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93 - 100  

이외선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을 개발 적용하여 비판적사고 성향, 의사소통 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의 실험 연구로 G도 소재 간호대학생 4학년 5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6월10일 부터 8월19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은 4개의 실습 모듈을 이용하여 6-8시간/일, 총 60시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을 이용하여 빈도, pari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전 후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후 임상수행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r=.628, p<.001), 의사소통(r=.716, p<.0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r=.650, p<.001)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을 높일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의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practice that enhances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설계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을 적용 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 실험연구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은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의사소통능력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핵심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은 간호대학생이 간호실무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과 태도 등의 핵심간호역량을 갖추도록 준비시켜 향후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역량 있는 간호사로 양성하는 그 목적이 있다[1].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은 현실과 유사한 환경에서 모형이나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과업을 습득하는 훈련이며 관찰자, 동료, 환자 그리고 비디오 카메라의 피드백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다[3]. 시뮬레이션 실습의 장점은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실제 임상과 유사한 상황을 재현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간호술기를 표준화시켜 반복 연습 할 수 있다는 점이다[3].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은 현실과 유사한 환경에서 모형이나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과업을 습득하는 훈련이며 관찰자, 동료, 환자 그리고 비디오 카메라의 피드백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다[3]. 시뮬레이션 실습의 장점은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실제 임상과 유사한 상황을 재현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간호술기를 표준화시켜 반복 연습 할 수 있다는 점이다[3]. 또한 학생 스스로 자신이 수행한 간호중재의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 및 피드백 받음으로서 비판적 사고, 임상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이 향상 된다는 이점이 있다[4, 5]. 환자중심의 간호를 수행하는 역량 있는 임상간호사를 배출하려면 간호대학 학부과정에서 실습교육은 강화되어야 하고 그 하나의 전략이 시뮬레이션의 도입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 Chan.,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1, no. 1, pp. 69-75, 2002. 

  2. H. K. Hur, S M. Park, Y. H. Shin, Y. M. Lim, G. Y.Kim, K. K. Kim.,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228-240,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28 

  3. J. J. Yang.,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4, pp. 548-560, 2008. DOI: http://doi.org/10.5977/jkasne.2012.18.1.014 

  4. J. J. Yang.,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14-24,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14 

  5. Y. J. Oh, H. Y. Kang.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0, no. 3, pp. 239-247, 2013.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39 

  6. E. Y. Suh,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tilizing Human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206-219.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06 

  7. S. Y. Jung., The Structural Model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6, pp. 3333-3352, 2013. 

  8. O. S. Lee, M, O. Gu, M. J. Kim.,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6, no. 1,, pp. 380-388.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380 

  9. D. Y. Chung.,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about Student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2012. 

  10. D. H. Kim, Y. J. .Lee, M. S. Hwang, J. H. Park, H. S. Kim, H. G. Cha.,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3, pp. 499-509.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3.499 

  11. E. H. Choi, H. S. Byun, E. H. Kim, H. S. Keum,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on Problem-Solving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Crisisonomy, vol. 12, no. 6, pp. 125-141, 2016. 

  12. J. M. Kim, Y. S. Cho, Effect of practice education using the simulator,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4, pp. 263-270.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4.263 

  13. S. Y. Han,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Acute Chest Pai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5, no. 3, pp. 1515-1521,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515 

  14. S. M. Chae, K. S. Bang, J. U. Yu, J. H. Lee, H. J. Kang, I. J. Hwang, M. K. Song, J. S. Park,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Asthm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298-307, 2015. 

  15. S. K. Chung, K. A., Kim,. E. Y. Jeong,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23(2), pp. 186-194. 2016. 

  16. Y. G. Park, S. H. Park, M. J. Park.,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Clinical Practicu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3, pp. 1711-1724, 2015. 

  17. J. Y. Kim, N. R. Heo, H. J. Jeon, D. Y. Jeong,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 About the Elderly for Nursing Students: A learning approach based on an elderly-with-cognition-disorder scenario,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1, pp. 54-64,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54 

  18. B. N. Kim, S. O. Kim.,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 focused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2, 154-166, 2014.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54 

  19.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pp. 1149-1160, 2009. DOI: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0. J. Yu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4. 

  21. Rubin, R, B,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 M. Phillips & J. T. Wood(Ed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unication the 75th antiversit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p. 94-129, 1990. 

  22. K. H. Hu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 47, no. 6, pp. 380-408, 2003. 

  23. W. H. Lee, C. J. Kim, J. S. Yoo, H. K. Hur, K. S. Kim, & S. M. Lim.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Journal Nursing Science, 13, pp. 17-29, 1990. 

  24. M. S.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25. J. H. Kim, I. H. Park , S. J. Shin,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3, pp. 307-319,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07 

  26. S. H. Kim, Y. S. Ham,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308-319,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308 

  27. S. G. Kim,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High-risk neonatal Care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6, no. 10, pp. 6807-6815,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6807 

  28. S. M. Park, I. G. Kwon,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6, pp. 863-87, 2007. DOI: https://doi.org/10.4040/jkan.2007.37.6.863 

  29. E. H. Ha, H. S. Song,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4, pp. 445-454,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445 

  30. I. S. Kim, Y. K. Jang, S. H. Park, S. H. S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337-345,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337 

  31. J. Y. Lee, Y. M. Lee, S. Y. Park, M. J. Lee, Y. H. Jung,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tres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4, pp. 606-616,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06 

  32. M. S. Lee, S. W. Hahn,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2, pp. 226-234,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2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