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 직후 유방암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Psychoeducational Approach to Distress Management of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6, 2018년, pp.669 - 678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전미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정용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배선형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영미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psychoeducational program for distress management of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A quasi-experimental trial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7 femal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sig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리교육프로그램이 유방암환자의 디스트레스, 지지적 관리요구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진단 직후 수술과 보조항암치료 등과 같은 일차치료와 암의 재발과 전이라는 두려움으로 인해 신체적 및 심리사회적 디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유방암환자를 위해 개발된 심리교육프로그램이 디스트레스, 지지적 관리요구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방암 진단 시기부터 일차치료 종료 후까지 제공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이 일차치료 종료 후와 일차치료 종료 후 6개월 시기까지 유방암환자의 디스트레스와 지지적 관리요구도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단 직후 유방암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이 환자의 디스트레스, 지지적 관리요구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진단 직후인 수술 전부터 보조항암요법 등 일차치료가 끝나는 시기까지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심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디스트레스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2) 가설 2. 심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지지적 관리요구도 영역별 점수는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3) 가설 3. 심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삶의 질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이로 인해 유방암환자들은 치료로 인한 부작용과 합병증, 여성성의 변화 등 암 진단 시점부터 치료과정 중과 완치 후에도 부정적인 신체적, 심리사회적 반응들을 경험하며 디스트레스(distress)를 가지게 된다[3]. 디스트레스란 암, 신체 증상, 치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심리적, 사회적, 영적 특성을 포함하는 불유쾌한 정서적 경험으로 혼돈과 당황에서부터 불안, 두려움, 분노, 우울, 죄책감과 부담감, 허무와 무력감, 절망, 소외감 등 매우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의미한다[4]. 일시적인 디스트레스는 정상적인 반응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디스트레스는 통증, 피로, 메스꺼움, 수면장애, 숨 가쁨, 건망증, 식욕부진, 졸음, 입 마른 느낌, 구토, 무감각/저린 느낌 등의 신체적 증상을 더 심각하게 지각하게 한다.
유방암환자들이 디스트레스를 겪게 되는 환경은 무엇인가? 유방암환자는 암의 재발과 전이의 위험 때문에 암 병기에 따라 수술 후에도 방사선요법, 항암 화학요법, 호르몬 요법 등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받게 된다[2]. 이로 인해 유방암환자들은 치료로 인한 부작용과 합병증, 여성성의 변화 등 암 진단 시점부터 치료과정 중과 완치 후에도 부정적인 신체적, 심리사회적 반응들을 경험하며 디스트레스(distress)를 가지게 된다[3].
디스트레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디스트레스란 암, 신체 증상, 치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심리적, 사회적, 영적 특성을 포함하는 불유쾌한 정서적 경험으로 혼돈과 당황에서부터 불안, 두려움, 분노, 우울, 죄책감과 부담감, 허무와 무력감, 절망, 소외감 등 매우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의미한다[4]. 일시적인 디스트레스는 정상적인 반응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디스트레스는 통증, 피로, 메스꺼움, 수면장애, 숨 가쁨, 건망증, 식욕부진, 졸음, 입 마른 느낌, 구토, 무감각/저린 느낌 등의 신체적 증상을 더 심각하게 지각하게 한다. 이러한 증상은 유방암환자의 암과 치료에 대한 만족도와 안녕감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의 적응과 회복을 지연시키는 등 암환자의 삶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8 [Internet].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c2018 [cited 2018 Nov 01].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181030.pdf. 

  2. Runowicz CD, Leach CR, Henry NL, Henry KS, Mackey HT, Cowens-Alvarado RL, et al. American Cancer Society/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breast cancer survivorship care guideline.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016;66(1): 43-73. https://doi.org/10.3322/caac.21319 

  3. Syrowatka A, Motulsky A, Kurteva S, Hanley JA, Dixon WG, Meguerditchian AN, et al. Predictors of distress i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7;165(2):229-245. https://doi.org/10.1007/s10549-017-4290-9 

  4. Holland JC, Andersen B, Breitbart WS, Buchmann LO, Compas B, Deshields TL, et al. Distress management. 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3;11(2):190-209. https://doi.org/10.6004/jnccn.2013.0027 

  5. Liao MN, Chen SC, Chen SC, Lin YC, Chen MF, Wang CH, et al. Change and predictors of symptom di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following the first 4 months after diagnosis.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2015;114(3):246-253. https://doi.org/10.1016/j.jfma.2013.06.009 

  6. Park JH, Chun M, Jung YS, Bae SH.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trajectories in the first year after a breast cancer diagnosis. Asian Nursing Research. 2017;11(4):268-275. https://doi.org/10.1016/j.anr.2017.10.003 

  7. Liao MN, Chen SC, Chen SC, Lin YC, Hsu YH, Hung HC, et al. Changes and predictors of unmet supportive care needs in Taiwanese women with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012;39(5):E380-E389. https://doi.org/10.1188/12.onf.e380-e389 

  8. Fiszer C, Dolbeault S, Sultan S, Bredart A. Prevalence, intensity, and predictors of the supportive care needs of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Psycho-Oncology. 2014;23(4):361-374. https://doi.org/10.1002/pon.3432 

  9. Park JH, Chun M, Jung YS, Jung YM. Changes of supportive care need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4):217-225. https://doi.org/10.5388/aon.2016.16.4.217 

  10. Fagerlind H, Kettis A, Glimelius B, Ring L. Barriers against psychosocial communication: Oncologists' perception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3;31(30):3815-3822. https://doi.org/10.1200/jco.2012.45.1609 

  11. Barsevick AM, Sweeney C, Haney E, Chung E. A systematic qualitative analysi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002;29(1):73-87. https://doi.org/10.1188/02.onf.73-87 

  12. D'Egidio V, Sestili C, Mancino M, Sciarra I, Cocchiara R, Backhaus I, et al. Counseling interventions delivered in women with breast cancer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Quality of Life Research. 2017;26(10):2573-2592. https://doi.org/10.1007/s11136-017-1613-6 

  13. Matsuda A, Yamaoka K, Tango T, Matsuda T, Nishimoto H. Effectiveness of psychoeducation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early-stage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Quality of Life Research. 2014;23(1):21-30. https://doi.org/10.1007/s11136-013-0460-3 

  14. Milanti A, Metsala E, Hannula L. Reducing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6;25(4):S25-S30. https://doi.org/10.12968/bjon.2016.25.4.s25 

  15. Schulman-Green D, Jeon S. Managing cancer care: A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knowledge of care options and breast cancer self-management. Psycho-Oncology. 2017;26(2):173-181. https://doi.org/10.1002/pon.4013 

  16. Wu PH, Chen SW, Huang WT, Chang SC, Hsu MC. Effects of a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8;26(4):266-279. https://doi.org/10.1097/jnr.0000000000000252 

  17. Ashing KT, Miller AM. Assessing the utility of a telephonically delivered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frican American breast cancer survivors: A pilot trial. Psycho-Oncology. 2016;25(2):236-238. https://doi.org/10.1002/pon.3823 

  18. Dastan NB, Buzlu S. Psychoeducation intervention to improve adjustment to cancer among Turkish stage I-II breast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2;13(10):5313-5318. https://doi.org/10.7314/apjcp.2012.13.10.5313 

  19. van den Berg SW, Gielissen MFM, Ottevanger PB, Prins JB. Rationale of the BREAst cancer e-healTH [BREATH]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n internet-base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to foster adjustment after curative breast cancer by decreasing distress and increasing empowerment. BMC Cancer. 2012;12:394. https://doi.org/10.1186/1471-2407-12-394 

  20. Mens MG, Helgeson VS, Lembersky BC, Baum A, Scheier MF. Randomized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breast cancer: Impact on life purpose. Psycho-Oncology. 2016;25(6):618-625. https://doi.org/10.1002/pon.3891 

  21. Lee KS, Lee R, Kim DM, Kim SH.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ping style among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35-43. https://doi.org/10.5388/aon.2012.12.1.35 

  22. Ok ON, Nam MS, Yi MS, Cho SM, Kim EJ, Ham YH, et al. Effects of telephone counseling support on di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adverse events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7;17(1):37-44. https://doi.org/10.5388/aon.2017.17.1.37 

  23.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Distress thermometer screening tool figure (DIS-A), V.2.2013 [Internet]. Plymouth Meeting (PA):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c2013 [cited 2013 Jun 2]. Available from: https://www.nccn. org/global/international_adaptations.aspx. 

  24. Boyes A, Girgis A, Lecathelinais C. Brief assessment of adult cancer patients' perceived need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34-item Supportive Care Needs Survey (SCNS-SF34).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9;15(4):602-606. https://doi.org/10.1111/j.1365-2753.2008.01057.x 

  25. Brady MJ, Cella DF, Mo F, Bonomi AE, Tulsky DS, Lloyd SR,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quality-of-life instrument.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97;15(3):974-986. https://doi.org/10.1200/jco.1997.15.3.974 

  26. Yoo HJ, Ahn SH, Eremenco S, Kim H, Kim WK, Kim SB, et al. Korean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FACT-B) scale version 4. Quality of Life Research. 2005;14(6):1627-1632. https://doi.org/10.1007/s11136-004-7712-1 

  2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19-66. 

  28. Schofield P, Ugalde A, Gough K, Reece J, Krishnasamy M, Carey M, et al. A tailored, supportive care intervention using systematic assessment designed for people with inoperable lung canc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sycho-Oncology. 2013;22(11):2445-2453. https://doi.org/10.1002/pon.3306 

  29. White VM, Macvean ML, Grogan S, D'Este C, Akkerman D, Ieropoli S, et al. Can a tailored telephone intervention delivered by volunteers reduce the supportive care needs, anxiety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colorectal canc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sycho-Oncology. 2012;21(10):1053-1062. https://doi.org/10.1002/pon.2019 

  30. Ai ZP, Gao XL, Li JF, Zhou JR, Wu YF. Changing trend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quality of life of chemotherapy patients with breast cancer. Chinese Nursing Research. 2017;4(1):18-23. https://doi.org/10.1016/j.cnre.2017.03.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