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 강도별 동일 회복이 혈중 Cortisol과 Catecholamine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ame recovery with individual exercise intensity on the variation of Cortisol and Catecholamine in their bloo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5, 2012년, pp.2232 - 2239  

신원 (인천대학교 운동건강과학부) ,  최원호 (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개인별 $VO_2max$에 대한 운동 강도 $VO_2max$의 20%, 40%, 60% 운동 후 동일 휴식(30분)이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 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10명을 선발하여 사전 실험인 예비테스트와 본 실험으로 나누어 실험에 임하였다. 가스분석기로 얻은 $VO_2max$를 자료로 사용하여 각각의 개인별 $VO_2max$에 대한 운동 강도를 구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본 실험은 반복측정으로 3개 조로 구분하여 실험하였으며 채혈은 운동전, 운동 직후, 휴식 30분 후에 채혈 하였다. 1회 실험마다 개인당 총 3회 채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 강도별 코티솔 혈중 농도는 $VO_2max$ 20%, 40%의 두 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운동 강도 $VO_2max$ 60%에서는 유의 수준은 p=.0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운동 강도별 카테콜라민 혈중 농도는 $VO_2max$ 20%, 40%의 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VO_2max$ 60%에서 유의 수준은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측정 시기별 운동 강도간 운동 직 후와 휴식기에 혈중 코티솔 농도의 변화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측정 시기별 운동 강도간 운동 직 후와 휴식기에 혈중 카테콜라민 농도의 변화율에서는 운동 직후 p=.000과 휴식기에서는 p=.034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 강도별 운동 후 동일 휴식에 있어서 $VO_2max$ 60%의 운동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변화율에서도 $VO_2max$ 60%에서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강도의 운동 후 휴식은 중등도 이상의 운동 강도에서만 휴식의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즉 휴식은 중등도 운동에서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ame amount of resting(30 minutes) after $VO_2max$ 20%, 40%, and 60% exercise on the variation of cortisol and catecholamine, serum stress hormones. The research effor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강도별 동일 회복 시간이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현장에서 운동 재활하는 일반인 및 선수들에게 강도별 운동재활 후 회복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강도별 동일 회복이 혈중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그리고 카테콜라민은 VO2max 20%, 40% 강도에서는 운동 후 감소하였지만 VO2max 60% 운동 강도에서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 하고자 한다. 신체적 스트레스로 인해 코티솔은 신체가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 급격하게 증가된다(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건강의 저해 요인 중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는 신체적, 심리적 자극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건강에 미치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중요성 때문에 개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매우 높은 농도의 코티솔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특히 자신의 체력수준에 적합한 운동을 수행하면 건강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되지만, 체력수준에 맞지 않은 운동은 신체에 심적 부담과 상해를 유발한다. 매우 높은 농도의 코티솔은 발열을 억제하고 면역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혈중 코티솔 수준이 높으면 궁극적으로 조직 파괴의 원인이 되고, 신체의 부정적인 질소 평형상태를 야기 시킨다(1).
운동 강도별 동일 회복이 혈중 코티 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결론은 무엇인가? 첫째, 운동 강도별 시간 변화에 따른 코티솔 혈중 농도는 VO 2 max 20%, 40%의 두 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운동 강도 VO 2 max 60%에서는 유의 수준은 p=.0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운동 강도별 시간변화에 따른 카테콜라민 혈중 농도는 VO 2 max 20%, 40%의 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VO 2 max 60%에서 유의 수준은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측정 시기별 운동 강도간 운동 직 후와 휴식기에 혈중 코티솔 농도의 변화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측정 시기별 운동 강도간 운동 직 후와 휴식기에 혈중 카테콜라민 농도의 변화율에서는 운동 직 후 p=.000, 휴식기에서는 p=.034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 강도별 운동 후 동일 휴식에 있어서 VO 2 max 60%의 운동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 으면 변화율에서도 VO 2 max 60%에서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ostill, D.L., Thomas, R, Roberg, R.A., (1991). "Adapttions to swimming training : influence of training volum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3, 371-377. 

  2. Kim Gwang-jin, Gil Mi-jeong, Kim Hyeong-deuk, Song Jeong-seop, Yu Eun-ha, Jo Jeong-geon, Jeong Sun-jin, Na Gi-jeong, and Jeong Eui-bae(2006), "The Effects of Cut Flowers and Essential Oil Scents on the Concentration Reduction of Cortisol, a Stress Hormone," Kor. J. Hort. Sci. echnol. 24(3) : 417-424. 

  3. Burchfield, S. R.(1997). The stress responese : "A new perspective". Psychosomatic Medicine. 41, 661-672. 

  4. Eun hee-grown(1997). "Thr effect og coping stycles on catecholamine recovery following the stress of cognitive uncontrol", The '97 East asian sports scientific congress. 400-406. 

  5. Davies, C,T & Few, J.D. (1981), "Effect of exercises adrencortical function". J. Appl. Physiol. 30:10-19. 

  6. Park Mi-suk(2004), "The Effects of Korean Dance on Middle-Aged Women's Stress Hormones, Blood Pressures, and Blood Stream Variables in the Common Carotid Artery," a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1), "A Study on Businessmen's Stress Levels, Development of Stress Reducing Programs, and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Kim Hyeon-seop(2004),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Music after Submaximal Exercise on Hormones and Heart Rates," a master's dissert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Sports at Daejeon University. 

  9. Hwang Ae-ran(1990), "Physiological Reactions during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38-44. 

  10. Galbo, H., et al(1983). "Hormonal and metavolic adaptation to exercise", New YORK; Thieme and Stratton Inc., 58-63. 

  11. Farrell, P. A., Garthwaite, T. L., & Gustafson, A. B.(1983). "Plasma adrenocorticotrophin and cortisol response to submaximal and exhaustive exercis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55(5), 1441-1444. 

  12. Jin Yeong-su(1992), "The Effects of Exercise on the Body's Immune Functions and Endocrine System," an unpublished dissert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Galbo, H., & Gollnick, P. D.(1984). "Hormonal changes during and after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7, 97-110. 

  14. Kjaer, M., Farrell, P. A., Christensen, N. J., & Galbo, H(1986). "Increased epinephrine response and inaccrate glucoregulation in exercising athletes". Joumal of Applied Physiology, 61(5), 1693-1700. 

  15. Petraglia F, Barletta C(1988). "Response of circulating adrenoco rtico tropin, beta-endorphin and cortisol to athletic competition", Acta Endocrinologica, 118:332-336. 

  16. Kjaer, M.(1989). "Epinephrine and some other hormonal response to exercise in man with special reference to physical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0, 1-16. 

  17.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1988). "Resource Ma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Philadelphia: Lea & Febiger, United State of America, 358. 

  18. Ganong, W. F.(1993).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10th ed. Califonia: Lange Med. Pub. 

  19. Davies, J. A.(1985). Anaerobic threshold; a review of the concept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Med. Sci. Sports Exercise, 17:6-18. 

  20. Kim Byeong-wan(1999), "The Effects of Training Methods on Lipid Metabolism and Secretion Reactions in the Immune System according to Exercise," a doctoral dissertation at Dankook University. 

  21. Bassey, E.(1990) "Benefits of Exercise: the Evidence". New York,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 Yun Jae-ryang(1993), "The Effects of Running Exercise on Hormone Reactions and Mood Changes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a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3. Farrell, P. A,. Gustafson, A.B., Morgan, W.P., & Pert, C.B(1987) "Enkephalins, catecholamines, and psychological moodalterations : effect of prolonged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19(4):347-353. 

  24. Shephard, R.J. & Shek, P.N.(1999). "Exercise, Immunity, and susceptibility to infection." The Phys. and Sports med, 27(6):47-71. 

  25. Hartley, L.(1983). "Multiple Hormonal Responses to Graded Exercise in Relati on to Physical Training", J. Appl PHYSIOL, 33:670-610 

  26. Mc Carthy, D.A. Snyder, A.C., Foster, C. & Wehrenberg. W.B.(1988). "The leukocytosis of exercise" : A review and model. Sports Medicine, 6:333-363. 

  27. Handley, M. E.(1992). "Endocrinology. Third edition". Prentice-hall. Inc. Simon & Schuster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