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Promote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2, 2012년, pp.258 - 268  

양진향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promote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Methods: The research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he participants were 61 patients, 29 in the ex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자가관리 이행을 통해 대상자들은 간경화나 간암 등 심각한 간질환을 사전에 예방하고, 나아가 평생건강관리 차원에서 건강한 생활양식을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형간염환자의 자가관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소그룹 집단상담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소그룹 집단상담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상자에게 적용한 후 질병관련지식,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및 자가관리 이행의 정도 변화를 분석하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실험 처치는 매주 1회로 총 6회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소그룹 집단상담 중심의 자가관리 증진 프로그램이 만성 B형간염환자들의 질병관련지식,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및 자가관리 이행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가관리 증진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부정확한 질병인식을 해소할 뿐 아니라 질병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심리사회적 대처를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두어 궁극적으로 자가관리 이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다.
  • 본 연구에서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관리 증진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는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이 해당질병에 대해 정확하고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중요성 인지와 자기효능감 증가를 통해 동기를 발전시키며 학습된 심리사회적 대처기술을 통해 행위변화를 도모하여 궁극적으로 적절한 자가관리 능력을 배양하게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소그룹 집단상담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경과에 따라 지식점수의 차이가 있을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B형간염의 발병은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현재 우리나라 B형간염 환자의 상당수는 주산기동안 모체로부터의 수직감염에 의한 것으로, 이들은 감염된 사실을 모른 채 수년을 지내기 때문에 한 가족의 몇 대가 B형간염에 이환될 수 있고 40-50대가되었을 때 간경화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Hepatitis B Foundation, 2009). 만성 B형간염의 발병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10-30년간의 장기적인 경과를 거치는데, 대개면역관용기,면역제거기,비증식기,그리고재활성기과정을거친 다. 일반적으로 치료대상은 면역제거기의 B형간염 e항원(HBeAg) 양성 간염 환자와 재활성기에 있는 HBeAg 음성 간염 환자이며, 당장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으나 면역제거기나 재활성기 상태를 대비해야 하는 정기적인 질병감시대상은 면역관용기와 비증식기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이다(Suh, 2008).
만성 B형간염 환자 중 치료대상은 어떠한 환자인가? 만성 B형간염의 발병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10-30년간의 장기적인 경과를 거치는데, 대개면역관용기,면역제거기,비증식기,그리고재활성기과정을거친 다. 일반적으로 치료대상은 면역제거기의 B형간염 e항원(HBeAg) 양성 간염 환자와 재활성기에 있는 HBeAg 음성 간염 환자이며, 당장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으나 면역제거기나 재활성기 상태를 대비해야 하는 정기적인 질병감시대상은 면역관용기와 비증식기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이다(Suh, 2008). 그러므로 만성 B형간염 환자는 질병경과상태와 정확한 질병지식에 근거하여 일상생활관리와 함께정기적인질병감시와치료이행도를높일필요가있다.
간암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무엇인가? 만성 B형간염은 흔히 간경변증이나 간암을 야기하여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간암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전체 간암환자의 70-80%가 B형간염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것이며,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간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정상인에 비해 30-100배 높다(Suh, 2008). 간암은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에 약 178,816명이 발생하여 위암, 갑상선암, 폐암, 대장암에 이어 암 발생율 5위이며, 간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2009년 69,780명으로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하고 있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izadeh, A. H., Ranjbar, M., & Yadollahzadeh, M. (2008). Patient concerns regarding chronic hepatitis B and C infection. Ea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14, 1142-1147.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1st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 Chao, S. D., Chang, E. T., Le, P. V., Prapong, W., Kiernan, M., & So, S. K. S. (2009). The Jade Ribbon Campaign: A model program for community outreach and education to prevent liver cancer in Asian American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1, 281-290. http:// dx.doi.org/10.1007/s10903-007-9094-2 

  4. Choe, J. H., Chan, N., Do, H. H., Woodall, E., Lim, E., & Taylor, V. M. (2005). Hepatitis B and liver cancer beliefs among Korean immigrants in Western Washington. Cancer, 104, 2955-2958. 

  5. Eum, S. J. (1998). Effect of the structured education for knowledge of hepatitis B type and self-care behavior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5, 65-79. 

  6. Gifford, A. L., & Groessl, E. J. (2002).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nd adherence to HIV medications. 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31, S163-S166. 

  7. Hepatitis B Foundation. (2009). What is hepatitis B? Retrieved September 18, 2010, from http://www.hepb.org/hepb 

  8. Hill-Briggs, F. (2003). Problem solving in diabetes self-management: A model of chronic illness self-management behavior.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5, 182-193. 

  9. Holman, H. R., & Lorig, K. (1992). Perceived self-efficacy in self-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In R. Schwarzer (Ed.), Self-efficacy: Thought control of action (pp. 305-324). Washington DC: Hemisphere. 

  10. Hsu C. E, Zhang, G., Yan, F. A., Shang, N., & Le, T. (2010). What made a successful hepatitis B program for reducing liver cancer disparities: An examination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infection status, and missing responses of at-risk Asian American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5, 325-335. http://dx.doi.org/10. 1007/s10900-010-9238-5 

  11. Kang, S. J.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ractice of selfcar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2. Kim, J. H. (1987).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K. S., Yi, M., Choi, E. O., Paik, S. W., Kwak, S., & Kwon, S. (2007).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331-339. 

  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trieved July 25, 2011, from http://knhanes.cdc.go.kr 

  15.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6. Lee, H., & Baik, S. Y. (2011). Health disparities or data disparities: Sampling issues in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mong Asian American Pacific Islander studies. Applied Nursing Research, 24, e9-e15. http://dx.doi. org/10.1016/j.apnr.2009.12.005 

  17. Lee, J, E., Kim, S. S., Kim, S., Han, K. H., Kim, S. H., Ji, E. J., et al. (2011).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20-30. 

  18. Lee, M. K., Han, O. S., & Lee, Y. S. (1996). The study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viral B hepatiti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320-328. 

  19. Levy, A. R., Kowdley, K. V., Iloeje, U., Tafesse, E., Mukherjee, J., Gish, R., et al. (2008). The impact of chronic hepatitis B on quality of life: A multinational study of utilities from infected and uninfected persons. Value in Health, 11, 527-538. 

  20.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1). Cancer mortality rate. Retrieved May 25, 2011, from http://www.cancer.go.kr/cms/statics/mortality/ index.html 

  21. Nyamathi, A., Liu, Y., Marfisee, M., Shoptaw, S., Gregerson, P., Saab, S., et al. (2009). Effects of a nurse-managed program on hepatitis A and B vaccine completion among homeless adults. Nursing Research, 58, 13-22.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1902b93 

  22. Park, M. J. (2002). Kn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 hepatitis in hepatitis B carri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Perrillo, R. (2006).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Current perspectives for the nurse practition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8, 203-215. 

  24. Sorrell, M. F., Belongia, E. A., Costa, J., Gareen, I. F., Grem, J. L., Inadomi, J. M., et al. (2009).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Management of hepatitis B.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0, 104-110. http://dx.doi.org/10.1002/hep.22946 

  25. Suh, D. J. (2008). Current treatment in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14, S39-S43. 

  26. Tan, N. C., Cheah, S. L., & Teo, E. K. (2005). A qualitative study of healthseeking behavior of hepatitis B carriers. Singapore Medical Journal, 46, 6-10. 

  27. Wallace, J., McNally, S., Richmond, J., Hajarizadeh, B., & Pitts, M. (2011). Managing chronic hepatitis B: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perspectives of people living with chronic hepatitis B in Australia. BMC Research Notes, 4, 1-7. http://dx.doi.org/10.1186/1756 -0500-4-45 

  28. Wang, W. L., Wang, C. J., & Tseng, H. F. (2009). Comparing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efficacy toward hepatitis B prev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different hepatitis B virus infectious statuses.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7, 10-19. http://dx.doi.org/10.10 97/JNR.0b013e3181999ca3 

  29. Yang, J. H., Cho, M. O., & Lee, H. O. (2009).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ing patterns of health care behavior among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05-817.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