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불안과 부담감의 예측 요인: 자기효능과 돌봄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Sources of Anxiety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Car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1, 2012년, pp.1 - 10  

김인자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mong the sources of anxiety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care. Methods: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One hundred and thirteen subjects were included. They were anticipat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가족을 대상으로 주간호제공자가 될 것이라고 판단하는 가족의 불안과 부담감이 뇌졸중 환자 간호에 대한 자기효능이나 돌봄에 대한 지식과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 간호제공자들에게 시행하는 간호교육의 의의를 증명할 수 있어 근거중심 간호학의 지식체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이는 가족의 돌봄에 대한 지식이나 자기효능이 증진되면 불안이나 부담감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행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경험적 증거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 가족의 돌봄에 대한 지식이나 자기효능이 불안이나 부담감과 관계가 있는 지를 규명하여 간호중재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간호제공자의 불안을 설명하는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부담감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실제 뇌졸중 환자 간호를 경험하지 않은 가족들에서는 자기효능이나 지식이 부담감보다는 불안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가족 중 한 사람이 처음으로 뇌졸중 진단을 받고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해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설문지를 활용하여 가족의 자기효능감과 돌봄에 대한 지식이 불안과 부담감과 관계가 있는지 규명한 횡단적 설명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간호제공자의 불안과 부담감의 원인을 탐색하여 접근하는것이 가족 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들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뇌졸중 생존자들의 주 간호제공자는 아직도 가족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가족 내 뇌졸중 환자의 발생은 가족들에게 커다란 불안과 부담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는 가족중심적인 우리나라에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Kwon et al., 2009). 가족들의 불안과 부담감은 가족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쳐 간호를 하는 가족 당사자들의 삶의 질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예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Suh et al., 2005).
가족 간호제공자의 불안과 부담감에 대한 환자 관련 요인은 무엇인가? 그런데 지금까지 이루어진 가족 간호제공자의 불안과 부담감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불안과 부담감은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환자 관련 요인으로는 진단명, 뇌졸중 정도, 재발 여부, 인지장애 정도, 의사소통장애, 우울 등이 보고되었다(Scazufca, Menezes, & Almeida, 2002). 가족 간호제공자의 관련요인으로는 성별(Wilz & Kalytta, 2008), 사회적 지지 여부(Chang, Brecht, & Carter, 2001)와 자신감(Molloy et al.
뇌졸중의 경우 자기간호 활동부터 다른 사람의 돌봄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발병 후 생존가능성이 증가하여 뇌졸중 생존자들에 대한 치료와 간호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뇌졸중은 다른 질환과 달리 치료 후 대상자가 생존하더라도 사지마비, 의사소통 장애, 인지장애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활동인 자기간호 활동부터 다른 사람의 돌봄이 필수적이다(Suh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g, B. L., Brecht, M. L., & Carter, P. A. (2001). Predictors of social support and caregiver outcomes. Women Health, 33 (1-2), 39-61. 

  2. Choi-Kwon, S., Mitchell, P. H., Veith, R., Teri, L., Buzaitis, A., Cain, K. C., et al. (2009). Comparing perceived burden for Korean and American informal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Rehabilitation Nursing, 34 (4), 141-150. 

  3. Courts, N. F. (2000). Psychosocial adjustment of patients on home hemodialysis and their dialysis partners. Clinical Nursing Research, 9 (2), 177-190. 

  4. Dunn, L. B., Aouizerat, B. E., Cooper, B. A., Dodd, M., Lee, K., West, C., et al. (2011). Trajectories of anxiety in oncolog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during and after radiation therap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6 (1) 1-9. 

  5. Gallagher, D., Ni Mhaolain, A., Crosby, L., Ryan, D., Lacey, L., Coen, R. F., et al. (2011). Self-efficacy for managing dementia may protect against burden and depression in Alzheimer's caregivers. Aging and Mental Health, 15 (6), 663-670. 

  6. Gao, L. L., Ip, W. W., & Sun, K. (2011). Validation of the short form of the Chinese childbirth self-efficacy inventory in Mainland China.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4 (1), 49-59. 

  7. Han, K. S., Kang, E. S., Kim, H. O., Yang, M. H., & Kim, S. Y. (2004). Effect of a family education program on the family burden of the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y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 (1), 43-50. 

  8. Hoffmann, T., Worrall, L., Eames, S., & Ryan, A. (2010). Measuring outcomes in people who had a stroke and their carers: Can the telephoe be used?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7 (2), 119-127. 

  9. Kalra, L., Evans, A., Perez, I., Melbourn, A., Patel, A., Knapp, M., et al. (2004). Training carers of stroke patient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28 (7448), 1099. http://www.bmj.com/content/328/7448/1099 

  10. Kim, J. T. (1978).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social tendency: Focused on Spielberger's STAI.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 Kim, D. H. (1998). A study on the health state and burden of the chronic patient's family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2. Lee, Y. S. (1993). The family burden of chronically ill patients at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Lee, H. S., Kim, D. K., & Kim, J. H. (2006). Stress in caregivers of demented people in Korea: A modification of Pearlin and colleagues' stress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 (8), 784-791. 

  14. Macdonald, P., Murray, J., Goddard, E., & Treasure, J. (2011). Carer's experi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a skills based training programme for families of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A qualitative study. European Eating Disorder Review, 19 (6), 475-486. 

  15. Molloy, G. J., Johnston, M., Johnston, D. W., Pollard, B., Morrison, V., Bonetti, D., et al. (2008). Spousal caregiver confidence and recovery from ambulatory activity limitations in stroke survivors. Health Psychology, 27 (2), 286-290. 

  16. Montgomery, R. J., Gonyea, J., & Hooyman, N.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34 , 19-26. 

  17. Oeu, Y. S. (1997).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of the stroke patients'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 (4), 617-630. 

  19. Paukert, A. L., Pettit, J. W., Kunik, M. E., Wilson, N., Novy, D. M., Rhoades, H. M., et al. (2010). The role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physical health's impact on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older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Medicine Settings, 17 (4), 387-400. 

  20. Rigby, H., Gubitz, G., Eskes, G., Reidy, Y., Christian, C., Grover, V., et al. (2009). Caring for stroke survivors: Baseline and 1-year determinants of caregiver burden.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4 (3), 152-158. 

  21. Romero-Moreno, R., Losada, A., Mausbach, B. T., Marquez-Gonzalez, M., Patterson, T. L., & Lopez, J. (2011).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domains in different points of the dementia caregiving process. Aging and Mental Health, 15 (2), 221-231. 

  22. Scazufca, M., Menezes, P. R., & Almeida, O. P. (2002). Caregiver burden in an elderly population with depression in Sao Paulo, Brazil.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7 (9), 416-422. 

  23.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2), 663-671. 

  24. Smith, J., Forster, A., & Young, J. (2004). A randomized trial to evaluate an education programme for patients and carers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8 (7), 726-736. 

  25. Spielberger, C., Gorsuch, R., & Lushene, R. (1970).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6. Suh, M., Kim, K., Kim, I., Cho, N., Choi, H., & Noh, S. (2005). Caregiver's burden, depression and support as predi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 , 611-618. 

  27. Van Den Wijngaart, M. A., Vernooij-Dassen, M. J., & Felling, A. J. (2007). The influence of stressors, appraisal and personal conditions on the burden of spousal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Aging and Mental Health, 11 (6), 626-636. 

  28. Vincent, C., Desrosiers, J., Landreville, P., & Demers, L. (2009). Burden of caregivers of people with stroke: Evolution and predictors. Cerebrovascular Disease, 27 (5), 456-464. 

  29. Williams, V. P., Bishop-Fitzpatrick, L., Lane, J. D., Gwyther, L. P., Ballard, E. L., Vendittelli, A. P., et al. (2010). Video-based coping skills to reduce health risk and impro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in Alzheimer's disease family caregivers. Psychosomatic Medicine, 72 (9), 897-904. 

  30. Wilz, G., & Kalytta, T. (2008). Anxiety symptoms in spouses of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 25 (4), 311-315. 

  31. Yip, Y. B., Sit, J. W., Fung, K. K., Wong, D. Y., Chong, S. Y., Chung, L. H., et al. (2007). Effects of a self-management arthritis programme with an added exercise component for osteoarthritic kne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 (1), 20-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