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58명의 학생이었으며, 연구는 2013년 6월 24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과 교육효과(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실습만족도, 자신감)를 조사하였으며, 서술통계, t-test, ANOVA, Mann-Whitney U 검정, Kruskal-Wallis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은 수렴자 46.6%, 융합자 34.5%, 적응자 15.5%, 분산자 3.4%이었다.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은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협력, 자신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습유형에 따른 교육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기초로 학습유형과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involving one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for evaluation of an effectiveness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Participants were 58 senior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olb[28]의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효과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각 학습유형에서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학습유형에 따른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효과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습유형이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효과에 어떠한 차이를 주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인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은 추상적 개념화와 반성적 성찰의 강한 성향을 보이는 융합자와 수렴자 학습유형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는 Kolb[28]의 학습유형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받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각 학습유형에서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차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우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학습유형별 학습자의 차이를 고려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95, 그룹 수 4로 계산한 결과를 기준으로 최소 표본 수 56명이 산출되어,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58명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충족하는 표본 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과크기를 0.58로 크게 설정한 이유는 본 연구와 유사한 주제의 선행연구가 미비하고, 4회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하였기 때문에 학습유형 네 군간 교육효과의 평균에 차이가 클 것임을 가정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유형이란? 학습유형은 학습자 자신이 더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한 학습 선호 (learning preference)를 의미하는 것으로 학습자는 자 신이 선호하는 유형을 중심으로 학습하게 된다[18]. 일 반적으로 학습자의 학습유형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 나 성숙과 환경자극에 따라 질적 변화가 있을 수 있다 [19].
시뮬레이션 교육이란?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습자의 실무수행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 력, 임상추론과 같은 높은 수준의 인지적 사고를 향상 시켜 임상적 판단 기술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효 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학생들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1][2]. 특히, 시뮬레이션 교육은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철학에 기반을 둔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전략으로 협력 학습을 강조하며 학습 자 자신의 사고와 학습에 대한 반성을 학습조건으로 하 고 있어 학습자에게 소그룹 활동, 협력학습, 능동적 학 습자로서의 참여 및 비판적·반성적 활동을 요구하는 교 수학습 방법이다[3].
교육과정 중 무엇이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높이는 직무인가? 특 히,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간호대학생들의 경험을 분 석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과 임상 상황에 대한 통찰력의 증진을 시뮬레이션 교육의 주목할 만한 효과로 보고하고 있다[9][10]. 신규 간호사의 직무가운데 응급상황관리는 긴급도가 높은 간호직무임에도 불구하고 간호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 행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주원인으로 작용한다[11]. 그러나 간호대학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동안에 간호학생들이 응급상황관리 를 직접 관찰하거나 실습할 수 있는 기회는 점점 감소 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 A. Blum, S. Borglund, and D. Parcells,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 J Nurs Educ Scholarsh, Vol.7, 2010. 

  2. 허혜경, 노영숙,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제5호, pp.574-584, 2013. 

  3. P. R. Jeffries,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 Educ Perspect, Vol.26, No.2, pp.96-103, 2005. 

  4. 이경화, 고진영, 최병연, 정미경, 박숙희,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2nd ed.), 교육과학사, 2011. 

  5. 허혜경, 박소미, 신윤희, 임영미, 김기연, 김기경, 최향옥, 최지혜,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28-240, 2012. 

  6. 이주희, 최모나,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임상추론 교과목의 적용효과: 일 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9, 2011. 

  7. 정승은, 이순희,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 경험", 질적연구, 제11권, 제1호, pp.50-59, 2010. 

  8. J. R. Hyland and M. C. Hawkins, "High-fidelity huma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guide for implementation," Teach Lear Nurs, Vol.4, pp.14-21. 

  9. 허혜경, 박소미,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1-119, 2012. 

  10.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3-193, 2009. 

  11. 강익화, 이은자, "효율적인 임상 간호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신규간호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가천길대학 논문집, 제29호, pp.59-73, 2001. 

  12. R. P. Cant and S. J. Copper,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 Adv Nurs, Vol.66, No.1, pp.3-15, 2010. 

  13. 강희영, 최은영, 김해란, "간호학생의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5-15, 2013. 

  14. K. Lasater,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 J Nurs Educ, Vol.46, pp.269-276, 2007. 

  15. 선광순,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교수방법 선호도", 한국전문대학교육연구학회논문집, 제13권, 제1호, pp.1-12, 2012. 

  16. 이신동, "Kolb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125-144, 2005. 

  17. 이동엽, "학습유형별 웹 기반 수업 선호 영향요인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1호, pp.63-89, 2011. 

  18. D. A. Kolb, Experiment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1984. 

  19. 안경주, "국내 간호학과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선호하는 학습방법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3-22, 2007. 

  20. 임세영, 이병철, 최현숙, 안미선, 이웅일, "Kolb 학습유형검사의 한글버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제4권, 제1호, pp.30-44, 2012. 

  21. 김미정, 임차영, "치위생과학생의 Kolb 학습유형과 자기조절 학습전략",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원, 제2호, pp.343-350, 2013. 

  22. 김지윤, 최은영, "문제중심학습 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00-206, 2009. 

  23. 양선희, 하은호, 이옥철, 심인옥, 박영미, 남현아, 김정숙,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비판적 사고성향",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34-342, 2012. 

  24. 홍선연,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5. 김지윤, 최은영, "시뮬레이션 실습이 접목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PBL 학습요소별 인식과 학업성취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5호, pp.731-742, 2008. 

  26. S. Novak, S. Shah, J. P. Wilson, K. A., Lawson, and R. D. Salzwman, "Pharmacy students' learning styles before and after a problem-based learning experience," Am J Pharm Educ, Vol.70, No.4, pp.1-8, 2006. 

  27. 김순옥, 박소영, "일 대학 간호학생의 학습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046-1057, 2013. 

  28. D. A. Kolb, Learning-style inventory, McBer & Company, 1985. 

  29. P. R. Jeffries,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7. 

  30. 윤진,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1. J. S. Lee, The Effects of Process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 Various Tests, University of Chicago, 1978. 

  32. 박정환, 우옥희,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3호, pp.55-81, 1999. 

  33. 육신영,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등급에 따른 간호역량 및 행동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4. National League for Nursing(NLN), "Educational Practices Questionnaire", "Simulation Design Scale",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Learning" instruments. from www.nln.org/researchgrants/ nln_laerdal/instruments.htm 

  35. 하주영,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55-364, 2011. 

  36. A. D'Amore, S. James, and E. Mitchell, "Learning styles of first-year undergraduate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a cross-sectional survey utilizing the Kolb Learning Inventory," Nurse Educ Today, Vol.32, pp.506-515, 2012. 

  37. 정계선, 김경이, 성지아,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13-42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