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가공 오디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Mulberry Fruit Beverages for Rural Food Proces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2, 2012년, pp.246 - 254  

양향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our mulberry fruit beverages (MFBs) and develop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s for evaluation of their sensory characteristics. Soluble solid, free sugar, pH, acidity, chromaticity, flavonoid, and anthocyani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오디음료와 관련된 연구는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오디 과실주스의 제조(Kim et al 2004b)와 오디의 생리활성과 음료개발에 관한연구(Choi SY 2010)가 있으나, 산지가공 오디음료의 품질평가를 시도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산지가공 오디업체의 제품을 대상으로 오디음료의 이화학적분석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향후 산지가공 오디음료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의 오디 산지가공업체에서 생산하는 오디음료의 이화학적 분석과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산지가공 오디음료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당도는 10.

가설 설정

  • 2) a~d Mean in row followed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란? 오디(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뽕나무(Morus alba L.)의 열매로서, 5월부터 6월에 걸쳐 과실의 색이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나타낼 때 채취하여 식용 또는 건조한 후 한약제로 사용한다(Kim et al 2004a, Lee &Bae 2011). 동의보감을 비롯한 한의서에서는 오디를 상심(桑椹), 상실(桑實), 오심(烏椹), 흑심(黑椹) 등으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며, 당뇨를 덜어주고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제로써 뿐만 아니라,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대머리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Kim & Kim 2004).
동의보감을 비롯한 한의서에서 오디를 부르는 이름은? )의 열매로서, 5월부터 6월에 걸쳐 과실의 색이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나타낼 때 채취하여 식용 또는 건조한 후 한약제로 사용한다(Kim et al 2004a, Lee &Bae 2011). 동의보감을 비롯한 한의서에서는 오디를 상심(桑椹), 상실(桑實), 오심(烏椹), 흑심(黑椹) 등으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며, 당뇨를 덜어주고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제로써 뿐만 아니라,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대머리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Kim & Kim 2004). 지금까지 오디의 기능성 관련 연구는 아미노산 함량(Kim et al 2004a), 유리당 성분의 조성 및 함량(Kim et al 2003a), 지방산 함량(Kim et al 2003b), 품종별 화학적 특성(Kim et al 1999), 오디 안토시아닌 색소 정량(Kim et al 2002), C3G(cyanidin-3-glucoside) 분리 및 동정(Kim et al 1999, Park et al 1997) 등이 있다.
오디는 어떤 형태의 가공식품으로 개발 및 판매되고 있는가? 그러나 오디는 수분함량이 높고, 과육이 연해저장성이 떨어져서 수확 후 즉시 생과로 판매하거나, 냉동보관 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능성 가공식품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음료, 쨈, 젤리, 술, 분말, 식초 등의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오디는 건강음료의 소재로 크게 각광받고 있는데, 이는 포도와 달리 과육에도 풍부한 안토시아닌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Choi SY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광철 (1994) 뽕나무과실의 과수화와 이용기술연구(I) 뽕 나무 과수화 기초연구 농업특정연구개발사업보고서. 농촌진흥청. 

  2.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 용. 신광출판사, 서울. p 131. 

  3. 원제무, 이수일 (2007)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통계분석. 박영사, 서울. pp 131-139. 

  4. 원태연, 정성원 (1999) 한글 SPSS 통계조사분석. 고려정보산 업, 서울. pp 292-297. 

  5. 윤병선 (2008) 로컬푸드 관점에서 본 농산가공산업의 활성화 방안. 산업경제연구 21: 501-522. 

  6. 전라북도 통계자료집 (2010) 2009년 원예농산물 주요 통계 자료집. 

  7. 전재근 (2005) 관능에 관여하는 의식요소와 식품관능평가의 시간함수개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년 추계 학술발 표회 논문발표전집 48차, pp 115-123. 

  8. 채수규, 강갑석, 마상조, 방광용, 오문헌 (2000) 표준 식품분 석학. 지구문화사, 서울. pp 134-135. 

  9. Ahn BI (2010) Directions for connecting regional agriculture with food industry. J Agriculture & Life Science 44:75-84. 

  10.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21-1025. 

  11.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12. Choi SY (2010)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and beverage development of extracts from mulberry. Ph 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Kyungbuk. pp 2-3. 

  13. Choi YM, Yoon HH (2011)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coffee according to green coffee process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73-781. 

  14. Kim AJ, Park SJ, Rho JO (2008) Mulberry fruit extract consump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hyperlipidemia in middle-aged men. Korean J Food & Nutr 21: 121-126. 

  15.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Korean J Food & Nutr 39: 1467-1475. 

  16. Kim H, Lee HS, Shin JY, Kim KO (2007)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ffee drinks contained sucralose and acesulfame-k. Korean J Food Sci Technol 39:527-533. 

  17. Kim HB (2003) Quantification of cyanidin-3-glucoside(C3G) in mulberry fruits and grapes. Korean J Seric Sci 45: 1-5. 

  18. Kim HB, Bang HS, Lee HW, Seuk YS, Sung GB (1999)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syncarp. Korean JSeric Sci 41: 23-128. 

  19. Kim HB, Kim SL (2004)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rutin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6: 1-5. 

  20. Kim HB, Kim SL, Kang SW (2004a) Variet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amino acid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6: 47-53. 

  21. Kim HB, Kim SL, Moon JU (2002)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anthocyanin pigment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4: 207-211. 

  22. Kim HB, Kim SL, Moon JU (2003a)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free sugars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5: 80-84. 

  23. Kim HB, Kim SL, Sung GB, Nam HW, Chang SJ, Moon JU (2003b)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fatty acids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5: 75-79. 

  24. Kim HB, Kim SY, Lee HY, Kim SL, Kang SW (2005)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Crop Sci 50: 220-223. 

  25.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ric Sci 43: 104-108. 

  26. Kim HB, Koh SH, Oh NK, Jeong JS, Sung GB, Hong IP, Chung IM, Lee KG (2007)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conserved by Jeollabuk-Do. Korean J Seric Sci 49: 60-66. 

  27. Kim HJ, Choi SW, Cho SH (2010) Effects of various mulberry products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statu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43: 551-560. 

  28. Kim IS, Lee JY, Lee SJ, Yun GS, Choe SW (2004b) Preparation of minimally processed mulberry (Morus spp.)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1-328. 

  29. Kim KH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and loyalty of green tea consumers: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Ph D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pp 25-26. 

  30. Kim SY, Park KJ, Lee W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Seric Sci 6: 204-209. 

  31.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32. Kwon EH, Jung MA, Rhee SJ, Choi SW, Cho SH (2006) Antioxidant effects and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39: 91-99. 

  33.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204-209. 

  34. Lee HW, Shin DH, Lee WC (1998)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fruit with varietes. Korean J Seric Sci 40: 1-7. 

  35. Lee JW, Do JH (201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of Rubus coreanus and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43-947. 

  36. Lee SY, Suh DS, Lee MK, Kim KO (2005) Development of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yeast leavened breads. Korean J Food Culture 20: 53-60. 

  37. Park SW, Jung YS, Ko K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t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J Korean Soc Kort Sci 38: 722-724. 

  38. Rhim JW, Lee JW (2002) Degradation kinetics of anthocyanins in purple-fleshed sweet potato pigment concentrates and a Japanese plum juice based beve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38-243. 

  39. Sohn KS, Seo EJ, Lee JH (2006) Quality changes of orange juice as influenced by clarific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78-382. 

  40. Suh DS, Park JY (2005) Sensory research in food industry. Food Science & Industry 36: 28-33. 

  41. Yang HS, Rho JO (2011)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the importance of product properties, and the satisfaction levels of blackberry and mulberry fruit beverage products in the Jeonbuk area. J Korean Home Eco Assoc 49: 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