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2, 2012년, pp.213 - 221
임형원 (강동대학 물리치료과)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jta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GMFM)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SVMC)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Methods : During this experiment, the subject of four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diplegia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은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 경직형 양하지 마비는 뇌실주위 백색질(periventricular white matter)의 운동신경로 손상으로 발생한다(Bax 등, 2006). 이러한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은 근육에 심한 과긴장을 보이며, 운동이 부자유스럽고 과도하며 협응에 곤란을 겪는다. | |
경직형 양하지 마비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 경직형 양하지 마비는 뇌실주위 백색질(periventricular white matter)의 운동신경로 손상으로 발생한다(Bax 등, 2006). 이러한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은 근육에 심한 과긴장을 보이며, 운동이 부자유스럽고 과도하며 협응에 곤란을 겪는다. | |
보이타 치료는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어떤 효과를 가지는가? | 첫째,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이타 치료를 통하여 대동작 운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이타 치료를 통하여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보이타 치료는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및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즉,협응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어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강선미. 보이타의 반사적 이동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조절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박경희, 안용팔. 뇌손상환자 치료에 있어서 Vojta법의 가능한 효과 기전. 대한재활의학회지. 1989;13(1):1-10.
곽소영, 손수민, 장성호 등. 편마비 뇌성마비 환자에서 재활치료 이후 손상된 뇌피질 척수로의 회복. 대한재활의학회지. 2010;34(1):79-84.
송창호, 김헌정. 보이타의 반사적 전진이동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개체발생적 병적자발이동, 폐활량, 손기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49(1):89-111.
허정식. 지속적인 운동학적 피드백이 뇌성마비 아동의 동작 협응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0;62:187-99.
Bauer H, Appaji G, Mundt D. Vojta neurophysiologic therapy.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1992;59(1):37-51.
Bax M, Tydeman C, Flodmark O. Clinical and MRI correlates of cerebral palsy: the European cerebral palsy study. JAMA 2006;296(13):1602-8.
Damiano DL, Arnold AS, Steele KM et al. Can strength training predictably improve gait kinematics? A pilot study on the effects of hip and knee extensor strengthening on lower-extremity alignment in cerebral palsy. Phys Ther. 2010;90(2):269-79.
Eek MN, Beckung E. Walking ability is related to muscle strength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2008;28(3):366-71.
Ellenbecker TS, Davies GJ. Closed kinematic chain exercise: A comprehensive guide to multiple joint exercis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2001.
Fowler EG, Staudt LA, Greenberg MB et al. Selective control assessment of the lower extremity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clinical tool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9;51(8):607-14.
Fowler EG, Goldberg EJ.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on interjoint coordination during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2009;29(1):102-7.
Giannantonio C, Papacci P, Ciarniello R et al. Chest physiotherapy in preterm infants with lung diseases. Ital J Pediatr. 2010;36(65):1-5.
Houglum, Peggy A. Therapeutic exercise for musculoskeletal injuries. 2nd ed. Human Kinetics Inc. 2005.
Juehring DD, Barber MR. A case study utilizing vojta/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therapy to control symptoms of a chronic migraine sufferer. J Bodyw Mov Ther. 2011;15(4):538-41.
Kelso JA, Jeka JJ. Symmetry breaking dynamics of human multilimb coordination. J Exp Psychol Hum Percept Perform. 1992;18(3):645-68.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1997;29(1):25-8.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 Validation of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2000;80(10):974-85.
Ross SA, Engsberg JR. Relationships between spasticity, strength, gait, and the GMFM-66 in persons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07;88(9):1114-20.
Russell DJ. Rosenbaum PL, Govoland C et al.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2nd ed. Hamilton: Gross Motor Measures Group; McMaster University. 1993.
Russell D, Rosenbaum P, Lane M et al. Training user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Phys Ther. 1994;74(7):630-36.
Vojta V. Die zerebralen Bewegungasstorungen im sauglingsalter.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1984.
Vojta V, Peters A. Das vojta-prinzip: muskelspiele in reflexfortbewegung und motorischer ontogenese. 3rd ed. Heidelberg. Springer Verlag. 2007.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