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상태희망
Spirituality and State Hope of Medical Soci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5 no.2, 2012년, pp.88 - 98  

김창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의료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상태 희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영성 및 상태희망을 증진시키는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11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내 의료사회복지사 102명을 대상으로, 상태희망척도(State Hope Scale)와 한국형 영성척도(Spirituality Scale)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자료분석SPSS WIN ver.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effee's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영성수준은 종교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상태희망의 평균점수는 6.36/8.00, 영성수준은 3.80/5.00이었다. 영성은 상태희망과 유의미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상태희망의 하위영역(경로사고, 주도사고)과 영성의 하위영역(삶의 의미와 목적, 자비심, 내적자원, 자각, 연결성, 초월성)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의료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상태희망 간에는 유의미한 순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성이 상태희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적 감수성 지향의 사회사업 접근을 위한 더 많은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state hope of medical social workers in Korea and their correlation was studied to provide data in developing effective spiritual and hope intervention for medial social workers. Methods: The study surveyed 102 me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상태희망척도와 한국인을 위해 개발된 영성척도를 사용하여, 국내 의료사회복지사들의 영성과 희망의 수준을 파악하여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자신들의 영성 및 희망을 알아차리고, 어떻게 자기 자신이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상태희망의 정도를 파악하고, 영성이 상태희망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여,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상태희망의 증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사회복지사들의 영성과 상태희망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영적 감수성 지향의 사회사업 접근을 통한 임상사회사업 실천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상태희망의 증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 라 종교인구 분포는 어떠한가? 「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 라 종교인구 분포는 불교 43.0%,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원불교 0.5%의 순이고, 종교가 있는 사람이 53.1%로 밝혀졌다(2). 따라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 에 대한 영적 서비스가 원목자(종교인)에 의해 53.
상태희망척도의 구성은 무엇으로 되어있는가? 이 척도는 경로사고(pathway thinking)와 주도사고(agency thinking)의 두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로사고는 바라는 목표에 이르는 방법을 찾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언어인 동시에, 방해물을 만났을 때 대안적인 방법을 생성해 낼 수 있다는 개인의 지각을 의미한다. 주도 사고는 희망이론의 동기적 속성을 지니는 구성요소로, 희망이 높은 사람은 주도적인 자기언어를 사용하고, 난관에 부딪혔을 때 적절한 대안 경로를 만들어내려는 동기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영성과 종교의 차이를 사회복지학자들은 어떻게 구별하는가? 사회복지학자들은 영성과 종교의 차이를 '영성이란 인간다움이 나타내는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국면 및 특성들로서 삶의 의미와 목적의 감정, 그리고 자아, 타인 들 그리고 신 또는 초월자와 관계하기 위한 도덕적인 개념구조를 추구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영성은 종교적 형식을 통해서 표현될 수 있고, 종교로 부터 독립해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교는 영적 관심을 지향하며, 지역사회에 의해 공유될 수 있고, 시 간의 경과에 따라 전파될 수 있는 특정의 신념, 믿음, 행동 그리고 체험의 제도화된 유형을 의미한다.'고 구별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yung MH, Jang YM, Han KH, Yun YH.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based o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survey. J Koreaan Hosp Palliat Care 2010;13:143-52.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social indicators in Korea. Daejeon: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6. 

  3. Zastrow C. The practice of social work: a comprehensive worktext. 8th ed. Belmont, CA:Thomson Higher Education;2007. p. 365-8. 

  4. Chochinov HM, Cann BJ. Intervention to enhence the spiritual aspects of dying. J Palliat Med 2005;8 Suppl 1:S103-15. 

  5. Kim SN. Spirituality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metropolitan citi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143-53. 

  6. Cander ER, Furman LD. Spiritual diversity in social work practice: the heart of helping. New York:Free Press;1999. 

  7. Kim JS, Ahn SS, Han SY.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spirit. Korean J Psychol Soc Issues 2009;15:207-26. 

  8. Kang EH, Park JE, Chae JH, Park YM, Choi SW. The biology of positive psychology. J Str Res 2008;16:281-5. 

  9.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 Korean Acad Nurs 2000;30:1145-55. 

  10. Cho HI.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spirituality for social work practice. J Soc Work Pract 2005;5:5-20. 

  11. Lowry LW, Conco D. Exploring the meaning of spirituality with aging adults in Appalachia. J Holist Nurs 2002;20:388-402. 

  12. Cassidy JP. Davies DJ. Cultural and spiritual aspects of palliative medicine. In: Doyle D, Hanks GW, Cherny N, Calman K, eds.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medicine.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04. p. 954. 

  13. Snyder CR. The past and possible future of hope. J Soc Clin Psychol 2000;19:11-28. 

  14.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standards for palliative & end of life care. Washington, DC:The Association;2004. 

  15.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3;15:711-28. 

  16. Snyder CR, Sympson SC, Ybasco FC, Borders TF, Babyak MA, Higgins RL. D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te Hope Scale. J Pers Soc Psychol 1996;70:321-35. 

  17. Kang Y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unselling process hope scales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 2002. Korean. 

  18. Kim TH. The effects of hope and meaning of life on adolescent's resilience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 2004. Korean. 

  19. Banks R. Health and the spiritual dimension: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J Sch Health 1980;50:195-202. 

  20. Park JI. The model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dissertation]. Seoul:Seoul Christian Univ.; 2008. Korean. 

  21. Kim YS. The Korean social workers' burn-out factors and personal traits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161-8. 

  22. Lee KY.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improvement training program.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6;18:779-800. 

  23. Yoon MO.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72-9. 

  24. Choi JY. The effect of psychodrama program on Juvenile Delinquents' depression, empathy, and hope [dissertation]. Seoul:Duksung Women's Univ.; 2009. Korean. 

  25. Snyder CR, LaPointe AB, Crowson Jr JJ, Early S. Preferences of high-and low-hope people for self-referential input. Cogn Emot 1998;12:807-23. 

  26. Davis B.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well-being in older adults. Clin Nurs Res 2005;14:253-72. 

  27. Kim DS. Meta-analysis for the relationships of existential and religious well-being as the sub-concepts of spiritual well-being to hope. Chungnam J Nurs Acad 2003;6:12-8. 

  28. Cho WH.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astoral Care & Theol 2010;34:121-48. 

  29. Kim JN.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4;18:342-57. 

  30. Jung SH. A study o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influenced by spiritual well-being. J Church Soc Work 2009;11:39-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