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 및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 - 장기요양 입소 시설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f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of Elderl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Rights to End-of-Life Care Decisions and of Their Own Roles in the Proces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1, 2015년, pp.42 - 50  

한수연 (남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입소시설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임종의료결정 권리, 사회복지사의 역할 이해도를 분석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 334부 중 분석에 포함하기 어려운 37부를 제외한 297부를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사회복지사가 이해하는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 이해도는 5점 만점에 $3.46{\pm}0.69$,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는 $3.48{\pm}0.84$이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연명치료 결정 도움 경험, 임종의료결정 도움 업무, 근무 경력, 침상 수 등에 따라 임종의료 결정 권리 및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에 의미 있는 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임종의료결정 권리와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와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수준에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earson r=0.329, P<0.001). 결론: 장기요양 입소시설에서 노인환자와 가족에게 사전의료의향서 및 연명치료 결정 도움을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how social workers understand the rights for elderly patient and family caregiver to make end-of-life (EOL) care decisions and their role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f collecting data from a 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와 같은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미국의 의료보험법에 근거하여 현재 장기요양 입소 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 이해도와 임종의료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를 측정하고, 개인 변수들에 따른 각 이해도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임종의료 결정권리 이해도와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와의 상호 관계성을 분석하여 변수 간의 관련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는 임종의료 관련 법률이 입법화되지 못하고 있어서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가? 특히 사회복지사는 임종의료결정 과정에서 노인환자와 가족에게 정서적 지원이나 상담을 제공하고,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정보 및 연명의료 결정 절차 등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임종의료 관련 법률이 입법화되지 못하고 있어서 의료 현장이나 장기요양 입소시설에서 노인환자나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는 물론 임종의료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의료 관계자의 역할에 대한 기준이나 규정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다(8).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101-508, PSDA)에서는 모든 의료시설에서 노인환자 및 가족의 임종의료결정에 참여하여 도움을 제공하는 의사,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정기적으로 이들의 업무 수행을 지도 및 감독하고 있다(7). 특히 사회복지사는 임종의료결정 과정에서 노인환자와 가족에게 정서적 지원이나 상담을 제공하고,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정보 및 연명의료 결정 절차 등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임종의료 관련 법률이 입법화되지 못하고 있어서 의료 현장이나 장기요양 입소시설에서 노인환자나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는 물론 임종의료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의료 관계자의 역할에 대한 기준이나 규정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다(8).
장기요양서비스 시설 및 수용의 증가가 예상되는 이유는? 장기요양 입소시설은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의료복지시설”(9)로 응급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노인환자 들을 의료시설로 연계하는 과정에서 임종의료결정이 자주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말기 만성질환, 말기 알츠하이머병 및 말기 치매 진단으로 노인환자가 스스로 연명의료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일반 노인환자에 비해 임종의료결정 권리 침해를 더 쉽게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시설 및 수용의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에 참여하여 도움을 주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의 역할에 대한 기준이나 규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ee SS, Kim IK, Choi HJ. Population change and future strategies in China, Japan and Korea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cited 2014 Jun 14].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html/jsp/share/download_publication.jsp? 

  2. 2013 Annual Report of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Internet]. Seoul: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Bioethics Policy; c2013 [cited 2014 Jun 14]. Available from: http://bprlib.kr/CORE/?moduleName_core.LasSearchDetail&control_no5452. 

  3. Heo DS. Life sustaining medical treatment for terminal patient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3;28:1-3. 

  4. Han SY, Lee HJ. A discussion on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decision making for life sustaining treatments. GRI Review 2013;15:71-91. 

  5. Sabatino CP. The evolution of health care advance planning law and policy. Milbank Q 2010;88:211-39. 

  6. Bomba PA. Morrissey MB, Leven DC. Key role of social work i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process: Medical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OLST) Program in New York and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at the end of life.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11;7:56-82. 

  7. CMS Manual System [Internet]. Baltimore: Center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 c2013 [cited 2014 May 13]. Available from: http://www.cms.gov/Regulations-and-Guidance/Guidance/Transmittals/downloads/R75SOMA.pdf. 

  8. law.go.kr [Internet]. Sejo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2014 [cited 2014 Aug 2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5%AD%EB%AF%BC%EA%B1%B4%EA%B0%95%EB%B3%B4%ED%97%98 %EB%B2%95#liBgcolor1. 

  9.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2010. Available from: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B0018/. 

  10. Choi HK. A study on roles and competencies of social work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Soc Sci Res Rev Kyungsung Univ 2013;29:225-48. 

  11. Statutes rules and rule proposals [Internet]. Trenton: New Jersey Department of Health; c2014 [cited 2014 Jul 2]. Available from: http://www.state.nj.us/health/healthfacilities/rules.shtml. 

  12. Advance directive for health care act [Internet]. Trenton: New Jersey Department of Health; c2011 [cited 2014 Jul 2]. Available from: hftp://www.njleg.state.nj.us/20042005/PL05/233_.PDF. 

  13. Advance directive for mental health care act [Internet]. Trenton: New Jersey Department of Health; c2005 [cited 2014 Jul 2]. Available from: http://www.state.nj.us/health/advancedirective/documents/njsa_26.2h.53.pdf. 

  14. Wikipedia.org [Internet]. San Francisco: Wikimedia Foundation Inc.; C2014 [cited 2014 Jul 10]. Available from: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D%95%B4. 

  15. Heyman JC, Gutheil IA. Social work involvement in end of life planning. J Gerontol Soc Work 2006;47:47-61. 

  16. Kane MN., Hamlin ER, Hawkins WE. Perceptions of preparedness to assist elders with end-of-life care preferences.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05;1:49-69. 

  17. Law for older American [Internet]. Chicago: American Bar Association; c2012 [cited 2014 Jul 24]. Available from: http://www.americanbar.org/groups/public_education/resources/law_issues_for_consumers/healthcare_directives.html. 

  18. Black K. Promoting advance care planning through the National Healthcare Decisions Day initiative.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10;6:11-26. 

  19. Kim DS, Park HS, Kim JA, Choi JH, Park MJ. A study on nurses, doctors and hospice volunteers's perception of the hospice care and advanced directives abou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Global Health Nurs 2012;2:82-93. 

  20. Park JW, Song JA. Knowledge, experience and preference on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 and facility dwelling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13;33:581-600. 

  21. Hong SW, Kim SM.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3;19:330-40. 

  22. Social Work Policy Institution. Hospice social work: linking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ashington, DC: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2010. 

  23. Taylor-Brown S, Sormanti M. End of life care. Health Soc Work 2004;29:3-5. 

  24. Black K. Health care professionals' death attitudes, experiences, and advance directive communication behavior. Death Stud 2007;31:563-72. 

  25. 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 [Internet] Huntingdon Valley, PA: Farlex, Inc; c2009 [cited 2014 Jul 24]. Available from: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Multisdisciplinary+ health+care+team. 

  26. Katz RS, Genevay B. Our patients, our families, ourselves: the impact of the professional's emotional responses on end-of-life care. Am Behav Sci 2002;46:327-39. 

  27. Kirkendall AM, Waldrop D, Moone RP. Car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ife-limiting illness: merging personcentered planning and patient-centered, family-focused care.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12;8:135-50. 

  28. Gurtheil IA, Heyman JC. Communication between older people and their health care agents: results of an intervention. Health Soc Work 2005;30:107-16. 

  29. McInnis-Dittrich K. Dying, bereavement and advance directive. In: Social work with elders: a biopsychosoci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2nd ed. Boston:Pearson;2005. p. 346-79. 

  30. Moon JY, Lee HY, Lim CM, Koh Y. Medical residents' perception and emotional stress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herapy. Korean J Crit Care Med 2012;27:16-23. 

  31. Kim SH, Son MS, Koh SO, Lee lh. Intensive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medically futile treatment: focus group interviews. Korean J Med Ethics 2012;15:370-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