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요법이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의 생리적 지수,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hysiological Index, Anxiety and Dyspnea of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or Weaning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4 no.1, 2012년, pp.57 - 65  

신아라 (서울아산병원) ,  최명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hysiologic index, anxiety and dyspnea of patients who are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ors, and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Methods: The research format is repeated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양음악과 한국전통음악이 인공호흡기 이탈을 시도하는 환자의 생리적 지수,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러한 효과가 서양음악과 한국전통음악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한 대상자가 서양음악, 휴식, 한국전통음악에 모두 노출되는 중복 노출법인 반복측정설계(repeated measures design)이다. 또한 음악을 듣는 순서에 따른 이월효과(carry-over effect)를 줄이기 위해서 무작위법을 이용한 계통적 순번 교체법(counter balancing)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서양음악과 한국전통음악이 인공호흡기 이탈을 시도하는 환자의 생리적 지수,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한국전통음악이 서양음악에 비해 그 효과가 더 큰가를 밝히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의 생리적 지수와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러한 효과에 대한 서양음악, 한국전통음악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계통적 순번 교체법을 사용한 동일군 반복측정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하는 1개의 3차 전문병원 내과계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이탈기에 있는 환자로 총 21명이었다.
  • 음악요법이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의 불안과 호흡곤란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한국전통음악이 서양음악에 비해 이러한 효과가 더 큰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자발호흡이 주가 되는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요법의 효과를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서양음악을 주로 한 선행 연구와는 달리 한국전통음악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였고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에게 음악요법 특히 한국전통음악을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는데 더 큰 의의가 있다.
  • 음악요법은 치료목적을 달성하고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임상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음악을 이용하는 것(American Music erapy Association definition, 2005)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호흡기 이탈을 시도하는 환자의 불안과 생리적 지수를 안정시켜 인공호흡기 이탈을 성공시키기 위한 음악요법으로, 문헌을 참고하고 음악치료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선곡 배열하여 제작한 서양음악 MP3와 한국전통음악 MP3를 헤드폰을 이용하여 각 30분 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요법 적용도 인공호흡기 적용환자의 혈압, 심박동수, 호흡수가 정상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0)는 것도 정상범위 내에서 감소된 것이었다.실제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 중에 진정제나 혈압강하제 등을 투여하여 혈압, 심박동수,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임상에서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 중에 환자의 혈압, 심박동수,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약물주입 등을 포함하는 의학중재가 우선시되어 간호중재를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음악요법 적용도 인공호흡기 적용환자의 혈압, 심박동수, 호흡수가 정상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동질의 원리란 무엇인가? 음악은 청취자에게 여러 가지 반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역동적인 경험(White, 2000)으로, 음악이 치료에 사용되는 기본원리 중 동질의 원리(iso-modic principle;samemode principle)는 대상자의 기분이나 템포와 동질의 음악을 들려주어 관심을 이끈 다음, 치료적으로 바람직한 기분의 방향으로 음악을 전환시켜 가는 기법이다 (Aldridge, 1993). 이런 효과를 치유적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음악요법으로, 음악은 생리적으로 심박동수, 혈압, 호흡 및 면역기능과 스트레스 호르몬 등의 변화를 가져오고, 심리적으로는 상상력과 지능을 자극하여 두뇌에서 기분상태를 변화시켜 불안과 공포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악요법의 효능은 무엇인가? 음악은 청취자에게 여러 가지 반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역동적인 경험(White, 2000)으로, 음악이 치료에 사용되는 기본원리 중 동질의 원리(iso-modic principle;samemode principle)는 대상자의 기분이나 템포와 동질의 음악을 들려주어 관심을 이끈 다음, 치료적으로 바람직한 기분의 방향으로 음악을 전환시켜 가는 기법이다 (Aldridge, 1993). 이런 효과를 치유적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음악요법으로, 음악은 생리적으로 심박동수, 혈압, 호흡 및 면역기능과 스트레스 호르몬 등의 변화를 가져오고, 심리적으로는 상상력과 지능을 자극하여 두뇌에서 기분상태를 변화시켜 불안과 공포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merud, S., & Petersson, K. (2003). Music therapy-a complementary treatment for mechanically ventilated intensive care patient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9, 21-30. 

  2. Aldridge, D. (1993). The music of the body: Music therapy in medical settings. The Journal of Mind-Body Health. 9(1), 17-35. 

  3. Altose, M. (1985).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reathlessness. Chest, 88(2), 77-83. 

  4.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05).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music therapy. Retrieved December 1, 2007 from http://www.musictherapy.org/faqs.html. 

  5. Ayalon, L. (2007). The potential role of dependency in the weaning process: The case of a 57-year-old woman connected to a mechanical ventilator. Clinical Case Studies, 6, 459-467. 

  6. Blackwood, B., Alderdice, F., Burns, K. E. A., Cardwell, C. R., Lavery, G., & O'Halloran, P. (2010). Protocolized versus non-protocolized weaning for reducing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Review). The Cochrane Library, issue 7. 

  7. Bouely, G. H., Froman, R., & Shah, H. (1992). The experience of dyspnea during weaning. Heart Lung, 21, 471-476. 

  8. Chlan, L. L. (1995). Psychophysiologic responses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to music: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4, 233-238. 

  9. Chlan, L. L. (1998). Effectiveness of a music-therapy intervention on relaxation and anxiety for patients receiving ventilator assistance. Heart & Lung, 27, 169-176. 

  10. Chlan, L. L. (2000). Music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supported by mechanical ventilation. Advanced Practice in Acute and Critical Care, 11, 128-138. 

  11. Chlan, L. L., Engeland, W. C., Anthony, A., & Guttormson, J. (2007). Influence of music on the stress response in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2), 141-145. 

  12. Chlan, L., & Tracy, M. F. (1999). Music therapy in critical care : Indications and guidelines for intervention. Critical Care Nurse, 19(3), 35-41. 

  13. Cline, M. E., Herman, J., Show, E. R., & Morton, R. D. (1992).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41, 378-380. 

  14. Davis, W. B., Gfeller, K. E., & Thaut, M. H. (2008).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3rd ed.). Silver Spring, MD: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Inc. 

  15. Haas, F., Distenfeld, S., & Axen, K. (1986). Effects of perceived musical rhythm on respiratory patter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1, 1185-1191. 

  16. Han, L., Li, J. P., Sit, J., Chung, L., Jiao, Z. Y., & Ma, W. G. (2010).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 and anxiety level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Chin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978-987. 

  17. Hess, D., & Kacmarek, R. M. (2002). Essential of mechanical ventilation (2nd ed.). New York: McGraw-Hill. 

  18. Jaber, S., Bahloul, H., Guetin, S., Chanques, G., Sebbane, M., & Eledjam, J. J. (2007). Effects of music therapy in intensive care unit without sedation in weaning patients versus non-ventilated patients. Annales Francaises D Anesthesis Et De Reanimation, 26(1), 30-38. 

  19. Kim, Y. K. (2010). The Mozart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 Lee, M. H. (2003). An introduction to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Jungdam media. 

  21. Lee, O. K. A., Chung, Y. F. L., Chan, M. F., & Chan, W. M. (2005). Music and its effect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anxiety levels of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 pilot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4, 609-620. 

  22. Lee, S. C., Kwun, D. W., Baek, I. H., & Hwang, H. J. (1994). An introduc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plain words. Cheongwon-Gun: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23. Lindgren, V. A., & Ames, N. J. (2005). Caring for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What research indicates is best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5(5), 50-60. 

  24. Mancebo, J. (1996). Weaning froming mechanical ventilation.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9, 1923-1931. 

  25. Ramsay, M. A. E., Savege, T. M., Simpson, B. R. J., & Goodwin, R. (1974). Controlled sedation with alpaxalone-alphadolone. British Medical Journal, 2, 656-659. 

  26.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ew York: Academic Press, 23-46. 

  27. Thomas, L. A. (2003). Clinical Management of stressors perceived by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AACN Clinical Issues: Advanced Practice in Acute and Critical Care, 14, 73-81. 

  28. White, J. M. (2000). State of the science of music interventions. Critical care and perioperative practice.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2, 219-225. 

  29. Wong, H. L., Lopes-Nahas, V., & Molassiotis, A. (2001).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in ventilator-dependent patients. Heart & Lung, 30, 376-3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