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방암 환자를 위한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xpressive Writing Program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2, 2012년, pp.269 - 279  

박은영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velop a expressive writing program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o identify its effects on stress physical symptom, cancer symptom, anxiety, depression, and QOL.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elf-help groups in six ho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감정표현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표현적 글쓰기를 독립변수로 하고 암 환자의 스트레스 신체증상, 암 증상, 불안, 우울, 그리고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방암 환자의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들의 암 관련 생각과 감정을 글로 표현하도록 하여 감정을 언어로 표현할 때 나타나는 감정조절과 인지변화의 치료기제의 도움으로 스트레스 신체증상과 암 증상, 불안, 우울이 감소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 자기성찰 단계에서는 글쓰기로 인한 생각과 감정의 변화를 관찰하고 나눔과 계획 단계에서는 상호 피드백을 통해 감정을 나누고 상호 지지하여 생각과 감정표현의 즉시효과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6회기 전체 흐름을 통해서도 회기의 진행에 따라 각 단계의 정도가 깊어지도록 구성하여 유방암 환자의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은 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회기의 진행에 따라 목표와 이에 따른 활동의 변화는 없지만,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암 관련 생각과 감정을 연상시키고 자극시킬 필요가 있어(Pennebaker, 2007) 마음준비단계의 활동은 매 회기 다르게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후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신체증상, 암 증상,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Pennebaker의 표현적 글쓰기와 자기표현의 극대화를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기초로 개발한 유방암 환자의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으로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정서와 상황에 맞게 최초로 개발한 심리사회적 간호중재 프로그램이다.

가설 설정

  • “표현적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 직후와 4주 시점의 스트레스 신체증상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현적 글쓰기의 효과는? 글을 통한 감정 표현 중재 중에서는 표현적 글쓰기가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깊은 생각과 감정을 반복적으로 글로 표현함으로써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부정적 감정표현을 증가시켜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 사건에 대해 회피하고 싶은 침투적 사고를 변화시켜 그 사건에 직면하게 하여 그에 대한 인지를 재구조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Da-vidson et al., 2003; Pennebaker, 1997).
암을 외상성 스트레스의 하나로 받아들이고 있는 이유는? 암 환자들은 진단 시 뿐 아니라 치료 과정에서도 피로나 통증 등의 신체적 고통과 불안, 우울, 그리고 소외감 등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고통을 겪는다. 진단에서 임종까지 암의 전 과정에서 경험되는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 문제에 근거하여 최근에는 암을 외상성 스트레스의 하나로 받아들이고 있다(Kim, Kwon, Kim, Lee, & Lee, 2008). 그리고 외상성 스트레스는 모두가 주지하듯이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신체, 심리적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Lazarus, 2000).
유방암 환자들 중에는 암을 외상성 스트레스로 인지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그리고 외상성 스트레스는 모두가 주지하듯이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신체, 심리적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Lazarus, 2000). 특히 암 환자 중 유방암 환자들은 암 진단과 치료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고통 이외에도 여성성을 상징하는 유방의 상실로 인한 성적인 문제와 신체상의 변화에 직면하는 또 하나의 어려움을 겪는다(Park & Yi, 2009). 또한 유방암 환자들은 유방암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문화적 관습 등으로 자신의 질병과 함께 질병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Park & Yi, ; Shim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rgess, C., Cornelius, V., Love, S., Graham, J., Richards, M., & Ramirez, A. (2005).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30, 702-705. http://dx.doi.org/10.1136/bmj.38343.670868.D3 

  2. Cleeland, C. S., Mendoza, T. R., Wang, X. S., Chou, C., Harle, M. T., & Morrissey, M., et al. (2000). Assessing symptom distress in cancer patients: The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Cancer, 89, 1634-1646. http://dx.doi.org/10.1046/j.1533-2500.2001.01023-30.x 

  3. Collie, K., Bottorff, J. L., & Long, B. C. (2006). A narrative view of art therapy and art making by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761-775. http://dx.doi.org/10.1177/1359105306066632 

  4. Davidson, K., Schwatz, A. R., Sheffield, D., Moord, R. S., Lepore, S. J., & Gerin, W. (2003). Expressive writing and blood pressure. In S. J. Lepore & J. Smyth (Eds.), The writing cure (pp. 17-3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Frisina, P. G., Borod, J. C., & Lepore, S. J. (2004).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written emotional disclosure on the health outcomes of clinical population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2, 629-634. 

  6. Kim, B. R., Kim, Y. H., Kim, J. S., Jeong, I. S., & Kim, J. S. (2003). A study to the coping patterns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321-330. 

  7. Kim, E. S., Lee, M. K., & Choi, J. M. (2006, August). Personality trait and anger expression in cancer patients. In Y. S. Sung (Chair),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Symposium, Seoul. 

  8. Kim, H. J., Kwon, J. H., Kim, J. N., Lee, R., & Lee, K. S. (2008).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 781-799. 

  9. Kim, S. H., Jun, E. Y., & Lee, W. H. (2006).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6, 133-142. 

  10. Laccetti, M. (2007). Expressive writing in women with advanced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4, 1019-1024. http://dx.doi. org/10.1188/07.ONF.1019-1024 

  11. Lazarus, R. S. (2000). Evolution of a model of stress, coping, and discrete emotions. In V. H. Rice (Ed.), Handbook of stress, coping, and health: Implications for nurs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pp. 195-222). Thousand Oaks, CA: Sage. 

  12. Lee, E. H. (200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C-Q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24-333. 

  13. Low, C. A., Stanton, A. L., Bower, J. E., & Gyllenhammer, L. (2010).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motionally expressive writing for women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9(4), 460-466. http://dx.doi.org/10.1037/a0020153 

  14. Martin, D. (2008). Doing psychology experiments (7th ed.). (M. Kim & K. Kam, Trans). Seoul: Sigma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National Cancer Center. (2009). Cancer fact and figures: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NCCI-09-1-7-7), Seoul: Author. 

  16. Oh, S. M., Min, K. J., & Park, D. B.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8, 289-296. 

  17. Park, E. Y., & Yi, M. S. (2009). Illness experi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Using feminist phenomen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504-518. 

  18. Pennebaker J. W. (1997).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s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 162-166. 

  19. Pennebaker J. W. (2007). Writing to Heal (B. H. Lee,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20. Pennebaker, J. W., & Seagal, J. D. (1999). Forming a story: The health benefits of narrativ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1243-1254. 

  21. Rosenberg, H. J., Rosenberg, S. D., Ernstoff, M. S., Wolford, G. L., Amdur, R. J., & Elshamy, M. R., et al. (2002). Expressive disclosure and health outcomes in a prostate cancer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32, 37-53. http://dx.doi.org/10.2190/AGPFVB1G-U82E-AE8C 

  22. Shim, E. J., Mehnert, A., Koyama, A., Cho, S. J., Inui, H., & Paik, N. S., et. al.,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A cross-cultural survey of German, Japanese, and South Korean patient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99, 341-350. http://dx.doi.org/10.1007/ s10549-006-9216-x 

  23. Shin, H. K., & Won, H. T. (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lexithymia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 219-231. 

  24. Shin, S. R., & Kim, N. (2009).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on the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breast resection. Journal of Psychotherapy, 9, 143-166. 

  25. Smith, S., Anderson-Hanley, C., Langrock, A., & Compas, B. (2005). The effects of journaling for women with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4, 1075-1082. http://dx.doi.org/10.1002/pon.912 

  26. Smyth, J. (1998). Written emotional expression: Effect sizes, outcome types, and moderating valu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 174-184. 

  27. Spiegel, D., & Giese-Davis, J. (2003). Depression and cancer: Mechanisms and disease prog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54, 269-282. http:// dx.doi.org/10.1016/S0006-3223(03)00566-3 

  28. Stanton, A. L., Danoff-Burg, S., Sworowski, L. A., Collins, C. A., Branstetter, A. D., Rodriguez-Hanley, A., et al. (2002).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written emotional expression and benefit find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 4160-4168. http:// dx.doi.org/10.1200/JCO.2002.08.521 

  29. Yun, Y. H., Mendoza, T. R., Kang, I. O., You, C. H., Roh, J. W., & Lee, C. G., et al. (2006).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1, 345-352.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5.07.013 

  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 361-3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