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the weather is changing continually, due to the progress of global warming. As the weather changes, the habitats of different organisms will change as well. It cannot be predicted whether or not the weather will change with each passing day. In particular, the biological distribution of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환경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상조건 (기온, 강수량, 일조시수), 식생, 토양조건(이화학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가 다양한 토양세균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종인 소나무 (A), 잣나무 (B), 상수리나무 (C)를 선발하여 이들 뿌리의 근권세균이 온도변화에 따라 그 우점종에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소나무 (Pinus densiflora)는 우리나라, 중국 동북지방의 압록강 연안, 산둥반도 그리고 일본의 시코쿠, 큐슈, 혼슈 등 북위 37~38°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수종으로, 온도와 수분에 폭넓은 적응성을 가지고 있어 소나무 숲은 능선과 같은 건조한 척박지 등에서도 쉽게 군집을 이루기 때문에 한국, 만주 일본에 분포하는 구과식물의 대표적인 경제 수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임업연구원 1999).
  • 수직적으로 해발 10 m에서 1,100 m까지 분포하나 주로 해발 100~200 m 지역에서 생육하고 내건성과 내한성, 내음성이 강해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김 등 1981), 인가 주변 및 도로변 산지일대에서 가장 많이 또는 쉽게 접할 수 있는 향토 수종의 하나이다 (정과 이 1965). 따라서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 3종의 한국 대표 수목을 이용하여 지구의 온도 상승에 따라 이들 3종 식물의 뿌리에 거주하고 있는 토양세균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09년 8월에 시행되었던 1차 실험과 연계되어 2010년 8월에 시행된 2차 실험에 대한 논문이다.
  • 따라서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 3종의 한국 대표 수목을 이용하여 지구의 온도 상승에 따라 이들 3종 식물의 뿌리에 거주하고 있는 토양세균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09년 8월에 시행되었던 1차 실험과 연계되어 2010년 8월에 시행된 2차 실험에 대한 논문이다.
  • 본 연구는 가속화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에 대해 한국자생수목인 소나무, 잣나무, 상수리나무의 뿌리에 서식하는 토양세균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으로 실온에서 최대 +6℃까지 조절할 수 있는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6월 평균기온인 27℃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2℃씩 온도가 상승한 비닐하우스를 제작하였다.
  • 그러나 이번 실험에서는 관찰된 31개의 균주 중 24개의 균주가 Bacillus속이 라는 것을 감안하면 많은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토양세균의 우점종 변화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자생수목인 소나무, 잣나무, 상수리나무의 뿌리에서식하는 토양세균들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개체수의 증감을 보였고, 새롭게 출현하는 우점종이 발견 되는 등 온도변화에 의한 토양세균 우점종 변화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세균은 토양의 비옥화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의한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에 대한 것으로 토양세균에 초점을 맞추었다. 토양세균은 주로 분해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생물 사체의 분해 및 광물화를 촉진시켜 물질의 재순환에 이바지 하며, 토양 부식질을 형성시켜 토양 수분함량을 조절하고, 식물생장에 필요한 무기영양물을 공급하는 등 토양의 비옥화에 기여한다. 또한, 토양세균은 토양 내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 언급한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 수목 종은? 그 환경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상조건 (기온, 강수량, 일조시수), 식생, 토양조건(이화학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본 연구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가 다양한 토양세균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종인 소나무 (A), 잣나무 (B), 상수리나무 (C)를 선발하여 이들 뿌리의 근권세균이 온도변화에 따라 그우점종에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소나무 (Pinus densiflora)는 우리나라, 중국 동북지방의 압록강 연안, 산둥반도 그리고 일본의 시코쿠, 큐슈, 혼슈 등 북위 37~38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수종으로, 온도와 수분에 폭넓은 적응성을 가지고 있어 소나무 숲은 능선과 같은 건조한 척박지 등에서도 쉽게 군집을 이루기 때문에 한국, 만주 일본에 분포하는 구과식물의 대표적인 경제 수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임업연구원 1999).
토양세균의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려는 기능의 예는? 또한, 토양세균은 토양 내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식물 뿌리와의 공생관계, 뿌리 분비물에 의한 세균의 생장 조절, 식물의 병원체로서의 작용과 세균 개체군간의 경쟁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세균은 유전적 다양성과 함께 기능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구생태계의 핵심요소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생물소재의 생산과 생태계의 유지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자연자원이므로 엄청난 경제적 잠재가치를 가진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Choi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윤식, 고성철, 오병운.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V). 참나무과의 분포도. 고려대학교 이론공집. pp. 93-133. 

  2. 산림청. 1999. 산림입지조사요령. pp.24-25. 

  3. 임업연구원. 1999. 소나무 소나무림. 임업연구원. pp.192-203. 

  4. 좌재호, 임한철, 한승갑, 전승종, 서장선. 2007. 감귤원 토양에서 분리한 인산염 가용화 미생물 Bacillus sphaericus PBS-13의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0:405-411. 

  5.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0:329-435. 

  6. Amin El, HS Hanson, B Petterson, B Petrini and LV Von Stedingk. 2000. Identification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vs. conventional methods. Scand. J. Infect. Dis. 32:47-50. 

  7. Caroline C. 1994. Field studies on two rock phosphate solubilizing actinomycete isolates as biofertilizer sources. Environmental Management 18:263-269. 

  8. Choi MY. 2003. Microbial Diversity on an Industrialized and Agricultural District.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Yosu National University. pp. 2-3. 

  9. Davison J. 1988. Plant beneficial bacteria. Biotechnology 6:282-286. 

  10. Houghton J. 2007. Global Warming. Hanul Academy. pp. 236-238. 

  11. Illmer P and F Schinner. 1995. Solubilization of inorganic calcium phosphates solubilization mechanisms. Soil Biol. Biochem. 27:257-263. 

  12. Kim HR. 1994. Antifungal antibiotic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p. YH-16 against Fusarium solani causing plant root-rot. Department of applied microbiolog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26:86-87. 

  13. Kim KK, JG Kang, SS Moon and KY Kang.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N-butylbenzensulphonamide produced by Pseudomonas sp. AB2. J. Antibiotics. 53:131-136. 

  14. Kim YS and SD Kim. 1994. Antifungal mechanism and properties of antibiotic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YB-70 as a biocontrol agent. J. Microbiol. Biotech. 4:296-304. 

  15. Lee EJ, KS Kim, SH Hong and JH Ha. 1995. The mechanism of biological control of Pseudomonas spp. Against Fusarium solani causing planar root-rot diseas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91-97. 

  16. Lee JM, HS Lim, TH Chang and SD Kim. 1999. Isolation of siderophore-producing Pseudomonas fluorescens GL7 and its biocontrol activity against root-rot diseas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 27:427-432. 

  17. Lim HS, JM Lee and SD Kim. 2002. A plant growth-promoting Pseudomonas fluorescens GL20-mechanism for disease suppression, outer membrane receptors for ferric siderophore, and genetic improvement for increased biocontrol efficacy. J. Microbiol. Biotech. 12:240-249. 

  18. Yoon SY. 2008. Microbiological Diversity of Highland and Development of Biological Assessment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1-3. 

  19. Xu Z, H Dai and X Li. 1986. Rational management of broadleaved Pinus Koraiensis (Korean pine) forest and improvement of woodland productivity in north-east China. The Temperate Forest Ecosystem. Institute of Terrestrial Ecology. Nation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p. 59-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