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러닝 환경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관한 연구
A Survey Study on Learning Behavioral Styles of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37 no.1, 2012년, pp.107 - 124  

윤자룡 (원광대학교) ,  김연진 (대전송강중학교) ,  남승권 ,  최완식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적합한 e-러닝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중 e-러닝 경험이 있는 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e-러닝 학습행동양식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학습행동양식, 성별, 학년별, 그리고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e-러닝 학습행동양식을 검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에 차이가 있다. 영재학생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행동형(EDSLBS)의 비율은 높았으며, 독자적 자율 학습행동형(EISLBS)의 비율은 낮았다. 이를 통해 영재학생들을 위한 e-러닝 환경을 설계할 때에는 학생들이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교수자와 항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 학년별,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e-러닝 학습행동양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 기관에서 e-러닝 교육을 할 때에는 일반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할 때와는 달리 영재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한 후 각 영재학생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영재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소극적 학습행동형(PLBS)이 가장 많았으며, 그 비율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e-러닝 환경을 설계할 때 특히 소극적 학습행동형 학생을 가장 많이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pedagogical resources for designing the optimum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e-Learning through the survey study on learning behavioral styles (LBS) of the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And the major r...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김미영 외 (2006). 대학생의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332-349. 

  2. 김은정 (1999). 학습양식의 유형 및 구성요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배수진 (2001). e-learning. 정보통신산업동향, 2, 167-179. 

  4. 윤여홍 (2003) 영재의 지적, 정의적 특성. 영재 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5. 이인숙(2002). e- 러닝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음사. 

  6. 조은순 (2002). 최상의 학습 성과를 위한 e-러닝의 활용. 한국능률협회. 

  7. 차윤영 (2008). e-러닝에서의 학습행통양식에 대한 조사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한태인, 김동식 (2003). e-learning 산업의 현황과 우리의 대응. 정보 통신 정책 ISSUE, 14(6). 

  9. Berry, J. (2000). Traditional training fades in favor of e-Learning: Internet Economy Demands a more flexible training Approach. The 2000/2001 ASTD Distance learning yearbook, NY: McGraw-Hill. 

  10. Choi, W., Ahn, K. & Rho, T. (2007).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Tool of Learning Behavioral Style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Proceedings of the 69th Annual Conference of 2007 ITEA, in San Antonio. 

  11. Dunn, R. S., Dunn, K. J. & Price, G. (1979). Learning Style Inventory. KS: Price Systems. 

  12. Grasha, A. F. & Reichman, S. W.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strument. The Journal of Psychology, 87, 213-223. 

  13. Gregorc, A. F. (1979). Learning-teaching style: Potent forces behind them. Educational Leadership, 36(4), 19. 

  14. Kagan, J. & Havreven, K. K. (1978). The family. New York: Norton Company. 

  15.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New Jersey: Prentice Hall. 

  16. Riding, R. J. & Cheema, I. (1991). Cognitive styles: An Overview and Integration. Education Psychology, 11(3), 193-215. 

  17. Ritchie, D. & Hoffman, B. (1996). Using l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o Amplify Learning on the World Wide Web.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al Annual. 

  18. Rosenberg, M. J. (2001).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London: McGraw-Hill. 

  19. Schmeck, R. R. (1988).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tyles. New York: Plenum Press. 

  20. Simms, R. R. et al. (1995). The lmportance of Learning Styles. Greenwood Press. 

  21. Urdan, T. A. & Weggen, C. C. (2000). Corporate E-Learning: Exploring a new frontier. San Francisco: WR Hambrecht+Co. 

  22. Walter, S. B. (1999). e-learning: A Catalyst for Competition in Higher Education, IMP. 

  23. Weinstein, C. E. & Mayer, R. E. (1986).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The hand book of research on teaching.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