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및 지질축적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enescens L. Methano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4, 2014년, pp.498 - 504  

최혜영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Allium속 식물의 하나인 두메부추(ASL)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ASL 메탄올 추출물 $100-2,000{\mu}g/mL$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SL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10-100{\mu}g/mL$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지방세포 내 ROS 관련 효소와 분화관련 전사인자의 조절로 인한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분화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10, 50 및 $100{\mu}g/m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ASL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ROS 생성량과 ROS 관련 효소인 G6PDH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ASL 메탄올 추출물 처리로 인하여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SREBP1c, $PPAR{\gamma}$$C/EBP{\alpha}$ mRNA 발현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ASL 메탄올 추출물로 인한 ROS 생성 저해와 지질축적 억제는 ROS 생성 및 ROS 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로 인한 지방 생성 주요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ASL이 항비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ium senescens L. is perennial plant of the Liliaceae family that grows throughout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llium senescens L. methano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gene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1,1-diph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는 Allium속 식물의 생리적 유용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16), 항혈전 활성(17), 항미생물 활성(18,19) 및 항염증 효과(20)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었으나, 비만 및 당뇨병을 비롯한 만성질환 예방과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 세포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Allium속에 속하는 두메부추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SL 메탄올 추출물이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REBP1c, PPARγ 및 C/EBPα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Allium속 식물의 하나인 두메부추(ASL)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ASL 메탄올 추출물 100-2,000 µg/mL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PPH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SL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10-100 µg/mL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SL 메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한 3T3-L1 지방세포 내 ROS 생성량 감소와 지질 축적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방세포 형성(adipogenesis) 과정에서 ASL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 내 ROS 관련 유전자 발현의 감소는 ROS 생성을 저해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원인이 되는 질병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서구화, 내분비 장애, 유전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비만이 심각한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1). 비만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지방세포의 비대(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으로 초래되며,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제 2형 당뇨병, 고지혈증 및 암 등과 같은 다양한 성인병의 원인으로 밝혀졌다(2,3). 최근 연구에 의하면 에너지 소비 증가, 식이 조절 요법,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억제, 지방세포 형성(adipogenesis) 억제, 지방분해 등의 기전이 대사성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비만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다(4).
지방세포 형성 과정 중 활성산소종이 발생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지방세포 형성(adipogenesis)에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7,8). 지방세포는 분화 과정에서 세포 내로 유입되는 포도당을 저장하기 위하여 지방합성과 연관된 에너지대사 경로를 거치게 된다. 이들 대사 경로 중 hexose monophosphate (HMP) shunt는 G6PDH에 의하여 지방 합성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NADPH는 NADPH Oxidase (NOX)에 의하여 NADP+로 전환되며, 이 때 세포 내 superoxide와 같은 ROS가 발생한다(9). 체내 각종 세포에서 여러 대사과정으로 인하여 끊임없이 생성되는 ROS는 항산화 효소와의 항상성이 깨지면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 당뇨, 비만과 같은 각종 질병들을 야기하게 된다(10).
비만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서구화, 내분비 장애, 유전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비만이 심각한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1). 비만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지방세포의 비대(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으로 초래되며,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제 2형 당뇨병, 고지혈증 및 암 등과 같은 다양한 성인병의 원인으로 밝혀졌다(2,3). 최근 연구에 의하면 에너지 소비 증가, 식이 조절 요법,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억제, 지방세포 형성(adipogenesis) 억제, 지방분해 등의 기전이 대사성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비만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Visscher TLS, Seidell JC. The public health impact of obesity. Annu. Rev. Publ. Health 22: 355-375 (2001) 

  2. Spiegelman BM, Flier JS.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2001) 

  3. Rosen ED, Walkey CJ, Puigserver P, Spiegelman BM.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 Dev. 14: 1293-1307 (2000) 

  4. Wang YW, Jones PJH.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obesity control: efficacy and mechanisms. Int. J. Obesity 28: 941-955 (2004) 

  5. Morrison RF, Farmer SR.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2000) 

  6. Ntambi JM, Kim YC.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S-3126S (2000) 

  7. Lee OH, Seo MJ, Choi HS, Lee BY. Pycnogenol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ith the mod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ssociated with antioxidant enzyme responses. Phytother. Res. 26: 403-411 (2012) 

  8. Seo MJ, Choi HS, Lee OH, Lee BY. Grateloupia lanceolata (Okamura) Kawaguchi, the edible red seaweed, inhibits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Phytother. Res. 27: 655-663 (2013) 

  9. Lee OH, Kwon YI, Hong HD, Park CS, Lee BY, Kim YC.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70-75 (2009) 

  10. Halliwell B.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50 (1996) 

  11. Yamashita A, Soga Y, Iwamoto Y, Asano T, Li Y, Abiko Y, Nishimura F. DNA microarray analyses of genes expressed differentially in 3T3-L1 adipocytes co-cultured with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in the presence of the toll-like receptor 4 ligand bacterial endotoxin. Int. J. Obesity 32: 1725-1729 (2008) 

  12. Steiner RP. Folk Medicine: The Art and the Science.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125-137 (1986) 

  13. Scharfenberg K, Wagner R, Wagner KG. The cytotoxic effect of ajoene, a natural product from garlic, investigated with different cell lines. Cancer Lett. 53: 103-108 (1990) 

  14. Korea National Arboretum. Illustrate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Seoul, Korea. p. 37 (1997) 

  15. Kim TJ. Korea Plants V.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50 (1998) 

  16. Hopia A, Heinonen M.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l aglycones and their glycosides in methyl linoleate. J. Am. Oil Chem. Soc. 76: 139-144 (1999) 

  17. Kim MJ, Song YS, Song YO.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in vivo and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33-638 (1998) 

  18. Kim OM, Kim MK, Lee SO, Kee KR, Kim SD.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pic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55-460 (1998) 

  19. Kim SJ, Park KH.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vegetable kimchi stuff.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16-229 (1995) 

  20. Kim HP, Mani I, Iversen L, Ziboh VA. Effects of naturally-occurring flavonoids and biflavonoids on epidermal cyclooxygenase and lipoxygenase from guinea-pigs.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 Acids 58: 17-24 (1998) 

  21.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Moon KD.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2002) 

  22. Jeong EJ, Sung SH, Kim JW, Kim SH, Kim YC. Rhus verniciflua stokes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Nat. Prod. Sci. 14: 156-160 (2008) 

  23. Kwon GJ, Choi DS, Wang MH.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no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2007) 

  24. Cho JY, Park YJ, Oh DM, Rhyu DY, Kim YS, Chon SU, Kang SS, Heo BG. Amino acid content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llium victorialis. Korean J. Plant Res. 24: 150-159 (2011) 

  25. Yang YR, Park YK.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onion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954-960 (2011) 

  26. Nugroho A, Kim MH, Lee JH, Kim JD, Lee KR, Choi JS, Yoo YM, Park HJ. Polyphenol analysi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extracts from eight Korean mountainous vegetable. Kor. J. Pharmacogn. 42: 38-45 (2011) 

  27. Nugroho A, Kim KH, Lee KR, Alam MB, Choi JS, Kim WB, Park HJ.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caffeoylquinic acids on the Korean mountainous vegetables used for chwinamul and their peroxynitrite-scavenging effect. Arch. Pharm. Res. 32: 1361-1367 (2009) 

  28. Lee BI, Nugroho A, Bachri MS, Choi J, Lee KR, Choi JS, Kim WB, Lee KT, PLee JD, Park HJ. Anti-ulcerogenic effect of the caffeoylquinic acid-rich extract from Ligularia stenocephala and HPLC analysis. Biol. Pharm. Bull. 33: 493-497 (2010) 

  29. Nugroho A, Bachri MS, Choi J, Choi JS, Kim WB, Lee BI, Kim JD, Park HJ.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caffeoylquinic acid-rich extract of Ligularia stenocephala leaves on obesity in the high fat diet-induced rat. Nat. Prod. Sci. 16: 80-87 (2010) 

  30. Lee H, Lee YJ, Choi H, Ko EH, Kim JW. Reactive oxygen species facilit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ccelerating mitotic clonal expansion. J. Biol. Chem. 284: 10601-10609 (2009) 

  31. Lee KS, Kim MG, Lee KY.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68-1272 (2004) 

  32.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 1752-1761 (2004) 

  33. Park J, Choe SS, Choi AH, Kim KH, Yoon MJ, Suganami T, Ogawa Y, Kim JB. Increase in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in adipocytes stimulates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signals. Diabetes 55: 2939-2949 (2006) 

  34. Yoon BR, Lee YJ, Kim SG, Jang JY, Lee HK, Rhee SK, Hong HD, Choi HS, Lee BY, Lee OH.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s. Korean J. Food Preserv. 19: 443-450 (2012) 

  35. Mouche S, Mkaddem SB, Wang W, Katic M, Tseng YH, Carnesecchi S, Steger K, Foti M, Meier CA, Muzzin P, Kahn CR, Ogier-Denis E, Szanto I. Reduced expression of the NADPH oxidase NOX4 is a hallmark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iochim. Biophys. Acta. 1773: 1015-1027 (2007) 

  36. Hecker PA, Leopold JA, Gupte SA, Recchia FA, Stanley WC. Impact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on the pathophysiology of cardiovascular disease.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304: H491-500 (2013) 

  37. Labreuche J, Touboul PJ, Amarenco P. Plasma triglyceride levels and risk of stroke and carotid athero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studies. Atherosclerosis 203: 331-345 (2009) 

  38. Cowherd RM, Lyle RE, McGehee RE Jr.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Semin. Cell. Dev. Biol. 10: 3-10 (1999) 

  39. Rosen ED, MacDougald OA.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 7: 885-896 (2006) 

  40. Park MJ. Recent advances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obesity. Korean J. Pediatr. 48: 126-137 (2005) 

  41. Hauser S, Adelmant G, Sarraf P, Wright HM, Mueller E, Spiegelman BM. Degradation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s linked to ligand-dependent activation. J. Biol. Chem. 275: 18527-18533 (2000) 

  42.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