습관, 생활습관 및 식사섭취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영양표시를 읽지 않고, 영양표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성인의 경우 음주 빈도가 높거나 (남성), 라면의 섭취 빈도는 높은 반면 우유, 요구르트, 두유와 같은 바람직한 식품의 섭취 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섭취 열량의 차이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열량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 (섭취 밀도)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양소 섭취의 적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9가지 영양소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C, 칼슘, 인 및 철)에 대하여 영양소 적정 섭취비 (nutrient adequacy ratio, NAR)를 구하였으며, NAR의 값은 1을 상한치로 설정하여 1 이상이 될 경우 1로 간주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영양표시 활용 정도에 따른 식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성별에 따른 일반사항 및 영양표시 활용 정도를 평가 후, 2차적으로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영양표시 활용 정도에 따라 군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양표시 활용 정도 분류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영양표시와 관련하여 조사가 이루어진 3가지 항목을 사용하였다.
  • 아침 결식 여부 및 외식 빈도와 같은 식습관에 대한 정보는 영양조사 항목 중 식생활조사를 통해 얻어졌으며, 음주 빈도 및 흡연 상태에 대한 정보는 건강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얻어졌다. 영양표시 활용 정도는 영양표시를 인지하는지 여부, 영양표시를 인지한다고 응답한 대상자 중 영양표시를 이용하는지 여부와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영양표시 중 관심있는 영양소로 열량,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기타 중 가장 관심있는 항목 하나만 응답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 대규모의 데이터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자료, 식생활 및 식품 섭취 조사 자료를 분석하고, 성별 영양표시의 활용 정도에 따라 신체계측치,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가공식품 섭취 빈도, 영양소 섭취량 및 영양소 섭취의 질 평가를 실시하여, 영양표시 활용 정도가 식사 섭취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표시 이용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영양표시 이용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지금까지 보고된 선행연구에 의하면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 등의 영향을 받아, 여성이고, 나이가 어릴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좀더 영양표시를 활용하는 비율이 높다고 보고되었다.6-8 또한 영양표시를 활용하는 대상자의 경우 영양표시 비활용자와 비교시 건강 관련 태도 및 행동의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 영양표시 이용자들의 경우 비이용자에 비해 건강 및 건강한 식사 섭취에 대한 인지를 좀더 강하게 하며, 건강에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식품 섭취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영양표시 제도란? 영양표시 제도는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을 일정한 기준과 방법에 따라 식품에 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영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국가가 관리하는 제도이다.1 우리나라는 ‘식품위생법’ 제11조에 의거해 ‘식품위생법 시행규칙’과 ‘식품 등의 표시기준’ 에 영양표시 대상, 식품과 영양표시에 관한 기준 등이 고시되어 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 고시된 9가지 의무표시 영양소는 무엇인가? 1 우리나라는 ‘식품위생법’ 제11조에 의거해 ‘식품위생법 시행규칙’과 ‘식품 등의 표시기준’ 에 영양표시 대상, 식품과 영양표시에 관한 기준 등이 고시되어 있다. 영양표시에는 식품의 1회 제공량당 들어있는 영양소의 함량과 % 영양소기준치가 제시되어 있으며, 9가지 의무표시 영양소인 열량,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함량과 기타 다른 영양소에 대한 함량이 표기되어 있다. 영양표시 제도는 성장기 어린이, 청소년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영양교육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Food labeling regulation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5. 

  2. Park HJ, Lee JS, Kim EK.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26-238. 

  3. Chung EJ, Jeon JS, Ahn HS.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food & nutrition labels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39-254. 

  4. Lee KA, Lee HJ, Park E.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2): 253-266.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2013. 

  6.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2005; 105(3): 392-402. 

  7. Ollberding NJ, Wolf RL, Contento I. Food label use and its relation to dietary intake among US adults. J Am Diet Assoc 2011; 111 (5 Suppl): S47-S51. 

  8. Stran KA, Knol LL. Determinants of food label use differ by sex. J Acad Nutr Diet 2013; 113(5): 673-679. 

  9.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M Jr. Nutrition knowledge and consumer use of nutritional food labels. Eur Rev Agric Econ 2005; 32(1): 93-118. 

  10. Kreuter MW, Brennan LK, Scharff DP, Lukwago SN. Do nutrition label readers eat healthier diets? Behavioral correlates of adults' use of food labels. Am J Prev Med 1997; 13(4): 277-283. 

  11. Perez-Escamilla R, Haldeman L, Gray 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needs in an urban school district in Connecticut: establishing priorities through research. J Am Diet Assoc 2002; 102(4): 559-562. 

  12. Neuhouser ML, Kristal AR, Patterson RE. Use of food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lower fat intake. J Am Diet Assoc 1999; 99(1): 45-53. 

  13. Graham DJ, Laska MN. Nutrition label us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healthy eating and overall dietary q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J Acad Nutr Diet 2012; 112(3): 414-418. 

  14. Zarkin GA, Dean N, Mauskopf JA, Williams R.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1993; 83(5): 717-724. 

  15. Yun JS, Lyu 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9): 1259-1264. 

  16. Bae YJ, Yeon JY.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 Assoc 2011; 17(4): 387-402. 

  17. Chung HJ, Cheon HS, Kwon KI, Kim JY, Yoo KS, Lee JH, Kim JW, Park HK, Kim SH, Hong SM.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 of nutrition labeling in fast-food restaurants. Korean J Nutr 2009; 42(1): 68-77. 

  18. Yoo J, Jeong HS.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Korean J Food Nutr 2011; 24(3): 282-290. 

  19. Park S, Kim SJ, Kim B, Yoon H, Hong JM, Ahn YS, Kim JS, Han SB, Yoon Y, Joo N. Consumer awarenes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nutrition labeling for Takju. Korean J Food Cult 2013; 28(1): 89-98. 

  20. Kim JH, Lee KT.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domestically processed meat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7): 1056-1063. 

  21. Hansen RG.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1973; 31(1): 1-7. 

  22. Kristal AR, Levy L, Patterson RE, Li SS, White E. Trends in food label use associated with new nutrition labeling regulations. Am J Public Health 1998; 88(8): 1212-1215. 

  23. Macon JF, Oakland MJ, Jensen HH, Kissack PA. Food label use by older Americans: data from the Continuing Survey of Food Intakes by Individuals and the Diet and Health Knowledge Survey 1994-96. J Nutr Elder 2004; 24(1): 35-52. 

  24. Cowburn G, Stockley L. Consumer understanding and use of nutrition labelling: a systematic review. Public Health Nutr 2005; 8(1): 21-28. 

  25. Post RE, Mainous AG 3rd, Diaz VA, Matheson EM, Everett CJ. Use of the nutrition facts label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m Diet Assoc 2010; 110(4): 628-632. 

  26. Hawkes C. Nutrition labels and health claims: the global regulatory environmen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27. Guthrie JF, Fox JJ, Cleveland LE, Welsh S. Who uses nutrition labeling, and what effects does label use have on diet quality? J Nutr Educ 1995; 27(4): 163-172. 

  28. Bonanni AE, Bonaccio M, di Castelnuovo A, de Lucia F, Costanzo S, Persichillo M, Zito F, Donati MB, de Gaetano G, Iacoviello L. Food labels use is associated with higher adherence to Mediterranean diet: results from the Moli-sani study. Nutrients 2013; 5(11): 4364-4379. 

  29. Kim M, Kim J, Yu J. Factors relating to use of food labels amo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12; 29(5): 1-12. 

  30. Ross AC, Caballero B, Cousins RJ, Tucker KL, Ziegler TR.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11th Edition.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31. Sorenson AW, Wyse BW, Wittwer AJ, Hansen RG. An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for a balanced diet. New help for an old problem. J Am Diet Assoc 1976; 68(3): 236-242. 

  32. Staser KW, Zollinger TW, Saywell RM Jr, Kunapareddy S, Gibson PJ, Caine VA.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Marion County, Indiana, 2005. Prev Chronic Dis 2011; 8(3): A66. 

  33. Drewnowski A, Henderson SA, Shore AB, Fischler C, Preziosi P, Hercberg S. Diet quality and dietary diversity in France: implications for the French paradox. J Am Diet Assoc 1996; 96(7): 663-6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