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중학생들의 식중독 예방의도에 따른 식품안전 인식 및 태도 차이
Differences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Based on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2, 2012년, pp.149 - 158  

윤은주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food safety between those who possess high behavioral intentions to prevent contracting a foodborne illness and those who do not. The survey collected 871 usable data from sev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식품안전 및 위생 특히 식중독을 예방하려는 실천의도는 식품안전 및 위생 교육을 하는 주요한 목표로써 심도 있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급식 대상자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식중독 예방 의도에 따른 식품 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 식중독 예방 행동에 대한 태도와 식품으로 인한 위험 인식도, 식품 안전 위협 요인에 식품위생 교육 이수 등의 차이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식중독 예방 의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식중독 예방 의도가 보통인 집단과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의 식품 위생 및 안전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중학생들의 식중독 예방 의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식중독 예방의도가 높은 집단과 보통인 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간의 식품 위생 및 안전에 대한 태도와 인식, 식중독 예방행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들이 식품안전에 대한 불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근거는? 국민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수준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6.8%가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불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YS 2009). 주부를 대상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식품구입 시 식품안전에 대해 늘 불안해하고 있었고, 정부가 수입농축산물 안전에 대한 정보를 잘 알려주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선진국에서 수입된 식품도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Lee JY와 Kim KD 2009).
식품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식품 안전 위험으로부터 예방하고자 하는 실천의도를 향상시켜야 하는 이유는? 식품안전 및 위생에 대한 잘못된 상식은 올바르지 못한 식품구매 및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식품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 안전 위험으로부터 예방하고자 하는 실천 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식품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따라서 식품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 안전 위험으로부터 예방하고자 하는 실천 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식품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우선 식품 소비자들이 식품위생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무엇을 잘못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나아가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를 수행하여야 한다(Bahk GJ 등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tekruse SF, Street DA, Fein SB, Levy AS. 1995. Consumer knowledge of foodborne microbial hazards and food-handling practices. J Food Prot 59:287-294 

  2. Angelillo IF, Foresta MR, Scozzafava C, Pavia M. 2001. Consumers and foodborne diseases: knowledge, attitudes and reported behavior in one region of Italy. Int J Food Microbiol 64:161-166 

  3. Bahk G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200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ood Hyg Safety 18(3): 139-145 

  4. Bahk GJ, Kim YC, Lee HS, Rho MJ, Cho YH, Lee YH, Lee KM, Rho WS, Yang JH, Kim JS, Lee SP. 1999. A study on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issues in Korea. J Food Hyg Safety 14:34-44 

  5. Cho YM. 2007. Public information for customer's recognition about food poisoning in home. Green consumer network. 

  6. Choe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66-74 

  7. Chung JK, Kim MJ, Kee HY, Choi MH, Seo JJ, Kim SH, Park JT, Kim MG, Kim E. 2008.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 Food Hyg Safety 23(1):40-50 

  8. Fein SB, Jordan Lin CT, Levy AS. 1995. Foodborne illness: perceptions, experience, and preventive behavior in the United States. J Food Prot 58:1405-1411 

  9. Garayoa R, Cordoba M, Garcia-Jalon I, Sanshez-Villegas A, Vitas AI. 2005.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food safety knowledge and reported behavior among students from health sciences in one region of Spain. J Food Prot 68:2631-2636 

  10. Haapala I, Probart C. 2004. Food safety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 Nutr Educ Behav 36:71-76. 

  11. Han WG,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4): 23-24. 

  12. Hair JA,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3. Higbee KL. 1969. Fifteen years of fear arousal: Research on threat appraisals: 1953-1968. Psychological Bulletin 72:426-444 

  14. Janis IL. 1967. Effects of fear arousal on attitude change: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 3. pp 166-225.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Berkowitz L(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15. Jin HJ. 2006. S. Korean consumers' response in meat demand to public information regarding BSE outbreaks. Safe Food 1:39-45 

  16. Kennedy J, Jackson V, Blairm IS, McDowell DA, Cowan C, Bolton DJ. 2005. Food safety knowledge of consumers and the microbiological and temperature status of their refrigerators. J Food Prot 68:1421-1430 

  17. Kim BR. 2007. A study on perceptions toward food safe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area. J Korean Home Econ Educ 19(3):119-131. 

  18. Kim HC, Kim MR. 2003.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food hygiene (2): Focused on foodborne illness. Korean J Human Ecology 41(10): 117-128. 

  19. Kim EJ, Kim HJ, Kim MR. 2009. Analysis on attitude and education need for food safe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ungbuk province. Korean J Human Ecol 18:1323-1336 

  20. Kim JH, Yoo TY. 2008.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food safe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ulinary Res 14:249-261 

  21. Kim JM, Koo NS. 2011. Comparison of food hygien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major and nonmajor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6(4): 323-330 

  22. Kim MR, Kim HC. 2005. Evaluation of knowledge and behaviors towards food safety and hygiene of children. J Korean Assoc Human Ecol 14(5): 871-881 

  23. Kim YS. 2009. A survey on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Safe Food 4:19-23 

  24. Klontz KC, Timbo B, Fein S, Levy A. 1995. Prevalence of selected food consump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of food-borne disease. J Food Prot 58:927-930 

  25. Knight PG, Jackson JC, Bain B, Eldemire-Shearer D. 2003. Household food safety awareness of selected urban consumers in Jamaica. Int J Food Sci Nutr 54:309-320 

  26. Ko HS, Kim SK, Kim DK, Kim BJ. 2005. Importance perception on the sanitation and cleanliness of family restaurant employe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55-162 

  27. Lee JH. 2006.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sanitation in restaurants by consumers. Kosin J Health Sci. 16: 21-29 

  28. Lee JY, Kim KD.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Preserv 16:999-1007 

  29. Leventhal H. 1970. Findings and theory in the study of fear communications. Vol 5. pp 119-186.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Berkowitz L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30. Park HJ, Bae HJ. 2006.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940-944 

  31. Pak JY. Choi EH, Choi JH, Shim SK, Park HS, Park KH, Moon HK, Ryu K. 2009.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s and practices. J Food Hyg Safety 24(1):1-11 

  32. Rogers RW. 1983. Cognitive and physiological processes in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A revised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 pp 153-176. In: Social psychophysiology: A sourcebook. Cacioppo BL, Petty LL (eds). Guilford. London, UK 

  33. Roseman M, Kurzynske J. 2006. Food safety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Kentucky consumers. J Food Prot 69:1412-1421 

  34. Wilcock A, Pun M, Khanona J, Aung M. 2004. Consumer attitude knowledge and behavior: a review of food safety issues. Trends Food Sci Technol 15:56-66 

  35. Witte K. 1992.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Commun Monogr 59(4):329-349 

  36. Witte K, Berkowitz JM, Cameron KA, McKeon JK. 1998. Preventing the spread of genital warts: Using fear appeals to promote self-protective behaviors. Health Educ Behav 25:571-5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