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trategies of Korean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2, 2013년, pp.65 - 73  

이영숙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종설의 목적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어떤 활동을 전개했고 어떤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해야 할 미래전략 제시한다. 문헌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전개해 온 활동을 과거, 현재, 미래전략으로 나눠서 역할 및 자격 기준, 교육, 연구, 정책 활동의 네 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첫째,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고 자격기준이 미비하다. 사회복지사의 불명확한 역할과 미비한 자격기준은 전문성 발휘를 어렵게 한다. 미래 전략은 역할의 재정립과 인력 및 자격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에 있어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교육자가 부족하다. 미래전략은 전문교육의 강화와 교육자 개발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연구에서 사회복지사의 학술지 게재 편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타 전문직에 비해서 학술활동의 참여도가 낮다. 미래전략은 연구 및 학술활동의 활성화와 개입효과성 증명 등 정책반영에 필요한 근거 중심의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제도적으로 인력확보 및 수가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미래전략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전담 인력확보, 수가인정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활동이 필요하다.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는 전략적인 접근을 가지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이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관련 학회, 협회, 학교와 네트워킹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며, 실행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실행 주체를 강화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uture goals and strategies for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by understanding its historical background. Both literature re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historical data relating to social work in hospic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격적인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 활동은 1996년 정부의 암정복 10개년 계획수립 이후의 정책변화와 국립암센터 정부지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프로젝트 사업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필자는 먼저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정책 실행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 활동을1)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제도화 준비를 위한 국립암센터 프로젝트 참여 활동, 2) 1998년 창립된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학회 관련 활동, 그리고3)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내 호스피스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필자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의 전문성과 정체성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어떤 활동을 전개해왔고,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역할과 자격기준, 교육, 연구, 정책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앞으로의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의 미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종설의 목적은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어떤 활동을 전개했고 어떤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가 해야 할 미래전략 제시한다. 문헌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전개해 온 활동을 과거, 현재, 미래전략으로 나눠서 역할 및 자격기준, 교육, 연구, 정책 활동의 네 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활동은 언제 시작되었나? 1982년 10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활동이 시작된 후 사회복지사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다학제간팀의 필수인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 동안 사회복지사는 제1기 및 제2기 암정복 10개년 계획수립에 따른 정부 관련 프로젝트 사업 참여, 1998년 창립된 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학회의 관련 활동,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호스피스위원회 활동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그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해왔다.
보건의료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자격은 어떤 것이 있나? 보건의료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자격은 사회복지사 1급, 2급, 전문사회복지사로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가 있다. 사회복지사 1급은 사회복지관련 졸업자로 국가시험을 합격해야 한다.
호스피스ㆍ완화의료팀에서 환자 및 가족을 지원하는 필수인력인 사회복지사가 온전히 자리매김 하지 못한 이유는? 사회복지사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팀에서 환자 및 가족을 지원하는 필수인력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온전히 자리매김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는 우선 호스피스 실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사회복지사의 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고용되더라도 계약직 형태로 인한 잦은 이직, 충분한 교육의 미비, 경력자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호스피스ㆍ완화 의료 사회복지 전반에 걸친 인적 자원의 부족은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고 연구와 교육 실행마저 어렵게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ng YJ. Policy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83-187. 

  2. Reese DJ. Interdisciplinary perceptions of the social work role in hospice: building upon the classic Kulys and Davis study.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11;7:383-406. 

  3. Lee YS. Study on the qualification and services of social work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2001 Summer Symposium of Korean So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1 Jul 7; Seoul, Korea. Seoul: Korean Soc Hosp Palliat Care; 2001. p. 88-95. 

  4. Lee KJ. Social work in hospice care. Seoul:Human and Welfare;2003. 

  5. Han IY, Lee YS.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about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the hospice service. Ewha J Soc Sci 2004;12:375-388. 

  6. www.law.go.kr [internet]. Seoul: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cited 2013 Mar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법령/암관리법. 

  7. National Cancer Center,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tudy for Korean standardiza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ymposium 2002; 2002 Nov 8; Goyang, Korea.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02. 

  8. Kim CG, Lee KJ, Lee YS. Developing curriculum for hospice social worker in Korea. Korean J Soc Welf 2005;10:407-413. 

  9. Lee MK, Lee YS, Lee J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medical social workers. Korean J Med Soc Work 2009;2:59-78. 

  10.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98-2012. [cited 20013 Mar 20]. Available from: http://www.kjhpc.org. 

  11. Annual Conference Papers and Proceedings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99-2012. [cited 20013 Mar 20]. Available from: http://www.kjhpc.org. 

  1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A public hearing for development of payment system for hospice. International conference hall. Yeuido Center of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ies. 2008. p 21-47. 

  1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iscussions on future directions on palliative care and health insurance benefit. The 22th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Forum; 2011 May 6; Seoul, Korea.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14. Kim DG. The experiences of policy studi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study for introducing palliative care team policy. 2012 Winter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2 Dec 7; Seoul,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2. p. 44-53. 

  15. Hong YS.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spic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8;51:509-516. 

  16. Payne M. Developments in end-of-life and palliative care social work: International issues. Int Soc Work 2009;52:513-524.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ursing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Suggestions for advanced Korean hospice based on analysis of hospice law, cost, and management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Gwache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7. 

  18. Porter ME. What is strategy? Harv Bus Rev. November-December. 1996. p. 61-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