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3, 2015년, pp.43 - 51  

박선아 (전북과학대학교 건축토목조경계열) ,  정문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삭막한 도시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는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거나 건강을 악화시키는 반면, 자연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준다. 자연을 통한 치유프로그램은 활동공간의 특성에 따라 숲치유와 원예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연계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각 프로그램의 효과와 차이점을 밝혀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은 숲치유 5명, 원예치료 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5일간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혈압, 맥박, 코티솔 변화량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반응은 기분상태검사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분산분석(ANOVA)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숲치유와 원예치료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 2) 숲치유는 원예치료보다 생리적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에 더 효과적이고, 3) 원예치료는 숲치유보다 우울감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각 치유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sses from desolate urban environments cause illnesses and worsen health conditions of urban residents, while natural environmen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uman. Natural healing programs such as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characteristic of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연을 대상으로 한 치유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생리적·심리적 반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 1997).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자연물을 활용한 일반인들의 치유로 원예치료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치유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효과와 차이를 실증적 실험을 통해 밝힘으로써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비통제환경인 숲에서 이루어지는 숲치유와 통제환경인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원예치료 이후 나타나는 피험자의 생리적·심리적 반응을 통해 치유프로그램에 따른 효과와 차이점을 명료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숲치유란 무엇인가? 숲치유는 숲의 다양한 환경요소와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써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원예치료란 무엇인가? 원예치료는 실내와 실외에서 식물의 재배에 초점을 둔 원예활동을 통해 치료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써, 정신장애인이나 정신지체아에게 원예 활동을 시키는 과정에서 그 효과가 주목되기 시작하면서 비롯되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됨에 따라 특정대상을 위한 전문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치유도 포함하고 있다(Sonet al., 1997).
도시의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구조가 사람들에게 주는 스트레스로 인해 어떤 증상이 발현될 수 있는가? , 2007). 이러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신체화 증상, 강박증, 대인 예민성, 우울증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나게 되며(Kim et al., 1989), 반복되거나 장기화되면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킨다(Kim,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am, E. K., B. Klimes-Dougen and M. R. Gunnar(2006) Social regulation of stress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and education. In D. Coch, G. Dawson, and K. Fisher, Human Behavior and the Developing Brain: Atypical Development. New York, NY: Guiford Press. 

  2. Beck, A. T.,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3. Beck, A. T., N. Epstein, G. Brown and R. A. Steer(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93-897. 

  4. Byeon, Y. J. and C. K. Kim(2007) Effects of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on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3): 255-276. 

  5. Choi, Y. M., S. B. Kimand N. W. Yang(2004)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founda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dementia facil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 323-326. 

  6. Han, K. H., S. M. Lee and J. K. Seo(2009) An analysi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elements on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paper.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2(4): 21-29. 

  7. Herzog, T. A., M. Black, K. A. Routaine and D. J. Knotts(1997) Reflection and attentional recovery as distinctive benefi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2): 165-170. 

  8. Jung, N. R.(2013) An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Healing.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9. Kang, Y. J.(2003)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the Patient-Centered in the General Hospital as an Healing Environment. Master Degree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0. Kaplan, H. I.(1987) Aesthics, affect &congition: Environmental preference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 and Behavior 19(1): 3-32. 

  11.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Kim, K. M(2012) Study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Types of Recreational Forest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im, Y. C., H. K. Chung and S. H. Lee(1989) A study on psychiatric symptoms and physical condition in normal subjec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2): 282-291. 

  14. Kim, Y. J.(1999) Powerlessness of the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Master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won, S. M.(1992) Differential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utonomic Thoughts in Depression: An Ingegrated Congnitive Model of Depression. Ph.D.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Australia. 

  16. Lee, E. D., S. J. Park, R. H. Yoo and S. J. Hong(2011)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Korean Institution of Forest Recreation 15(2): 101-109. 

  17. Lee, S. M.(2006)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to Each Client and the Economic Value by Income Approach. Ph.D. Dissertation, Dankuk University, Korea. 

  18. Lee, Y. H. and J. Y. Song(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19. McNair, D. M., M. Lorr and L. F. Droppleman(1992)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20. McNaire, D. M. and M. Lorr(1964) An analysis of mood in neurotic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9: 620-627. 

  21. Min, B. W.(2013) Healing landscape design for hospital outdoor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82-92. 

  22. Park, B. J.(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3. Shin, W. S., P. S. Yeoun and J. H. Lee(2007) The impact that a forest experience influences on a human mental state stability. The Korean Institution of Forest Recreation 11(3): 37-43. 

  24. Son, K. C., S. K. Park, H. O. Boo, K. Y. Paek, K. Y. Bae, S. H. Lee, and B. G. Huh.(1997) Horticultural Therapy. Seoul: Sewon Press. 

  25. Yeun, E. J., K. K. Shin-Park(2006)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2(9): 1173-1180. 

  26. Yook, S. P. and Z. S. Kim(1997)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1): 185-187. 

  27. 미국원예치료협회 http://www.ohta.org 

  28. 통계청 http://www.kostat.go.kr 

  29.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http://www.khta.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