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이타 치료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근활성화 및 발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ojta's Treatment on Respiratory Muscle Activity and Phona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1 no.3, 2013년, pp.37 - 49  

주기찬 (맘즈핸즈 아동발달센터)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Respiratory Capacity by Vojta's treatment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12 patients were picked up, who were agreed with this rese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이타 치료중재를 통해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호흡근 활성도, 발성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직성 뇌성마비아동 12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보이타 치료중재를 적용하여 호흡근(복직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 및 발성능력검사(최대연장발성시간, 일련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에게 보이타의 치료중재를 적용하였을 때 뇌성마비아동의 호흡근 활성도 및 발성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고 하였다.
  • 보이타적 치료중재를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하여 호흡근 활성도 및 발성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여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이타적 치료접근법이 뇌성마비아동의 근활성화 및 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간의 중재 전후에 각 변인들을 측정한 다음 각 변인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성장발달 초기에 미성숙한 뇌에 여러 가지 병변이나 기형으로 인해 나타나는 운동장애와 자세발달 이상을 보이는 비진행성 신경장애 증후군이라 한다(Bax 등, 2005).
뇌성마비는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뇌성마비는 크게 신경 운동적 분류, 신경 운동손상이 나타난 지절별 분류, 장애 정도에 따른 분류 등으로 나누어지며, 신경 운동적 분류는 경직형, 무정위형, 실조형, 그리고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박래준과 민경옥, 1989; 조재림 등, 1996; 박지은, 2008).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은 말할 때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발성을 위한 호기는 충분한 흡기가 있어야 가능한데,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은 부족한 자세조절 능력과 호흡근의 비활성화 때문에 정상 아동에 비해 폐활량과 흡기량 및 호기량이 상당히 적게 나타난다(이현미, 2008). 이런 특징으로 말할 때 숨을 빠르게 들이쉬고 천천히 조금씩 내 쉴 수가 없는 문제점이 나타나 발성 시 자주 말이 끊어지거나 숨 가쁘게 말을 하며 발화속도가 느리고 억양이 단조롭고, 노력하여 힘들게 말을 하며 부족한 호흡으로 인해 쥐어짜는 소리를 내고, 소리의 크기나 높이의 조절이 어렵다(윤병완, 1992; 남현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수균, 권도하, 김동연 등(1996). 뇌성마비 언어치료.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 김경, 박래준, 배성수(2005). 복식호흡 운동이 요통환자의 체간근육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7(3), 311-327. 

  3. 김민환(2012). 호흡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체간조절능력 및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봉균(2010). 수중활동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조음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선희(2000). 자세 조정을 이용한 호흡 및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구어 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숙희(2001). 호흡근 조절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효선(1984). 뇌성마비 아동의 언어장애, 재활연구, 10, 28-36. 

  8. 김혜경(2005).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을 이용한 호흡근 강화 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구어산출기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남현욱, 안종복, 권도하(2007). 뇌성마비인의 교호운동 즉성: 속도, 규칙성, 정확성, 일관성, 언어치료연구, 7(16), 37-53. 

  10. 남현욱(2003). 경직형 및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인과 정상인의 운율특성 비교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래준, 민경옥(1989). 질환별물리치료. 서울, 대학서림. 

  12. 박유린(2005). 공을 이용한 체간 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호흡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지은(2008).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에서 관찰된 말명료도와 관련 말 평가 변인. 미간행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박중현(2005). 사지마비형 뇌성마비 환아의 흉곽 발육 양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박혜숙, 나은우(2001). 뇌성마비의 언어치료 -Bobath 치료법의 개요-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6. 손현주(2000). 보이타 원리. 서울, 대학서림. 

  17. 안백란(2007). Bobath 치료 전.후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및 최대발성지속시간의 차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오정림(2003).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아의 앉은 자세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우미남(2005). 섭식촉진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기관 운동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영진(2000). 호흡훈련이 운동구어장애자의 발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윤병완(1992). 뇌성마비 언어장애와 치료. 서울, 요한바오로 2세 어린이집. 

  22. 이현미(2008). 호흡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발화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장철(2010). 호흡운동이 두부전방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정진자(1998). 구강운동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지, 7(2), 27-46 

  25. 정진옥(2005). 최대발성지속시간과 파열음 산출 시 조음시간 특성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조명숙(2005) 체간과 머리자세조정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최대발성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조미숙(2005).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아의 호흡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조순자(2006). 자세조절운동 프로그램 적합화가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근 조절능력과 큰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조재림, 하권익, 김기수 등(1996). 정형외과학. 서울, 정형외과학회. 

  30. 주정열(2009).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배곧은근 강화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이 호흡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홍정선, 이해덕(1997). 뇌성마비아 호흡의 문제점과 치료. 한국BOBATH학회지, 2(2), 

  32. Bax M, Goldstein M, Rosenbaum P, et al(2005). Executive committee for the definition of cerebral palsy.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7, 571-576. 

  33. Bax M, Tydeman C, Flodmark O(2006). Clinical and MRI correlates of cerebral palsy: The European cerebral Palsy Study. J Am Med Assoc, 296(13), 1602-1608. 

  34. Darley FL(1992). A philosophy of appraisal and diagnosis. Spriestersbach (Eds), Diagnostic methods in speech pathology, 5(23). 

  35. Dietz V, Berger W(1983). Normal and impaired regulation of muscle stiffness in gait: a new hypothesis about muscle hypertonia. Exp Neurol , 79(3), 680-687. 

  36. Duffy JR(2005). Motor speech disorders :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St Louis(MO), Elsevier Mosby. 

  37. Kapandji IA(1982). The physiology of the joint. 4th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38.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 G(1993).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4th ed. Baltimore/ London, Williams & Wilkins. 

  39. Kisner C, Colby LA(1996). Therapeutic exercise : Foundation and techniques. 3rd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40. Knox V, Evans AL(2002),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effects of a course of a bobath therap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a preliminary study. Developmental Medicine Child Neurology. 44(7), 447-460. 

  41. Leonard CT(1994). Motor behavior and neural changes following perinatal and adult-onset brain damage: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Phys Ther, 74, 753-767. 

  42. Leonard C, Brown J, Price T, et al (2004). Comparison of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myotonometric measurements during isometric contractions. J Electromyogr Kinesiol, 14(6), 709-714. 

  43. Lewis K, Casteel R, McMahon J(1982). Duration of sustained /a/ related to the number of trials. Folia Phoniatr, 34(1), 41-48. 

  44. Park MS, Kim SJ, Chung CY, et al(2011). Prevalence and lifetime healthcare cost of cerebral palsy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100(2-3), 234-238. 

  45. Mutch, L, Alberman E, Hagberg B (1992). Cerebral palsy epidemiology :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Developmental Medicine Child Neurology, 34(6), 547-551. 

  46. Schendel DE, Schunchat A, Thorsen P (2002). Public health issues related to infection in pregnancy and cerebral palsy. Ment Retard Dev Disabil Res Rev, 8(1), 39-45. 

  47. Saunders SW, Rath D, Hodges PW(2004). Postural and respiratory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s changes with mode and speed of locomotion. Gait and Posture, 20(3), 280-290. 

  48. Vojta V, Peters A(2007). Das vojta-prinzip muskelspiele in reflex fortbewegung undmotorischer onto -genese, 3rd ed. Springer Medizin Verlag, Heidelbe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