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신도제제도의 개념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nstituents of the New Apprenticeship Concept for the Promotion of Industrial Growth Potential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38 no.1, 2013년, pp.1 - 27  

윤자룡 (충남대학교) ,  노태천 (충남대학교) ,  최완식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산업 현장에의 보다 발전된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직업교육 전문가들을 통해 델파이 조사를 하고 신 도제제도의 구성 영역과 요소들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조사 연구의 경우 총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이루어 졌다. 제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8개의 구성 영역과 64개의 하위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그 후 추가적인 2차례(2, 3차)의 델파이 조사에서는 델파이 패널의 수정 의견, 제 2차 조사 결과의 내용 타당도 분석 결과, 그리고 전문가 자문 위원회의 검토 결과를 종합하여 문항을 추가, 삭제, 통합, 재진술, 이동 등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인 신 도제제도의 구성 영역과 요소들(총 6개 구성 영역, 41개 하위 요소)을 추출하였으며, 각 영역과 요소들의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추출한 신 도제제도의 각 영역과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순위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연구의 구체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출된 6개의 구성 영역 중 A. 기술 기능적 영역에서는 기술 기능의 현장 적용 능력, 새로운 기술 기능 습득, 품질 확보 능력, 연구 개발 능력, 자원 관리 활용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핵심 기술 기능 이해 능력, 아이디어의 형상화 표현력, 창의적 디자인 능력, 총 9개의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B. 제도적 영역에서는 탄력적 인적 물적 지원, 명확한 업무분장, 객관적인 성과평가, 사제간 책임과 의무의 제도화, 직무발명 보상의 제도화, 총 5개의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C. 정의적 영역에서는 사제와 동료 간의 예절 및 협동심, 직업에 대한 가치관, 기술에 대한 기본자세, 직업윤리 의식, 다른 조직에 대한 존중, 조직변화에 적극적 대응, 기술 계승자로서의 태도, 봉사 정신, 총 8개의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D. 자기 계발 영역에서는 자기 평가 및 성찰, 조직 이해력 함양, 진로 설계와 개발 능력, 건전한 인생관, 의사소통 능력, 의사결정 능력, 개인역량 증진 제도 마련, 자기 통제력 향상, 돌발 상황에 대처, 총 9개의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E. 지식적 영역에서는 해당분야의 기초 지식, 신기술, 선행기술에 대한 지식, 지식의 융합 및 이전, 실천적 지식, 총 4개의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F. 환경적 영역에서는 기업 환경에 대한 인식, 교육 및 실천 환경의 이해, 도제의 기업 수요 이해,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노동시장 변화에 적응력,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같이 총 6개의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reas and their constitute elements of new apprenticeship through the expert of vocational education to improve the growth potential in the field of industry. Through the three times Delphi research process final composing areas and elements(total 6 ar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설립 목적은? 한국의 최대 인터넷 기업인 NHN은 산업 현장에 더욱 적합한 기술기능 인력을 발굴하기 위하여 '대학 교육을 신뢰할 수 없다'며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 인력을 직접 키우겠다고 나서 1000억 원을 투자하여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설립하였고, 교육 과정을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실무 위주로 구성하였다. 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정하는 정식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정식으로 학력을 인정받을 수는 없지만,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학생들을 뽑아도 2∼3년간의 재교육이 필요하다'는 현실과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동시에 재교육하였을 때 오히려 비전공자들이 더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Müler에 따른 OECD 국가에서 고급 능력을 갖춘 고용인의 비율은? Müler(20 9)에 따르면 OECD 국가에서 고급 능력을 갖춘 고용인의 비율은 평균적으로 대략 20% 정도이다. 그러나 대학 졸업생이 고급 직업기술 능력을 요구하는 직업에 고용될 가능성은 40%에서 90%를 보여서 큰 차이가 있지만, 40%라고 하는 국가에서 거의 'College for All'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도제제도를 통해 현지 학교와 협조를 통해 무엇을 이룰수 있는가?? 赵志群(2009)에 의하면, 도제제도를 통하여 기업훈련과 신입사원 모집에 대한 투입을 줄일 수 있다. 현지 학교와의 협조를 통하여 기업의 명성을 점차로 높이고, 학생 지도를 통하여 기업체 종업원들의 성취감을 향상시키며, 일의 동기부여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도제제도를 통하여 중 고등학교 학생의 중퇴 비율이 점차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정부의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추진도 높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송창용, 김민경(2009). 주요국의 직업교육 동향. The HRD Review, 12(1), 1-2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3. 임언(2009). OECD 국가의 직업교육 유형별 진로지도 현황 비교. 직업능력개발연구, 12(2), 1-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金志霖(1996). 英國行會史. 上海: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5. 石偉平(2001). 比?職業技術?育. 上海: 華東師范大學出版社. 

  6. 熊萍(2004). 走?現代學徒制: 英國, 澳大利亞現代學徒制?究. 上海: 華東師范大學, 31. 

  7. 趙志群(2009). 職業?育的工學結合?現代學徒制. 織敎論檀, 2009/ 24, 1. 

  8. 細谷俊夫(1983). 技術敎育?論. 肇永和, 王立精 譯(中文). 北京: ?華大學出版社. 

  9. Anderson, D. (1997). Strands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harles Peirce. West Lafayette, Indiana: Purdue University Press. 

  10. Barab, S. A. & Duffy, T. M. (2000). From Practice Fields to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Mahwah, New Jersey: LEA, 25-56. 

  11. Bell, D.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New York: Basic Books. 

  12. Bland, A. E., Brown, P. A. & Tawney, R. H. (1914). English Economic History: Select Documents.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13. Brown, B., Cochran, S. & Dalkey, N. (1969). The Delphi Method II: Structure of Experiments (Report No. RM-5957-PR).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14. Brown, J. S., Collins, A. S.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15. CEDEFOP. (1995). Apprenticeship in the EU member states. Berlin : European Centre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16. Clancey, W. J. (1993). Situated Action: A Neuropsychological Interpretation Response to Vera and Simon. Cognitive Science, 17(1), 87-116. 

  17. Clarke, L. (1999). The changing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apprenticeship with special reference to construction. in Ainley, Patrick & Helen Rainbird. Apprenticeship: towards a new paradigm of learning. London : Kogan Page Limited, 32-33. 

  18. Clases, C., Endres, E. & Wehner, T. (1996). Situiertes Lernen zwischen Praxisgemeinschaften. Harald Geissler: Arbeit, Lernen und Organisation. Weinheim: Deutscher Studienverlag. 233-252. 

  19. Coates, J. F. (1976). Technology Assessment - a Tool Kit. Chemtech. June, 372-383. 

  20. Dalkey, N. C. (1969).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eport No. RM-5888-PR).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1. Greeno, J. G. & Moore, J. L. (1993). Situativity and Symbols: Response to Vera and Simon. In: Cognitive Science 17(1-6). 9-58 

  22. Hutchins, E. (1995). Cognition in the Wild. Cambridge, Mass: MIT Press 

  23. Kirshner, D. & Whitson, J. (1997). Situated Cognition. Social, Semio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Mahwah: Erlbaum 

  24.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6.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Muller, N. (2009). Akademikerausbildung in Deutschland: Blinde Flecken beim internationalen OECD-Vergleich. Zeitschrift BWP vom Bundesinstitut fur Berufsbildung (BIBB). Ausgabe 2009/2. 42-46. 

  28. NCVER. (2001). Australian Apprenticeship and Trainee Statistics. Adelaide: NCVER, 3. 

  29.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78). Ps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30. Rauner, F. & Maclean, R. (2008). Handbook of TVET Research. Dordrecht: Springer. 

  31. Resnick, L. B., Levine, J. M. & Teasley, S. D. (1991). Perspectives on Socially Shared Cognition.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 Rogoff, B. (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3. Scoot, J. L. (2008). Overview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American Technical Publisher, Inc. 

  34. Scott, H. F. (1914). Historical Essays on Apprenticeship and Vocational Education. Ann Michigan: Arbor Press. 

  35. Slack, P. (1995). The English Poor Law 1531-178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Steedman, H. (2005). Apprenticeship in Europe: Fading or Flourishing? London: Centre for Economic Performance, 12. 

  37.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