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 및 조절효과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2, 2012년, pp.158 - 167  

양야기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유혜숙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termine the mediating as well as moderating effect on both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erspective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OTC)'. Metho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86 OTCs nationwid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기이식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인 소진과의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갖는지, 조절변수로서 효과를 갖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감정노동과 소진은 임상간호사를 대상한 선행연구들에 비해 유사하거나 낮았고,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간호사 및 신장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다 높게 평가되어 전문직으로써 지속적으로 자긍심을 유지하고 확고히 할 수 있는 전략과 시스템이 개발 되고 반영되어져야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감정노동과 소진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함께 전문직 자아개념의 감정노동에 의해 야기되는 소진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함으로써 장기이 식코디네이터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시켜 감정노동과 소진을 관리할 수 있는 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 소진간의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다시 말하자면, 매개변인은 예측변인이 어떻게 준거변인을 예측 또는 야기시키는 지를 설명해 주는 변인이며, 조절변인은 예측변인과 준거변인의 관계방향 또는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Baron & Kenny, 1986),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을 이용하여 전문직 자아개념이 어떻게 감정노동인 예측변인과 준거변인인 소진간에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전문직 자아개념이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칠 때 소진이 낮아지는 지를 규명함으로써 감정노동과 소진을 낮추고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방향제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감정노동과 소진 간에 전문직 자아개념에 따라 감정노동이 어떻게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전문직 자아개념이 영향을 미칠 때 감정노동에 따라 소진이 달라지는 가에 대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시킴으로써 감정 노동과 소진을 관리할 수 있는 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이식코디네이터는 어떠한 업무를 담당하는가? 장기이식코디네이터는 장기기증자와 수혜자 및 그 가족들을 포함한 모든 대상자들의 장기기증 및 이식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절차에 따른 가족과 의료팀과의 상호조정, 장기이식과정의 임상수행 업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홍보, 이식과 기증의 사전, 사후, 행정 업무까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한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Son et al., 2006). 따라서 장기이식코디네 이터들은 업무 중에 신뢰감과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행동을 필요로 하게 되고 사회적으로 적절한 감정표현을 위한 감정 노동을 접하게 된다.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정과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설립은 무엇을 가능하게 하였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31개 장기이식의료기관 중 16개의 이식의료기관에서만 장기이식 코디네이터가 활동하고 있었지만, 2000년에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함께 보건 복지부 산하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법률제정 및 전문기관 설립으로 생체 및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전반적인 행정 절차 및 장기 배분을 국가가 관리하게 되면서 장기이식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업무를 법적으로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KONOS에서 인준한 뇌사판정대상자관리기관(Hospitalbased 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 HOPO)의 업무와 관련된 사항에 의하면 장기이식의료기관, 뇌사판정의료기관으로 장기이식전담자를 2인 이상(전임은 1인 이상으로 간호사이어 야 함)을 두어야 한다고 명시하였다.
장기이식코디네이터란 무엇인가? 이러한 복잡한 과정의 중심에 있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는 이 과정을 진행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Son, Koh, Kim, & Yi, 2006). 이처럼 장기이식코디네이터는 장기이식의 전반적인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기증자와 수혜자 및 가족에게 정보와 직접적인 간호 및 교육 상담, 지지를 제공하고 이식에 관한 제반적인 절차를 중재하고 조정하는 간호사를 말한다(Lee,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uthur, D. (1990).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 Cha, S. K., Shin, Y. S., Kim, K. Y., Lee, B. Y., Ahn, S. Y., Jang, H. S., et, al. (2009).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23-35. 

  4. Cho, E. J. (2007).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burnout of nurses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5. Choi, E. Y., & Kim, G. H. (2000).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nephrolog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 345-355. 

  6. Freudenberger, H. J. (1974). The staff burnout syndrome in alternative institution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2, 73-82. 

  7. Geiger, J. W. K., & Davit, J. S. (1988). Self-image an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s. Nursing Management, 19, 50-58. 

  8. Kim, H. K., Ji, H. S., Ryu, E. K., Lee, H. J., Yun, S. E., Jeon, M. K., et al. (2005).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of the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10(2), 7-18. 

  9. Kim, H. M., Hwang, M. H., Jeon, S. J., & Jang, G. J. (1997). A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8, 327-336. 

  10. Kim, I. S. (2009).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515-526. 

  11. Kim, J. S. (2000). A model curriculum development for clinical nurse specialist training program in organ transpla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 171-185. 

  12. Kim, M. J (1998). Effect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 21(2), 129-141. 

  13. Kim, M. R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endency :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761-777. 

  14. Kim, M. Y.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ain and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buk National University, Cheonju. 

  15. Kim, W. K., & Chung, K. H.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287-296. 

  16.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2010). Statistics of organ transplantation by year.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Web Site : http://www.konos.go.kr/konosis/sub5/sub05_01_04.jsp?menuIdsubmenu01&menuImgsubImg01&submenuImgsubImg01_04 

  17. Leddy, S., & Pepper, J. M. (1985). Conceptual bases of professional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Company. 

  18. Lee, H. S. (2003). The description of role behaviors of Korean transplant nurse special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Lee, M. J. (2002). A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S. H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10-20. 

  21. Lee, S. N. (2010). Relation of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Maslach, C. (1979). Burned-out.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20(6), 5-9. 

  23.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 986-1010. 

  24. Park, H. J. (2009). Emotional labou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225-232. 

  25. Pick, E. H. (1983). Correlation study between degree of nurses's burnou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6. Pines, A. M., Aronson, E., &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Free Press 

  27. Seo, Y. S. (2010). Testing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distinction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 1147-1168. 

  28. Sobel, M. E. (1982). A symptoma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al equations models. SanFrancisco: Jossey-Bass. 

  29. Son, H. M., Koh, M. H., Kim, C. M., & Yi, M. S. (2006). The experiences of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012-1022. 

  30. Sohng, K. Y., & Noh, C. H. (1996).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94-106. 

  31. Yi, Y, C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in their burnout in the skilled nursing home for the o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2. Yu, M. (2011). Work,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115-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