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이타 치료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및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ojta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2, 2012년, pp.213 - 221  

임형원 (강동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jta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GMFM)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SVMC)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Methods : During this experiment, the subject of four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diplegia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협응(coordination)은 신체분절 혹은 분절과 관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며(류지선, 2009), 경직형 양하지 마비 아동은상지와 하지에서의 협응에 문제가 있으며 특별히 하지에서 관절내(intralimb), 관절간 협응(interlimbcoordination)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협응성은 시간적인 방법과 공간적인 방법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류지선, 2009),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하지의 선택적인 운동조절 평가(Selective Control Assessment of the LowerExtremity; SCALE)를 이용하여 하지의 협응을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이타 치료를 적용하여 치료 전,후의 대동작 운동기능과 하지의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보이타 치료를 적용한 후 대동작 운동기능,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유지기는 중재 종결(8주) 후 개선된 대동작 운동 기능 평가와 하지의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아동의 중재가 끝난 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치료와 결과 측정은 측정자간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변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일한 연구자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5월 22일 부터 2011년 1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행이 가능한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보이타 치료를 적용하여 대동작 운동기능과 하지의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동작 운동기능에서 대상자 1은 보이타 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기초선 기간에 87.
  • 본 연구는 보이타 치료를 통하여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및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은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경직형 양하지 마비는 뇌실주위 백색질(periventricular white matter)의 운동신경로 손상으로 발생한다(Bax 등, 2006). 이러한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은 근육에 심한 과긴장을 보이며, 운동이 부자유스럽고 과도하며 협응에 곤란을 겪는다.
경직형 양하지 마비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경직형 양하지 마비는 뇌실주위 백색질(periventricular white matter)의 운동신경로 손상으로 발생한다(Bax 등, 2006). 이러한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은 근육에 심한 과긴장을 보이며, 운동이 부자유스럽고 과도하며 협응에 곤란을 겪는다.
보이타 치료는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어떤 효과를 가지는가? 첫째,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이타 치료를 통하여 대동작 운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이타 치료를 통하여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보이타 치료는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및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즉,협응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어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선미.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조절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 권용현, 김중선, 장성호. 경두개 직류전류 자극이 대뇌피질의 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4):73-9. 

  3. 류지선. 보행 시 하이힐 굽 높이 증가에 따른 하지의 시간 협응성. 한국운동역학회지. 2009;19(3):593-601. 

  4. 박경희, 안용팔. 뇌손상환자 치료에 있어서 Vojta법의 가능한 효과 기전. 대한재활의학회지. 1989;13(1):1-10. 

  5. 박태준, 박형기, 김종만. 열린사슬과 닫힌사슬에 따른 PNF 상지패턴이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1;6(2):215-23. 

  6. 박혜정, 이충휘, 조상현 등. 발달지연 아동 및 뇌성마비 아동의 평가실태와 물리치료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7(1):1-21. 

  7. 곽소영, 손수민, 장성호 등. 편마비 뇌성마비 환자에서 재활치료 이후 손상된 뇌피질 척수로의 회복. 대한재활의학회지. 2010;34(1):79-84. 

  8. 송창호, 김헌정.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49(1):89-111. 

  9. 이정림, 조상현, 권오윤 등. 뇌성마비 아동에서 대동작 기능 평가와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와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8(1):20-34. 

  10. 허정식. 지속적인 운동학적 피드백이 뇌성마비 아동의 동작 협응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0;62:187-99. 

  11. Bauer H, Appaji G, Mundt D. Vojta neurophysiologic therapy.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1992;59(1):37-51. 

  12. Bax M, Tydeman C, Flodmark O. Clinical and MRI correlates of cerebral palsy: the European cerebral palsy study. JAMA 2006;296(13):1602-8. 

  13. Damiano DL, Arnold AS, Steele KM et al. Can strength training predictably improve gait kinematics? A pilot study on the effects of hip and knee extensor strengthening on lower-extremity alignment in cerebral palsy. Phys Ther. 2010;90(2):269-79. 

  14. Eek MN, Beckung E. Walking ability is related to muscle strength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2008;28(3):366-71. 

  15. Ellenbecker TS, Davies GJ. Closed kinematic chain exercise: A comprehensive guide to multiple joint exercis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2001. 

  16. Fowler EG, Staudt LA, Greenberg MB et al. Selective control assessment of the lower extremity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clinical tool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9;51(8):607-14. 

  17. Fowler EG, Goldberg EJ.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on interjoint coordination during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2009;29(1):102-7. 

  18. Giannantonio C, Papacci P, Ciarniello R et al. Chest physiotherapy in preterm infants with lung diseases. Ital J Pediatr. 2010;36(65):1-5. 

  19. Houglum, Peggy A. Therapeutic exercise for musculoskeletal injuries. 2nd ed. Human Kinetics Inc. 2005. 

  20. Juehring DD, Barber MR. A case study utilizing vojta/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therapy to control symptoms of a chronic migraine sufferer. J Bodyw Mov Ther. 2011;15(4):538-41. 

  21. Kelso JA, Jeka JJ. Symmetry breaking dynamics of human multilimb coordination. J Exp Psychol Hum Percept Perform. 1992;18(3):645-68. 

  22.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1997;29(1):25-8. 

  23.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 Validation of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2000;80(10):974-85. 

  24. Ross SA, Engsberg JR. Relationships between spasticity, strength, gait, and the GMFM-66 in persons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07;88(9):1114-20. 

  25. Russell DJ. Rosenbaum PL, Govoland C et al.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2nd ed. Hamilton: Gross Motor Measures Group; McMaster University. 1993. 

  26. Russell D, Rosenbaum P, Lane M et al. Training user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Phys Ther. 1994;74(7):630-36. 

  27. Vojta V. Die zerebralen Bewegungasstorungen im sauglingsalter.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1984. 

  28. Vojta V, Peters A. Das vojta-prinzip: muskelspiele in reflexfortbewegung und motorischer ontogenese. 3rd ed. Heidelberg. Springer Verlag.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