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Items on Psychosocial Assessment amo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oci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59 - 269  

김원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의료사회사업팀) ,  황명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2013년 5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국 55개 완화의료지원기관에 정부인증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10곳의 사회사업초기면접 기록지와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하여 8개 범주 80개 항목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발송하였다. 이 중 조사 참여에 동의한 31개 기관(56%)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심리사회적 사정영역의 8개 범주 중 가족사항에 대한 평균치가 4.53으로 가장 높고 경제적 사항이 4.06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자격증, 의료사회사업수련,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담여부등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격특성과 병원의 유형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히 본 연구결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수행도가 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정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함에도 사정하고 있지 않는 등의 편차가 나타나 표준사정항목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법적 제도화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자격기준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전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standardized tools for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in needs for hospice/palliative care. To accomplish the purpose, investigators examined effect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domains of assess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ㆍ완화 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사회사업 실무현장을 중심으로 심리사회적 사정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국의 완화의료 지원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심리사회적 사정 항목과 그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을 통해 송부하고 수신하였으며 전국 55개 완화의료 지원기관의 사회복지사 중 조사 참여에 동의한 31개 기관의 사회복지사(56%)가 본 조사에 응답하였다.
  •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분야에서 사회복지 분야의 연구는 의사, 간호사에 비해 매우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8) 특히 심리사회적 사정을 주제로 한 연구는 Kim(9)의 연구가 유일하다. 이상을 살펴볼 때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추후 우리나라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 실무의 표준과 지침을 만들기 위한 사전 예비연구로 꼭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관유형 변수와 사회복지사 자격변수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 밝히고자 한다.
  • Pasacreta와 Pickett(19)은 개인의 가치, 신념, 사회경제적 배경, 문화적 배경, 종교, 문화적 신념체계 등을 포함하는 많은 요인들이 말기 환자들의 삶의 질과 완화의료에 영향을 미치며, 이전의 대처전략과 정서적 안정성, 사회적 지지, 디스트레스가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호스피스ㆍ완화의료는 전인적 돌봄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리사회적 사정 역시 몇 가지 항목에 국한된 단편적 이해가 아닌 훈련된 전문가가 인간내적인 측면과 환경적 측면을 전체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정이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돌봄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것이 바로 사정(Assessment)이다. 사정(Assessment)이란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로부터 추론하는 전문적인 사고과정이며(2) 사회복지사는 사정을 위해 클라이언트(환자와 가족)와 상호작용하며 정보를 수집한다(3). 이때 사회복지사는 환자와 가족이 처해있는 상황에 대해서 토론하며 그들이미리 말기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증상이 악화될 때까지 개인적 준비가 필요한 상황을 예상하고 고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심리사회적 사정은 어떤 요소인가? 특히 심리사회적 사정은 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서 돌봄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다. 그러나 암관리법 제2조의‘말기암환자 완화의료의 정의’에서 심리사회적 평가와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범위와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완화의료기관의 사회복지사들마다 자격기준이 다른 것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현재 암관리법은 사회복지사의 자격기준을 ‘사회복지사 상근 1인 이상’으로만 제시하고 있어 완화의료기관의 사회복지사들마다 사회복지사 자격급수, 정규 또는 비정규직, 의료사회사업 수련이수 등의 차이를 가지고 있어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견해도 많은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는 결국 환자와 가족을 위한 심리사회적 돌봄의 질적인 부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troduction to hospice palliative care for palliative care team members. 2nd ed. Seoul:National Cancer Center;2012. p. 365-82. 

  2. Sheafor BW., Horejsi CR. Techniques and guidelines of social work practice. Nam GC, Jung SW, Cho SH, translators. 2nd ed. Seoul:Nanam;2010. p. 262. 

  3. Specht H, Specht R. Social work assessment: route to clienthood. Social Casework 1986;67:587-93. 

  4. National Cancer Center. Guidelines for hospice palliative team. Seoul:National Cancer Center;2004. p. 240-2. 

  5. Lee YS. Study on the qualification and services of social work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2001 Summer Symposium of Korean So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1 Jul 7; Seoul, Korea. Seoul: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2001. p. 88-95. 

  6. Han IY, Lee YS. A study of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hospice social workers. Ewha J Soc Sci 2004;12:375-88. 

  7. Kim WC. Psychosocial assessment. 2013 Winter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 Dec 6; Seoul, Korea. Seoul: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2013. p. 46-54. 

  8. Lee Y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trategies of Korean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65-73. 

  9. Kim CK. Psychosocial assessment of hospice patient: focused on assessment tool.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2;5:43-51. 

  10. Hamilton G. Theory and practice of social case work. 1st ed. NY:Columbia University Press;1940. 

  11. Hollis F. Casework: a psychosocial therapy. NY:Random House; 1964. 

  12. Cowger CD. Assessment of client strengths. In: Saleebe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Longman; 1992. p. 139-47. 

  13. Hepworth DH, Rooney RH, Larsen JA. Direct social work practice : theory and skills. Heo NS, Han IY, Kim GH, Kim YS, translators. Seoul:House of Nanum;2004. p. 133-40. 

  14. Lee WS. Social work practice. 2nd ed. Seoul:Hakjisa;2014. p. 69. 

  15. Jang IH. Social work practice. Seoul:Seoul Univ.;1999. p. 9-10. 

  16. Kim CK. Psychosocial assessment of hospice patient. 1999 Conference of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1999 Apr; Seoul, Korea. Seoul: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1999. p. 113-26. 

  17. Miller RD, Walsh TD. Psychosocial aspects of palliative care in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1991;6:24-9. 

  18. Powazki RD, Walsh D. Acute care palliative medicine: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and primary caregivers. Palliat Med 1999;13:367-74. 

  19. Pasacreta JV, Pickett M. Psychosoical aspects of palliative care. Semin Oncol Nurs 1998;14:110-20. 

  20. Oliviere D, Hargreaves R, Monroe B. Good practices in palliative care : a psychosocial perspective. Aldershot;Ashgate:1998. p. 48. 

  21. Hollis F. The psychosocial approach to the practice of casework, In: Roberts RW, Nee RH. Theories of social casework.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1970. p. 33-76. 

  22. Choi HK. A study on roles and competencies of social work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Kyungsung Univ. Soc Sci Res Rev 2013;29:225-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