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실 실내공기질과 콘택트렌즈 착용여부가 안구 건조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s on the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2 = no.47, 2012년, pp.215 - 222  

김대종 (신흥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문찬 (신흥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세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현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화자 (경복대학교 간호학과) ,  차정원 (신흥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와 사무실 실내공기질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71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각 사무실에서 실내공기질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CO_2$), 온도(temperature), 습도(relative humidity), 총 부유분진(TSP), 미세먼지($PM_{10}$), 포름알데히드(HCHO)를 측정분석 하였고, 안구 건조증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사무실에서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 Schirmer Tear Test-I(S.T.T-I), Schirmer Tear Test-II with anesthetics(S.T.T-II), Tear film break-up time(T.B.U.T) 등을 검사 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여부에 따라 사무실 실내공기질이 안구건조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TSP는 $200{\mu}g/m^3$, $PM_{10}$$86.7{\mu}g/m^3$, 포름알데히드$0.4{\sim}1.0{\mu}g/m^3$을 기준으로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을 때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CO_2$(p=0.146), 온도(p=0.074)와 습도(p=0.053)는 통계적으로 안구건조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무실 재실자의 안구 건조에 $CO_2$ 및 온도, 습도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TSP, $PM_{10}$, 포름알데히드의 실내 농도와 콘택트렌즈의 착용여부는 관련이 있었다. 콘택트렌즈 착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와 사무실 실내공기의 개별적인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door air qualities of an office environment on dry eye syndrome for wearing contact lens and non-wearing contact lens. Methods: To study the effects of indoor air qualities on dry eye syndrome for seventy-one subjects, $CO_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은 실내 환경에서 장시간 근무하게 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사무실에서 발생되는 실내공기질과 시각계 증상에 영향 주는 콘택트렌즈착용자와 미착용자 간에 안구 건조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여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기명의 사무실 근무자들이 실내공기질로 인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여부가 안구 건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실내 환경에서 안구의 건조에 대한 질적 안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눈물검사 및 실내공기질을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μ可 그러나 사무실에서 안구 건조증상은 업무실적의 저하를 촉진시키는 내부 환경적 요소의 결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오염물질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해 환경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실내오염물질을 사무실에서 직접 측정하고 동시에 안구건조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한편 안구건조의 다른 요인으로는 특정한 약제(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항고혈압제, 항부정맥제, 호르몬제, 항파킨스씨병 약물 등)와 함께 인공눈물을 사용하거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ward S. Sick building syndrome studies and the compilation of normative and comparative values. In: Spengler JD, Samet JM, McCarthy JF. Indoor Air Quality Handbook, 1st Ed. NY: Mcgraw Hill, 2000;3.1-3.32. 

  2. Lemp MA.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of dry eye. CLAO J. 1995;21(4):221-232. 

  3. The Korean External Eye Disease Society. Cornea, 2nd Ed. Seoul: Ilchokak, 2005;211-220. 

  4. Narayanan S, Miller WL, Prager TC, Jackson JA, Leach NE, McDermott AM, et al. The diagnosi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ate dry eye in non-contact lens wearers. Eye Contact Lens. 2005;31(3):96-104. 

  5. Wolkoff P, Nojgaard JK, Troiano P, Piccoli B. Eye complaints in the office environment: precorneal tear film integrity influenced by eye blinking effciency. Occup Environ Med. 2005;62(1):4-12. 

  6. Farris RL. The dry eye: its mechanisms and therapy, with evidence that contact lens is a cause. CLAO J. 1986;12(4):234-246. 

  7. Akbar-Khanzadeh F, Vaquerano MU, Akbar-Khanzadeh M, Bisesi MS. Formaldehyde exposure, acute pulmonary response, and exposure control options in a gross anatomy laboratory. Am J Ind Med. 1994;26(1):61-75. 

  8. Bender JR, Mullin LS, Graepel GJ, Wilson WE. Eye irritation response of humans to formaldehyde. Am Ind Hyg Assoc J. 1983;44(6):463-465. 

  9. Takigawa T, Usami M, Yamasaki Y, Wang B, Sakano N, Horike T, et al. Reduction of indoor formaldehyde concentrations and subjective symptoms in a gross anatomy laboratory. Bull Environ Contam Toxicol. 2005;74(6):1027-1033. 

  10. Wolkoff P, Nøjgaard JK, Franck C, Skov P. The modern office environment desiccates the eye?. Indoor Air. 2006;16(4):258-265. 

  11. Tsubota K, Kaido M, Yagi Y, Fujihara T, Shimmura S. Diseases associated with ocular surface abnormalities: the importance of reflex tearing. Br J Opthalmol. 1999;83(1):89-91. 

  12. Doughty MJ, Blades KA, lbrahim N. Assessment of the number of eye symptoms and impact of some confounding variables for office staff in non-air-conditioned buildings. Ophthal Physiol Opt. 2002;22(2):143-155. 

  13. McMonnies CW. Key questions in a dry eye history. J Am Optom Assoc. 1986;57(7):512-517. 

  14. Kim SA. A study of Conjunctival Celluar Changes in Dry Eye Patients and Contact Lens Wearers by Impression Cytology. Master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2004;1-38. 

  15. Molhave L, Krzyzanowski M. The right to healthy indoor air: status by 2002. Indoor Air. 2003;13(6):50-53. 

  16. Smedbold HT, Ahlen C, Norback D, Hilt B. Sign of eye irritation in female hospital workers and the indoor environment. Indoor Air. 2001;11(4):223-231. 

  17. Jin KH. Worsen in the winter of the dry eye. J Kyung Hee Univ Cent Vol. 2006;11:6-7. 

  18. Koo JW, Lee JY, Lee SH. Subjective eye symtoms due to VDT work in banking operation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1;30(4):89-94. 

  19. Grun G, Trimmel M, Holm A. Low Humidity in the aircraft cabin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well-beingresults from a laboratory study. Building and Environment. 2012;47:23-31. 

  20. Ong BL. Relation between contact lens wear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Optom Vis Sci. 1996;73(3):208-210. 

  21. Young G, Veys J, Pritchard N, Coleman S. A multi-centre study of lapsed contact lens wearers. Ophthal Physiol Opt. 2002;22(6):516-527. 

  22. Uras R, Lipener C, Zamboni FJ, Nagoya FR, Leca R, Lewinski R. Clinical study of disposable contact lens wear: Brazilian experience. CLAO J. 1996;22(2):102-105. 

  2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fice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2005;6-15. 

  24. Erdmann CA, Steiner KC, Apte MG.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sick building syndrome symtoms in the base study revisited: analyses of the 100 building dataset. Indoor Air. 2002;443-448. 

  25.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2006;11-16. 

  26. Smedbold HT, Ahlen C, Norback D, Hilt B. Sign of eye irritation in female hospital workers and the indoor environment. Indoor Air. 2001;11(4):223-231. 

  27. Park SY, Kim CY, Kim JY, Sakong J. The health effects of formaldehyde during an anatomy dissection cours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18(3):171-178. 

  28. Krakowiak A, Grski P, Pazdrak K, Ruta U. Airway response to formaldehyde inhalation in asthmatic subjects with suspected respiratory formaldehyde sensitization. Am J Ind Med. 1998;33(3):274-2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