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 두메부추로부터 추출한 정유의 휘발성 성분 분석
Volatile Compounds of Essential Oils from Allium senescens L. var. senesc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2, 2012년, pp.143 - 148  

오미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배선영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미숙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mebuchu$ ($Allium$ $senescens$ L. var. $senescens$) has a peculiar and long-lasting odor that resembles the flavor of garlic and on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olatile compound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dumebuch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두메부추의 정유를 추출하여 휘발성 성분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메부추의 정유를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두메부추의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식물소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며 식품과 같이 복합적인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시료는 휘발성 성분의 추출방법에 더 의존하므로 수증기증류, 유기용매 추출, 초임계유체추출 및 SPME 추출 등의 다양한 추출법이 시도되고 있으며(Kataoka H 2000), 정유의 추출을 위해서는 수증기증류 추출법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유 식품 소재인 두메부추의 정유를 식품저장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그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하여 향기성분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두메부추의 정유를 추출하여 휘발성 성분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메부추는 왜 두메부추라고 명명한 것인가? var. senescens)는 일반부추에 비하여 잎이 두껍고 길며, 향이 매우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산에 자생하여 두메부추라고 명명하였다. 두메부추는 비늘줄기와 잎을 이뇨 및 강장의 약용 목적으로 이용해 왔으며, 나물 및 김치류로 만들어 부식으로도 섭취해 온 식용식물이다.
두메부추의 정유와 같은 식물의 휘발성 성분은 어떤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는가? 부추와 향기가 유사한 두메부추의 정유도 이와 같은 목적으로 활용하여 식품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식물소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며 식품과 같이 복합적인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시료는 휘발성 성분의 추출방법에 더 의존하므로 수증기증류, 유기용매 추출, 초임계유체추출 및 SPME 추출 등의 다양한 추출법이 시도되고 있으며(Kataoka H 2000), 정유의 추출을 위해서는 수증기증류 추출법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유 식품 소재인 두메부추의 정유를 식품저장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그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하여 향기성분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두메부추의 재배 방법에 따른 향기를 SPME 방법으로 추출하였을 때 발견된 함황화합물 중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두메부추에 대한 연구로는 proline, glutamine, valine, leucine 및 threonine이 자생 두메부추의 주요 아미노산으로 보고되었으며(Chung MS와 Lee MS 2001), 자생 두메부추의 향기성분을 diethyl ether를 용매로 하여 연속증류추출법으로 추출하였을 때 함황화합물이 신선한 시료와 동결건조 시료에서 각각 9종과 4종이 확인되었다(Lee MS와 Chung MS 2001). 두메부추의 재배 방법에 따른 향기를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방법으로 추출하였을 때, 9가지 함황화합물이 확인되었고 그 가운데 dipropyl disulfide, propyl allyl disulfide의 함량이 높았으며 carboxen/polydimethylsiloxane (CAR/PDMS) fiber가 함황화합물 추출에 효율적임이 보고되었다. 또한 비닐하우스 보다 노지에서 재배한 시료에서 terpene 화합물이 더 많이 확인 보고되었다(Chung MS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ung MS. 2010. Volatile compounds of the cultivated dumebuchu (Allium senescens L. var. senescens) Food Sci Biotechnol 19(6):1679-1682 

  2. Chung MS, Lee MS. 2001.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e of Allium senescens. Korean J Soc Food Sci 17:60-64 

  3. van den Dool H, Kratz PD. 1963. A generalisation of the retention index system including linear temperature programmed gas-liquid partition chromatography. J Chromatogr 11:463-471 

  4. Fritsch RM, Keusgen M. 2006. Occurrence and taxonomic significance of cysteine sulphoxides in the genus Allium L. (Alliaceae). Phytochemistry 67:1127-1135 

  5. Gomez-Estaca J, Lopez de Lacey A, Lopez-Caballero ME, Gomez-Guillen MC, Montero P. 2010. Biodegradable gelatin-chitosan films incorporated with essential oils as antimicrobial agents for fish preservation. Food Microbiol 27:889-896 

  6. Han BJ, Yang SY, Kim JH, Shim SL, Gyawali R, Lee SJ, Kim KS. 2005.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leek(Allium tuberosum 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13-518 

  7. Kataoka H, Load HL, Pawliszyn J. 2000. Application of solid-phase microextraction in food analysis. J Chromatogr A 35-62 

  8. Keusgen M, Schulz H, Glodek J, Krest I, Kruger H, Herchert N, Keller J. 2002. Characterization of some Allium hybrids by aroma precursors, aroma profiles, and alliinase activity. J Agr Food Chem 50:2884-2890 

  9. Kondjoyan N, Berdague JL. 1996. A compilation of relative retention indices for the analysis of aromatic compounds. Laboratoire Flaveur, Station de recherches sur la Viande. Clermont-Ferrand, France. pp 14-138 

  10. Korea National Arboretum. 1997. Illustrate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Seoul, Korea. p 37 

  11. Lancaster JE, Kelly KE. 1983.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alk(en)yl-L-cysteine sulfoxides in onion (Allium cepa L.). J Sci Food Agr 34:1229-1235 

  12. Lanzotti V. 2006. The analysis of onion and garlic. J Chromatogr A 1112:3-22 

  13. Lee MS, Chung MS. 2001.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Korean J Soc Food Sci 17:55-59 

  14. Manabe T, Hasumi A, Sugiyama M, Yamazaki M, Saito K. 1998. Alliinase [S-alk(en)yl-L-cysteine sulfoxide lyase] from Allium tuberosum (Chinese chive) purification, localization, cDNA cloning and heterologous functional expression. Eur J Biochem 257:212-230 

  15. Mann RS, Rouseff RL, Smoot JM, Castle WS, Stelinski LL. 2011. Sulfur volatiles from Allium spp. affect Asian citrus psyllid, Diaphorina citri Kuwayama (Hemiptera: Psyllidae), response to citrus volatiles. Bull Entomol Res 101:89-97 

  16. Park ER, Jo JO, Kim SM, Lee MY, Kim KS.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 of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63-567 

  17. Pino JA, Fuentes V, Correa MT. 2001. Volatile constituents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osum Rottl. ex Sprengel) and rakkyo (Allium chinense G. Don). J Agr Food Chem 49:1328-1330 

  18. Steffen A.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Steffen Arctander, Montclair, NJ, USA. p 94 

  19. The good scents company. 2011. Information listings: Flavor ingredient, odor index. Available from: http://www.thegoodscentscompany.com/. Accessed October 26, 2011 

  20. Yoo KS, Pike LM. 1998. Determination of flavor precursor compound S-alk(en)yl-L-cysteine sulfoxides by an HPLC method and their distribution in Allium species. Scientia Horticulturae 75:1-10 

  21. Yu TH. 1997. Contribution of nonvolatile sulfur-containing flavor precursors of the genus Allium to the flavor of thermally processed Allium vegetables. pp 53-64. In: Spices: Flavor Chemist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Risch SJ, Ho CT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